$\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지역 성인의 연령별 패스트푸드 인식 및 이용실태
Comparison of Perception and Fast Food Usage Patterns of Adults Classified by Age in Busan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3 no.3, 2017년, pp.285 - 299  

이정숙 (고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erception and fast food usage patterns of adults classified by age in Busa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5 to June 15, 2017 by questionnair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Overall, 74.1%, 58.1%, 40.7%, 20.3%, 29.7% and 17.9% of individu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등의 연령별 패스트푸드에 관한 인식 및 이용실태를 비교하여 우리의 식생활이 어떻게 변화하고 현재의 실태는 어떠한 지를 검토하고, 바람직한 식생활 방향의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습관이 영양 상태 연구에 가지는 의의는? 식습관은 집단 내에 존재하는 이용 가능한 식품들을 집단 구성원들이 수용하면서 형성되므로 사람들의 식품 선택에 관한 가치관과 태도는 영양상태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동일한 시대에 사는 사람이라도 식품 구매능력, 성, 연령, 소득수준 또는 교육수준 등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식생활 양식이 매우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Jin 2001) 식생활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검토하는 일이 필요하다.
60대와 70대가 영양표시에 대한 개선 요구도가 낮은 이유로 추정되는 것은? 조사 대상자의 20대, 30대, 40대, 50대에서 영양표시에 대한 개선 요구도가 높은 것은 건강과 영양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고, 또한 식품 관련하여 매스컴을 통한 여론 조성과 홍보 효과로 식생활에 대한 의식수준과 지식이 향상되어 영양표시에 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60대와 70대는 주로 자녀와 동행하여 같은 메뉴를 주문하므로 영양표시에 관한 관심이 낮은 것으로 생각되는데, 식품산업의 발달로 가공식품이 대량 유통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명한 식품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식품 영양표시의 내용을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만성질환 및 비만의 효율적인 예방을 위해서는 소비자가 식품 영양표시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Chung & Kim 2007).
패스트푸드의 영양적 특징은? 패스트푸드는 기호성을 위주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균형 잡힌 영양소 섭취가 어려워 잠재적인 영양소 결핍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함유된 영양가에 비해 열량의 비율이 높고 나트륨과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으며 채소 및 과일의 낮은 함량으로 인한 비타민의 부족이 지적되고 있다(Kim 2009;Kim & Lee 2012; Bae & Kim 2016). 특히 패스트푸드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트랜스지방은 필수지방산의 대사를 방해하고 심장질환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으며, 패스트푸드를 한 끼 식사로 섭취할 때는 칼슘 및 철분 섭취가 부족되는 경향을 나타낸다는 보고(Skinner 등 1985)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e YK, Kim YN (2016): A study on the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fast foods-by highschool students in Daejeon-. J Korean Home Econ Educ Assoc 28(3):79-88 

  2. Chung J, Kim MJ (2007): Using and understanding of nutrition labels and related factors among female adults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 Nutr 12(4):417-425 

  3. Duffey KJ, Gordon-Larsen P, Steffen LM, Jacobs DR Jr, Popkin BM (2009): Regular consumption from fast food establishments relative to other restaurants is differentially associated with metabolic outcomes in young adults. J Nutr 139(11):2113-2118 

  4. French SA, Harnack L, Jeffery RW (2000): Fast food restaurant use among women in the Pound of Prevention study: dietary, behavioral and demographic correlate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4(10):1353-1359 

  5. Her ES, Lee KH, Bae EY, Lyu ES (2007): Interrelations among fast food intake, food behavior, and personality in adolesc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2(6):714-723 

  6. Jang JS, Oh SC (2013): A study on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and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Nutr 26(2):301-309 

  7. Jin YH (2001): Dietary behaviors of adults in Kimcheon city. J Korean Soc Diet Cult 16(1):43-57 

  8. Jo MY, Hyun T (2014): Comparison of dietary habits, perception consumption frequency of fast foods between youths working part-time at fast food restaurants and other food-related services. J Nutr Health 47(3):206-213 

  9. Kim BR (2009):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 and food habit by fast food intake frequ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Wonju Area. J Korean Home Econ Educ Assoc 21(4):19-33 

  10. Kim HM, Yoon JY (2014): Celebrity endorser effects of fast food industries on Seoul highschool and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J Food Nutr 27(1):120-127 

  11. Kim HY, Choi SH, Ju SU (1996): A survey of the behaviors on fast food restaurants. J Korean Soc Diet Cult 11(1):71-82 

  12. Kim JH, Lee DY (2012): Factors associated with consumption of fast food by Korean adolescents: analysis of 2007 survey data from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Korean J Obes 21(1):37-44 

  13. Kim KH (2003): A study of the dietary habits,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Korean J Commu Nutr 8(2):181-191 

  14. Kim KW, Shin EM, Moon EH (2004): A study on fast food consumption, nutritional knowledge, food behavior and dietary intake of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0(1):13-24 

  15. Kim MJ (2007): A comparative study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nutrient intakes of dietitians and non-dietitians working in the Chonnam area. Masters degree thesis. Chonnam University. pp.12-14 

  16. Kim YS, Rha YA (2005): A study for dietary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by gender. Culin Sci Hosp Res 11(4):77-91 

  17. Kim YY, Kim SJ, Choi MK (2015): Comparison of processed food intake by allowance level in college students in Chungnam. J Korean Diet Assoc 21(4):280-290 

  18. Lee JH (2009):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ning-out activities, eating habits, and the frequency of fast food intake and obesity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Busan area. Korean J Culin Res 15(3):225-235 

  19. Lee JS (2007): A comparative study on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classified by age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12(5):534-544 

  20. Lee MS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behaviors/health risk factors and preference for salty taste among Korean elderly people living in rural areas. Korean J Commu Nutr 19(5):448-458 

  21. Lee SS (2004): A study on dietary behavior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their preferences for fast food. Korean J Community Nutr 9(2):204-213 

  22. Lyu ES, Chae IS, Lee KH (2008): Interrelations among fast food, beverage intake and sociality, anger expression of adolescents in the Busa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3(6):829-839 

  23. Lyu ES, Lee KA, Yoon JY (2006): The fast foods consumption pattern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Bu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4):448-455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pp.242-252 

  25. Nordin S, Razani LJ, Markison S, Murphy C (2003): Age-associated increases in intensity discrimination for taste. Exp Aging Res 29(3):371-381 

  26. Oh SC, Jang JS (2015): The relationship of food-related lifestyle type and fast food consumption behavior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Nutr 28(1):119-125 

  27. Paeratakul S, Ferdinand DP, Champagne cm, Ryan DH, Bray GA (2003): Fast-food consumption among US adults and children: dietary and nutrient intake profile. J Am Diet Assoc 103(10):1332-1338 

  28. Park MR, Kim SH, Wi SU (1999): The consumption patterns of fast food in small cities. J Korean Soc Diet Cult 14(2):139-146 

  29. Seok MJ (2009): A comparison of dietary attitudes, nutrition knowledge,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ing system and dietary intake among urban areas rural and island areas. Masters degree thesis. Kosin University. pp.29-30 

  30. Sim KH, Kim SA (1993): Utilization state of fast-foods among Korean youth in big cities. J Korean Nutr Health 26(6):804-811 

  31. Skinner JD, Salvetti NN, Ezell JM, Penfield MP, Costello CA (1985): Appalachian adolescents' eating patterns and nutrient intakes. J Am Diet Assoc 85(9):1093-1099 

  32. Yperman AM, Vermeerch JA (1979):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s food habits. J Nutr Educ 11(2):72-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