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패스트푸드 소비 형태와 행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and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2, 2013년, pp.301 - 309  

장재선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오성천 (대원대학교 제약식품계열)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n the consumption of fast food for a balanced diet of university students. The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such as gender, major, residing region, living expense, school grade, dieting, physical activity, smoking and alco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패스트푸드 섭취 절제 및 균형된 식생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패스트푸드의 소비 형태를 알아보고, 패스트푸드의 소비에 관련 행동요인인 성별, 전공별, 거주지별, 한 달 용돈별, 학년별, 다이어트 여부, 운동 여부, 흡연 여부, 음주 여부 등의 변수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스트푸드가 식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이유는? 패스트푸드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햄버거, 치킨, 피자, 프라이드 포테이토 등으로 육류나 기름진 음식이 많아 편중된 영양 섭취 현상을 유발하고, 비타민과 무기질 섭취의 부족, 고열량, 고지방, 고염식의 영양 불균형으로 이어져 건강한 식생활 영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하였다(Lee JS 2007). 또한 제한된 식품 가지 수, 저영양 밀도와 열량필요량의 개인차를 고려하지 않은 1인분의 양의 표준화, 저영양 밀도 등으로 인한 패스트푸드의 문제점을 지적하였고(Ries CP 1975), 패스트푸드가 열량 비율이 높고 전반적으로 포화지방산과 나트륨 함량이 높으며, 과일, 채소 및 전곡 음식이 부족함을 지적하면서 나트륨 함량을 저하시키거나, 대체물 사용을 권고한 바 있다(Appledorf & Kelly 1979).
햄버거 세트 메뉴의 대략적인 열량과 나트륨 함량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1)에서 햄버거, 감자튀김, 콜라로 구성된 햄버거 세트 메뉴의 열량은 659~1,065 kcal로, 햄버거 세트의 나트륨 함량은 675~1,693 ㎎으로 성인 여자 20~29세의 1일 열량권장량의 약 50%를 차지하며, 나트륨 일일 섭취기준량인 영양소 기준치 3,500 ㎎과 비교해 19~48%를 차지해 과다한 염분 섭취가 되고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또한 특정 업체의 햄버거의 포화지방산이 기준치의 140%, 콜레스테롤이 92%를 함유하고 있었고, 피자의 경우 단백질이 기준치의 130%, 포화지방산 함량이 57%, 콜레스테롤 함량이 24%로 나타났다(Kim SH 2005). 패스트푸드의 조리법 자체도 발암물질인 Heterocyclic amines(HCAs)의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으며(Kim SH 2003), 또한 외국 경우 감자칩 1봉지에 아크릴아마이드가 WHO에서 권장하는 기준치의 500배 이상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국내 시판 중인 프렌치프라이 300~1,600 ppb, 감자칩 900~170 ppb가 검출되었다.
대학생들의 패스트푸드의 소비 형태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Table 2는 일반적인 특성 및 건강생활 실천에 따른 대학생들의 패스트푸드의 소비 형태 차이를 분석한 결과이다. 패스트푸드 중 햄버거는 식품영양 전공별, 운동 여부별, 음주 행위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전공별 햄버거 이용 비율은 월 1회 섭취한다는 응답이 영양 전공 학생 51.4 %, 비전공 학생이 43.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월 2~3회가 영양 전공 학생은 19.4%, 비전공 학생은 35.8%로 나타났다. 전혀 섭취하지 않는 학생 비율은 영양 전공 학생 16.6%, 비전공 학생 6.3%으로 햄버거 이용에 대한 전공 학생과 비전공 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운동 유무별 햄버거 이용 비율은 월 1회 섭취한다는 응답이 운동을 하는 학생 47.9%, 운동을 하지 않은 학생이 4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월 2~3회는 운동을 하는 학생 23.9%, 운동을 하지 않는 학생 28.1%로 나타났다. 전혀 섭취하지 않는 비율은 운동하는 학생이 19.7%, 운동을 하지 않는 학생 9.5%으로 햄버거 이용에 대한 운동을 하는 학생과 하지 않는 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음주 유무별 햄버거 이용 비율은 월 1회 섭취한다는 응답이 음주를 하는 학생 46.8%, 음주하지 않은 학생이 49.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월 2~3회는 음주하는 학생 27.5%, 음주하지 않는 학생 26.7%로 나타났다. 전혀 섭취하지 않는 비율은 음주하는 학생 9.0%, 음주하지 않는 학생 17.8%으로 나와, 햄버거 섭취에 따른 음주를 하는 학생과 하지 않는 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ppledorf H, Kelly LS. 1979. Proximate and mineral content of fast food. J Am Dietet Assoc 74:35-49 

  2. Cho CM, Han YB. 1996. Dietary behavior and fasts us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J Home Econ 8:105-119 

  3. Choi ES. 2010. Survey on knowledge about nutrition indications of processed food ingested as snacks and survey on actual ingestion of street food: Focusing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Ph.D. Thesis, Kyunghee Uni. Seoul. Korea 

  4. Chung YJ, Lee JW, Kim MR. 1982. Menu pattern and management of student's cafeteria(I). Korean J Nutr 15:107-118 

  5. Han MJ. 1992. A survey of college students behaviors on fast food restaurants in Seoul area. Korean J Dietaty Culture 7:91-96 

  6. Jung YJ. 1984. Food preferences of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Nutrition 17:10-19 

  7. Kim HJ. 1996. A study on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and brand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Ulsan. Korean J Dietaty Culture 11:131-141 

  8. Kim KA, Cho SH. 1994. A survey on consciousn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fast food restaurants in Kwangju. J East Asian Soc Diet Life 4:27-37 

  9. Kim KM. 2009. A study on fast food consumption patters and brand preterene of universty students in Ulsan. Ph.D.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10. Kim KW, Shin EM, Moon EH. 2004. A study on fast food consumption, nutritional knowledge, food behavior and dietary intake of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Diettetic Association 10:13-24 

  11. Kim MH, Lee YS. 2006. A study on the nutrient intake and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Chungnam area.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7:143-158 

  12. Kim SH. 2003. A study on labeling method for fast food and carbonated soft drinks. Korea Food and Nutrition Foundation. pp.77-115 

  13. Kim YA. 2011. Fast food utilization and recognition survey on fast food nutrition labeling of university students around Gyeonggi partial area. Ph.D. Thesis, Kyunghee Uni. Seoul. Korea 

  14. Ko MS. 2007.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and dietary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Korean J Comm Nutr 12:259-271 

  15. Korean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1. Nutrition Problem of Fast Food. p12 

  16. Lee JS. 2007. A comparative study on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classified by age in Busan. Korea J Community Nutrition 12:534-544 

  17. No SB, Shin YS. 2000.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Korean J Dietaty Culture 15:287-293 

  18. Park EJ, Kim KN, Cho JS. 2005.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fast food consump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Cheongju area. J Huwan Ecol 9:165-178 

  19. Ries CP. 1975. How nutritious are fast food meals. Consumer Rep 40:278-289 

  20. Song YJ, Paik HY, Lee YS. 1998. Qualitative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rea.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6:201-205 

  21. Winkleby MA, Cubbin C. 2004. Changing patterns in health behaviors and risk factor related to chronic diseases 1990-2000. AM J Health Promot 19:19-27 

  22. Yoo YS, Lee YH. 1995. A study on the nutrition knowledge,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Korea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193-205 

  23. You DR, Park GS, Kim SY, Kim HH, Lee SJ. 2000.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 Focused on college students in Taegu and Kyungbuk.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8:27-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