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조숙증 아동 어머니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Mothers of Children with Precocious Puberty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3 no.3, 2017년, pp.312 - 318  

이수영 (한국의료선교회 튼튼 소아청소년병원) ,  김가은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precocious puberty were identified.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02 mothers of children with precocious puberty. From September 12 to September 30, 2016,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조숙증 아동의 주양육자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삶의 질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추후 성조숙증 아동 어머니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성조숙증 아동 어머니의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조숙증 아동 어머니의 삶의 질, 역할 스트레스, 부담감, 죄책감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연구는 성조숙증 아동 어머니가 경험하는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 관련 변수들간의 관련성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어머니와 아동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 결과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변수는 월평균 수입, 역할 스트레스, 객관적 부담감, 죄책감이었으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역할 스트레스, 월평균 수입, 객관적 부담감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역할 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어머니의 삶의 질이나 정서 상태는 아동의 질병 회복뿐 아니라 가족 건강과 관련한 중요한 문제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조숙증 아동 어머니의 삶의 질 관련 영향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른 2차 성징은 어떠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가? 유방, 음모, 고환 등에서 나타나는 2차 성징이 여아의 경우 8세 이전, 남아의 경우 9세 이전 나타날 때 성조숙증으로 진단한다[1]. 2차 성징이 일찍 시작되면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내분비계 질환, 유방암, 자궁내막암, 고환암 등 생식기계 질환의 발병가능성이 높아지고, 골성숙이 빨라지며 성장판이 일찍 닫혀 저신장을 초래할 수 있다[3]. 또한 급격한 체격변화와 생식기관 발달로 인해 신체와 정신적 성숙의 불균형, 부정적인 신체상, 스트레스, 우울, 불안, 부적응 등 심리사회적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3-5].
성조숙증으로 진단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유방, 음모, 고환 등에서 나타나는 2차 성징이 여아의 경우 8세 이전, 남아의 경우 9세 이전 나타날 때 성조숙증으로 진단한다[1]. 2차 성징이 일찍 시작되면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내분비계 질환, 유방암, 자궁내막암, 고환암 등 생식기계 질환의 발병가능성이 높아지고, 골성숙이 빨라지며 성장판이 일찍 닫혀 저신장을 초래할 수 있다[3].
성조숙중 아동의 어머니의 삶의 질과 건강을 저하시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성조숙증 아동의 어머니 역시 아동의 성조숙 증상 및 예후에 대해 걱정, 불안, 죄책감을 느낄 뿐 아니라[6], 아동이 사춘기를 일찍 겪음으로써 초래되는 역할 스트레스와 치료비 등의 경제적 부담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5,16]. 그러나 성조숙증 아동 어머니가 겪는 부정적인 정서에 대한 구체적 원인탐색이나 성조숙증 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사회적 영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고, 성조숙증 아동의 질병의 진단 및 원인, 치료방법에 국한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rberoglu M. Precocious puberty and normal variant puberty: definition, etiology, diagnosis and current management-review. Journal of Clinical Research Pediatric Endocrinology. 2009;1(4):164-174. https://doi.org /10.4008/jcrpe.v1i4.3 

  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ealthcare bigdata hub [Internet]. Wonju: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5 [cited 2015 August 19]. Available from: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MfrnIntrs IlnsInfo.do. 

  3. Golub MS, Collman GW, Foster PMD, Kimmel CA, Rajpert-De Meyts E, Reiter EO, et al. Public health implications of altered puberty timing. Pediatrics. 2008;121(3):218-230. https://doi.org/10.1542/peds.2007-1813G 

  4. Park HJ, Kim NH. A study on the body image and the levels of anxiety in children with precocious pubert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6;6(5):39-51. https://doi.org/10.14257/AJMAHS.2016.05.04 

  5. Mendle J, Turkheimer E, Emery RE. Detrimental psychological outcomes associated with early pubertal timing in adolescent girls. Developmental Review. 2007;27(2):151-171. https://doi.org/10.1016/j.dr.2006.11.001 

  6. Lim JH, Kim JH. Mother's experience of having a girl with precocious puberty. Keimyung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2013;17(2):23-34. 

  7. Park ES, Lee GH, Oh WO, Im YJ, Cho EJ. Parenting experience of parents with chronically ill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5;21(3):272-284. 

  8. Chei MA, Lee HS, Kim DH, Park MH, Yoon SY, Cho YH, et al. The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mothers of hospitalized chronic pediatric patient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0;6(2):249-261. 

  9. Nam HA, Yang 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role stress in parents of primary school students. Journal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05;14(3):323-334. 

  10. Kwon IS, Seo YM. Home nursing and quality of life in parents of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9;15(4):401-408. https://doi.org/10.4094/jkachn.2009.15.4.401 

  11. Kwon EK, Choi MH, Kim SK. Parenting stress and guilty feeling for mothers having children with rare genetic metabolic disea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8;14(3):153-163. 

  12. Moon YI, Koo HY. A comparison study of stress, coping and adaptation between fathers and mothers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6;26(1):165-176. 

  13. Choi YJ, Cho KJ. A study of perception of the newborn, parental role stress and anxiety of preterm birth mother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0;6(4):493-505. 

  14. Park BK, Lee SJ, Kim HJ, Lee KA, Park NY, Yoo JH, et al.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abet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5;19(1):71-81. 

  15. Park MJ. Guilt, worry, and anxiety in mothers of children with precocious puberty [master's thesis]. Busan: Dong Ah University; 2016. 

  16. Cho HH, Yoon YM, Moon SH. Research trends on children with precocious puberty and their famil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4;18(1):97-108. 

  17. Harper A, Power M.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quality of life assessment. Psychological Medicine. 1998;28(3):551-558. 17. 

  18. Min SK, Lee CI, Kin KI, Suh SY, Kim DK.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Journal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0;39(3):571-579. https://doi.org/10.1023/10.1023/A:1016351406336 

  19. Pearlin LI, Schooler C. The structure of cop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78;19(1):2-21. http://www.jstor.org/stable/2136319 

  20. Jun S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level of mothers with disabilities and the child's daily life behavior [master's thesis]. Seoul: Sookmyung Women's National University; 1984. 

  21. Montgomery RJV, Gonyea JG, Hooyman NR. Caregiving and the experience of subjective and objective burden. Family Relations. 1985;34(1):19-26. https://doi.org/10.2307/5837 

  22. Oh SH. A relationship between burden and stress of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National University; 2004. 

  23. Kim NE. Th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among mothers with epileptic child.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11;37:5-34. 

  24. Cho IS, Moon KI. Factors affecting the life quality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6;20(2):119-131. 

  25. Lee JH, Kim HY, Lee JH. A study on maternal stress in rea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maternal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2007;13(1):5-12. 

  26. Sung MH. A study burde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mothers of a child with nephrotic syndr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30(3):670-681. 

  27. Lee MS. A study of burden in mothers of children with congenital metabolic disorder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995;1(1):26-36. 

  28. Suh MH, Oh KS. A study of well-being in caregivers caring for chronically ill family memb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3;23(3):467-4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