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쇼핑가치, 사용용이성, 유용성이 모바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hopping Value, Ease of Use, and Usefulness on Mobile Purchase Intention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0 no.2, 2017년, pp.73 - 86  

채진미 (한성대학교 글로벌패션산업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패션제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변수로 쇼핑가치와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는데 영향을 주는 신념 변수로 알려진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을 채택하여 경로모형을 구성하여 검정하였고, 구매경험에 따른 집단 별(중구매/경구매 집단)로 경로모형을 비교분석하였다. 온라인 설문 전문업체를 통해 스마트 폰을 통해 패션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30 대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지 분석을 시행하였고, 총 411부의 유효한 데이터를 SPSS 21과 AMOS 19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쇼핑가치는 감성적인 차원의 쾌락적 쇼핑가치와 실용적인 차원의 실용적 쇼핑가치로 분류되었고 구성변수의 신뢰성이 확인되었다. 경로모형의 적합성은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최근 1년 동안 스마트폰을 통해 패션제품을 구매한 횟수에 따라 중구매 집단과 경구매 집단으로 분류하여 경로모형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쾌락적 가치보다는 실용적 가치가 모바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사용용이성은 직접적으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유용성을 거쳐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중구매 집단의 경우, 쾌락적 쇼핑가치가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과 사용용이성이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을 제외하고는 모든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구매 집단에서는 쾌락적 쇼핑가치가 사용용이성에 주는 영향, 실용적 쇼핑가치가 유용성에 주는 영향, 쾌락적 쇼핑가치가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 사용용이성이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의 경로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분석 결과는 다양한 유통채널을 사용하여 제품을 구매하는 현대 소비자들을 모바일 구매로 유도하기 위한 차별화된 모바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근거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nsumers' shopping value(SV), ease of use(EOU), and usefulness(U) on their purchase intention(PI) in mobile shopping mall. Path hypothes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was constructed for this purpose were verified. In additio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모바일쇼핑 제품 중에서 패션관련 제품의 구매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며(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5), 스마트폰의 이용은 모든 연령층에서 확산되고 있으므로, 항상 휴대하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쉽게 연결가능하다는 점으로 인해 모바일을 이용한 패션제품의 구매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므로 패션제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의 모바일 구매의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은 무엇이 있을까를 고려해 보았다.
  • 따라서 모바일 환경에서도 모바일이라는 새로운 쇼핑매체를 사용해서 제품을 구매할 때의 경험으로 인한 지식과 정보는 모바일 쇼핑이용에 대한 친근감과 유용성을 증가시킬 것이고, 동시에 구매의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므로, 구매경험의 정도에 따라 분류한 집단 별로 경로모형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 , 2008; Park & Kang, 2005), 이 연구들은 온라인 쇼핑몰 환경에서 소비자가 지각하는 쇼핑가치를 측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한 유통채널 즉 오프라인 점포나 인터넷 쇼핑몰, 모바일 쇼핑몰 상에서 소비자가 지각하는 쇼핑가치를 측정한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패션제품을 구매할 때 추구하는 쇼핑가치를 측정하여, 어떤 가치 요인이 모바일 환경에서의 구매의도를 갖게 하는지를 분석하 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H1-1 쾌락적 쇼핑가치는 사용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줄 것이다.
  • 4에 제시하였다. H1-1: 쾌락적 쇼핑가치가 사용용이성에 주는 영향, H2-2: 실용적 쇼핑가치가 유용성에 주는 영향, H3-1: 쾌락적 쇼핑가치가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 H5; 사용용이성이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은 기각되었다.
  • H1-2 실용적 쇼핑가치는 사용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줄 것이다.
  • H2-1 쾌락적 쇼핑가치는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줄 것이다.
  • H2-2 실용적 쇼핑가치는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줄 것이다.
  • H3-1 쾌락적 쇼핑가치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줄 것이다.
  • H3-2 실용적 쇼핑가치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줄 것이다.
  • H4: 사용용이성은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사용용이성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유용성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 이다.
  • H7: 구매경험의 정도에 따라 분류한 중구매/경구매집단 간에 경로모형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구체적으로 중구매 집단에서는 쾌락적, 실용적 가치 모두 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고(H1, H2 채택), 쾌락적 가치가 모바일 구매의도에 주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반면(H3-1 기각), 실용적 가치가 주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였다(H3-2 채택). 사용용이성은 유용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H4 채택), 모바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H5 기각).
  • 구체적으로 중구매 집단에서는 쾌락적, 실용적 가치 모두 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고(H1, H2 채택), 쾌락적 가치가 모바일 구매의도에 주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반면(H3-1 기각), 실용적 가치가 주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였다(H3-2 채택). 사용용이성은 유용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H4 채택), 모바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H5 기각). 유용성은 모바일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H6 채택).
  • 중구매 집단과 동일하게 쾌락적 가치가 모바일 구매의도에 주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고(H3-1 기각), 실용적 가치가 주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유의하였다(H3-2 채택). 사용용이성은 유용성에, 유용성은 모바일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H4, H6 채택), 사용용이성이 모바일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H5 기각).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험적 관점에서 쇼핑가치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쇼핑가치는 소비자가 쇼핑을 하는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요소로 개인이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 쇼핑 행동에 관련된 요인이나 쇼핑결과가 달라질 것이다. 쇼핑의 경험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쇼핑가치는 쾌락적(Hedonic) 가치와 실용적(Utilitarian) 가치로 분류되며(Babin et al., 1994), 관련된 구매행동 변수들과 함께 연구되어 왔다.
사용용이성은 무엇인가? 사용용이성(Ease of Use: EOU)은 특정 정보기술이나 시스템을 사용 시 사용자가 그 기술이나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노력이 들지 않을 것(free of effort)이라고 기대하는 정도로(Davis et al, 1989), Davis(1989)는 사용용이성은 유용성을 경유하여 태도 및 수용의도에 영향을 준다고 하면서 유용성의 선행 변수임을 제시하였다. 정보기술이나 시스템을 수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서 많은 연구들이 사용용이성이 유용성을 거쳐 수용의도, 또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준다고 밝혔고(Igbaria et al.
쾌락적 가치가 유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알 수 있는 것은? 소비자의 실용적 가치는 모바일 시스템의 유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사용용이성을 경유하여 유용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며, 쾌락적 가치는 상대적으로 유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쇼핑을 쾌락적으로 즐기는 소비자들은 모바일쇼핑을 유용하게 지각하나. 경제적인 쇼핑을 하는 소비자는 모바일시스템의 사용용이성을 지각한 후 모바일쇼핑을 유용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garwal, R., & Karahanna, E. (2000). Time flies when you're having fun: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MIS Quartly, 24(4), 665-694. doi:10.2307/3250951 

  2. Agarwal, R., & Prasad, J. (1999). Are individual differences germane to the acceptance of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Decision Sciences, 30(2), 361-391. doi:10.1111/j.1540-5915.1999.tb01614.x 

  3. Ajzen, I., & Fishbein, M. (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 Babin, B. J., Darden, W. R., & Griffin, M. (1994).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4), 644-656. doi:10.1086/209376 

  5. Bae, G.-S. (2004). A study on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intention to users in using mobile commerce in the view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6. Bagozzi, R. P. (1981). Attitudes, intentions, and behavior: A test of some key hypothe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1(4), 607-627. doi:0022- 3514.41.4.607 

  7. Chae J. M. (2016). The effect of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8(1), 38-47. doi:10.5805/ SFTI.2016.18.1.38 

  8. Chau, P. Y. K. (1996). An empirical assessment of a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3(2), 185-204. doi:10.1080/07421222.1996.11518128 

  9. Cho, Y. J., & Seo, S. W. (2013).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products in private shopping malls: Focused on usefulness of SNS and shopping val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3(5), 61-71. doi:10.7233/jksc.2013.63.5.061 

  10. Davis, F. D. (1986).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empirically testing new end-user information systems: Theory and results. Doctoral dissertation,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ambridge, MA. 

  11.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doi:10. 2307/249008 

  12. Davis, F. D., Bagozzi, R. P., & Warshaw, P. R. (1989).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35(8), 982-1003. doi:10.1287/mnsc.35.8.982 

  13. Fishbein, M., & Ajzen, I. (1973).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A theoretical note.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9(2), 148-153. doi: 10.1016/0022- 1031(73)90006-1 

  14.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 (1995).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15. Hirschman, E. C., & Holbrook, M. B. (1982). Hedonic consumption: Emerging concepts, methods and propositions. Journal of Marketing, 46(3), 92-101. doi:10.2307/1251707 

  16. Hong, B. S., & Na, Y.-K. (2008). The effect of the perceived hedonic value, usefulness and ease of use on attitude toward using in internet shopping mall and purchase intention of the fashion merchandi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1), 147-156. 

  17. Igbaria, M., Zinatelli, N., Cragg, P., & Cavaye, A. L. M. (1997). Personal computing acceptance factors in small firm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MIS Quarterly, 21(3), 279-305. doi:10.2307/249498 

  18. Johnson, K. K. P., Yoo, J.-J., Rhee, J., Lennon, S., Jasper, C., & Damhorst, M. L. (2006). Multi-channel shopping: Channel use among rural consumers.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34(6), 453-466. doi:10.1108/ 09590550610667047 

  19. Ju, K. W., & Lee, E. J. (2015). The effect of shopping orientation, fashion innovativeness and perceived mobile benefits on mobile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5(2), 147-164. 

  20. Jung, S.-M., & Park, J.-Y. (2014). The effects of online purchase experience on the transaction intention using smartphone. 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 17(2), 69-88. 

  21. Kim, D. W., Lee, T. M., & Kang, M. S. (2003).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ceived risk and perceived quality on the mobile-commerce adoption: An extension 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35, 171-193. 

  22. Kim, M. J., & Shin, S. Y. (2014). Effects of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urchas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mobile fashion shopping mall: Focusing on smartphone user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2), 240-257. doi:10.7741/rjcc. 2014.22.2.240 

  23.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5). 2015 Survey on the Mobile Internet Usage Summary (2015년 모바 일 인터넷이용 실태조사요약보고서). Retrieved February 1, 2016, from http://isis.kisa.or.kr/ board/? pageId060100&bbsId7&itemId809&pageIndex1 

  24. Ku, Y. S., & Lee, S.-M. (2001). A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store attribute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f internet fashion product shopp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6), 1100-1111. 

  25. Lee, C. S., & Pahng, S. B. (2004). The effects of shopping value on online purchasing intention: Focus on product attribute importance as intervening variable. Korea Marketing Review, 19(2), 41-69. 

  26. Lee, Y. J. (1993). Basic data analysis using SPSS/ PC+(SPSS/PC+를 이용한 기초자료 분석). Seoul: Sukjung. 

  27. Lohse, G. L., Bellman, S., & Johnson, E. J. (2000). Consumer buying behavior on the internet: Findings from panel data.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14(1), 15-29. 

  28. Na, Y.-K., Hong, B.-S., & Kang, S.-M. (2008).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perceived value and risk of internet shopping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fashion merchandi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8), 1213-1225. doi:10.5850/ JKSCT.2008.32.8.1213 

  29. Park, E. J., & Kang, E. M. (2005). Effects of shopping value, fashionb shopping mall attributes, emotions and purchasing intention on purchasing behavior in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3(7), 117-128. 

  30. Rho, H. J. (2003). Social research analysis by SPSS/ Amos (SPSS/AMOS에 의한 사회조사 분석). Seoul: Hyungseul. 

  31. Ruth, C. J. (2000). Applying a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behavioral intentions to adopt electronic shopping on the world wide web: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Doctoral dissertation, Drexel University, Philadelphia, PA. 

  32. Shim, K. Y., Kim, Y.-M., & Kim, W.-H. (2002). The influences of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shopping malls and the shopping traits of their users involved in e-commerce on purchase intent.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2(1), 59-76. 

  33. Shin, J. C., & Kang, M. S. (2004). A study on the impact of consumer value on the mobile wireless internet on the usage intention and time of the mobile wireless internet.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5(2), 125-143. 

  34. Statistics Korea. (2015). Retail sales and online shopping trends in october 2015 (2015년10월 소매판매 및 온라인쇼핑 동향). Retrieved February 1, 2016, from http://kostat .go.kr/portal /korea/kor_nw/3/ index.board?bmodedownload&bSeq&aSeq35006 3&ord4 

  35. Taylor, S. A., & Baker, T. L. (1994). An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formation of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Journal of Retailing, 70(2), 163-178. doi:10.1016/0022-4359(94)90013-2 

  36. Venkatesh, V. (2000). Determinants of perceived ease of use: Integrating control, intrinsic motivation, and emotion in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1(4), 342-365. doi: 10.1287/isre.11.4.342.11872 

  37. Vijayasarathy, L. R. (2004). Predicting consumer intentions to use on-line shopping: the case for an augment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ormation & Management, 41(6), 747-762. doi:10. 1016/j.im.2003.08.011 

  38. Werts, C. E., Linn, R. L., & Joreskog, K. G. (1974). Intraclass reliability estimates: Testing structural assumption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34(1), 25-33. doi:10.1177/0013164474 03400104 

  39. Yu, J. P. (2012).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and understanding: Amos 4.0-20.0 common ((우종필교수의)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 Amos 4.0-20.0 공용). Seoul: Hannarae Academ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