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치다시게루와 베르너팬톤의 작품에 내재된 문화적 디자인 사고
A Study of Cultural Design Thinking Included in the Works of Shigeru-Uchida and Berner Panton 원문보기

한국가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v.28 no.3, 2017년, pp.198 - 206  

오미현 (공주대학교 조형디자인학과) ,  김종서 (공주대학교 조형디자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alysis of the cultural effects on design expression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designers' cultural background on their expression methods were implem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he professionals and learners who pursue towards cultural designs in the design field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디자인영역에 있어서 동서양의 디자인 사고의 비교는 작가의 주관성이 포함된 작품의 분석이 연구의 객관성을 현저히 떨어트리는 것뿐만 아니라 대상이 광범위해지고 결론의 도출이 어렵기 때문에 일부의 연구에 국한되어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양과 서양의 대표적인 디자이너를 선정하여 두 디자이너의 작품에 내재된 특징을 살펴본다. 그리고 작가의 문화적 사고를 분석하여 동양과 서양의 다른 관점의 사고와 관계성 여부를 탐구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적 디자인 및 동양의 디자인 사고를 적용하고자 하는 디자이너의 참고자료 및 디자인 학습자의 학술 자료의 활용에 기여하는 것으로, 문화적 배경이 다른 덴마크출신의 베르너팬톤과 일본의 디자이너 우치다시게루의 성장배경, 시대적 배경, 작품의 특성을 분석하고, 작가의 디자인 사고에 내재된 문화적 성향을 동서양의 관점으로 탐구하였다. 팬톤은 당시 데니쉬 모던의고국의 전통적 스타일을 벗어나 팝아트의 영향을 받으며 작품에 신기술, 신재료를 혁신적으로 적용하여 자신만의 독창성을 표현했다.
  • 그리고 작가의 문화적 사고를 분석하여 동양과 서양의 다른 관점의 사고와 관계성 여부를 탐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적 디자인 및 동양의 디자인 사고를 적용하고자 하는 디자이너의 참고자료 및 디자인 학습자의 학술 자료의 활용에 연구 목적을 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적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디자이너는 의도적으로 또는 의도적이지 않게 자신의 환경 또는 문화를 디자인으로 표현한다. 문화적 디자인(cultural design)이라 함은 시각적으로 나타나는 색채, 형태와 같은 물리적 계층을 디자인에 적용시킨 것으로 타 문화권의 사람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디자인이다(박 2007). 예를 들어 한국의 한복 또는 일본의 기모노의 형태를 도입한 패션이라든지, 전통건축구조를 적용하여 설계한 집 등과 같이 시각적으로 그 나라의 문화가 담겨져 있는 디자인을 말한다.
문화적 디자인의 구체적인 예는 무엇이 있는가? 문화적 디자인(cultural design)이라 함은 시각적으로 나타나는 색채, 형태와 같은 물리적 계층을 디자인에 적용시킨 것으로 타 문화권의 사람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디자인이다(박 2007). 예를 들어 한국의 한복 또는 일본의 기모노의 형태를 도입한 패션이라든지, 전통건축구조를 적용하여 설계한 집 등과 같이 시각적으로 그 나라의 문화가 담겨져 있는 디자인을 말한다. 물론 시각적인 형태에도 그 나라 특유의 정신적 사상은 담겨져 있다고 할 수 있다.
문화적 디자인 사고란 무엇인가? 하지만 정신적 사상을 내포하는 무의식적 측면의 문화는 비시각적인 형태로 개인의 환경과 경험이 축척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문화적 디자인 사고(cultural design thinking)란 디자이너가 문화적 배경을 통해 습득하게 되는 경험 또는 관념이 개인의 사고형성에 영향을 주어 디자인 진행에 있어서 발생되는 사고 형태로 볼 수 있다(오 2016). 즉, 작가의 환경 및 경험에 의해 형성된 사고는 작품의 진행에 있어서 영향을 주고 이것은 무의식적 측면의 문화로 작품에 표현하게 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진우. 2005. 베르너팬톤의 의자디자인에 나타난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4.2: 178-187. 

  2. 김아람. 2011. 데니쉬 모던을 바탕으로 한 아르네 야콥센과 베르너팬톤의 디자인 특성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24, 83-100. 

  3. 김은주. 2004. 우치다시게루의 디자인 개념과 실내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3.4: 3-11. 

  4. 권영걸. 2011. 공간디자인의 언어. 날마다 170-171. 

  5. 성은현. 2006. 동서양의 창의성 차이 고찰-창의적 문화와 환경, 성격, 사고, 산물을 중심으로. 영재와 영재교육 5: 45-62. 

  6. 박선영. 2007. 문화적 차이에 의한 모바일폰 디자인선호도의 기호학적 분석. 이화여자 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1-516. 

  7. 박형진. 박세정. 김문덕. 2005. 한.일 전통 주거공간의 '중간영역'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4.3: 84-94. 

  8. 이순종. 2008. 동서양의 디자인 창조. IDCC Proceeding: 13-41. 

  9. 이효진. 1996. 20 세기 후반 패션에 나타난 미니멀 아트(Minimal Art) 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복식. 29: 23-38. 

  10. 오미현. 2016. 문화가 디자인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통권 55: 82-89. 

  11. 오보영, 문철. 2015.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 과정을 적용한 고등학교 디자인수업 모형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72: 297. 

  12. 정광호. 2014.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차이에 의한 건축과 가구의 디자인 관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38: 13-23. 

  13. 정용해. 2006. 베르너 펜톤 디자인에 나타난 팝아트적 특성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7.3: 443-450. 

  14. 최병훈, 김진우. 2006. 미니멀리즘 가구디자인의 근원과 조형세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구학회지. 17.2: 5. 

  15. 빌렘 플루서. 2003. 디자인의 작은 철학, 선학사. 34-43. 

  16. Lawson B. 2006. How designers think: the design process demystified. Routledge. 34-45. 

  17. Nisbett, R. E. and Yuri M. 2005. The influence of culture: holistic versus analytic percept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9.10: 467-473. 

  18. Vogeley, K, and Andreas R. 2009. Contextualising culture and social cognit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13.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