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용매저항성 폴리벤즈이미다졸 분리막의 제조 및 특성평가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rganic Solvent-resistant Polybenzimidazole Membranes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8 no.4, 2017년, pp.420 - 426  

정문기 (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공학연구원) ,  남상용 (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공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특정 용매에 대한 저항성이 있고 특정 분획분자량을 가지는 고분자 분리막을 통해 용매 또는 용질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용매저항성 나노여과막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분리막의 필수조건은 우수한 물성과 용매저항성을 가지는 것인데 현존하는 상업용 고분자 중 가장 내열성이 좋다고 알려진 폴리벤즈이미다졸은 고유의 용매저항성 역시 뛰어나지만 가교되었을 때 강한 유기용매에도 녹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폴리벤즈이미다졸의 용매저항성을 이용한 나노여과막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분리막의 제조는 비용매유도상전이법을 통해 실시하였고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나노여과막으로서 적절한 복합막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교유무에 따른 용매의 투과성능을 확인하였고 장시간 운전을 통하여 용매에 대한 내구성에 따른 안정성 또한 확인하였다. 투과도 실험은 물, 에탄올, 벤젠, N, N-dimethylacetamide (DMAc), n-methyl-2-pyrrolidone (NMP) 다섯 가지 용매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각각의 초기 플럭스$6500L/m^2h$ (Water, 2 bar), $720L/m^2h$ (DMAc, 5 bar), $185L/m^2h$ (Benzene, 5 bar), $132L/m^2h$ (NMP, 5 bar), $65L/m^2h$ (Ethanol, 5 bar)를 나타내었고 분리막의 종류에 따라 2-5 bar의 압력을 적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solvent-resistant nanofiltration membranes have been studied for the separation of solvents or solutes using a molecular weight cut-off system of the polymer which is resistant to a specific solvent. Required conditions for these membranes must have are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and 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과학기술이 점점 더 발전함에 따라, OSN분야에서도 더욱 용매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분리막을 필요로 하게 되었고 폴리이미드만으로 강한 유기용매에 대해 저항 하는 고분자 분리막에 대한 역할을 수행할 수 없었다[19-20].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폴리이미드보다 더욱 기계적 물성 및 내용매성이 뛰어난 폴리벤즈이미다졸 고분자를 이용하여 OSN분야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선행실험을 통하여 OSN분야에 대한 폴리벤즈이미다졸의 적용에 관한 초석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내열성과 내용매성을 가지는 PBI 고분자에 대한 OSN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세 가지 용액 조성에 따라 PBI 평막을 제조하였고 SEM 이미지를 통해 모폴로지를 확인하였다.
  •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폴리이미드보다 더욱 기계적 물성 및 내용매성이 뛰어난 폴리벤즈이미다졸 고분자를 이용하여 OSN분야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선행실험을 통하여 OSN분야에 대한 폴리벤즈이미다졸의 적용에 관한 초석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폴리벤즈이미다졸의 장점은 무엇인가? 폴리벤즈이미다졸은 현재 시판 되고 있는 상업용 고분자들 중 가장 뛰어난 내열성을 지닌 고분자로 잘 알려져 있다. 우수한 내열성뿐 아니라 기계적 물성 및 화학적 물성 또한 뛰어나 많은 분야에서 기대를 가지고 있는 소재이지만, 높은 가공 장벽으로 인하여 아직까지 응용 분야에 대한 범위가 크지 않은 추세이다[1]. 특히, 분리막분야에 있어서 폴리벤즈이미다졸은 산 처리 시 프로톤전도도가 발생하는 점을 이용한 연료전지분야를 포함하여 여러 응용분야에 있어서 몇 가지 큰 문제점을 안고 있다.
폴리벤즈이미다졸의 가공성이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분리막분야에 있어서 폴리벤즈이미다졸은 산 처리 시 프로톤전도도가 발생하는 점을 이용한 연료전지분야를 포함하여 여러 응용분야에 있어서 몇 가지 큰 문제점을 안고 있다. 종래의 한계점과 마찬가지로 분리막분야의 폴리 벤즈이미다졸 역시 가공성의 문제가 가장 크게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폴리벤즈이미다졸 반복단위의 구조적 특징상 패킹이 잘 되고, 단위체의 벤즈이미다졸기 간의 수소결합으로 인하여 매우 치밀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다[2-4]. 기체분리막분야에 있어서 폴리벤즈이미다졸은 고유의 치밀한 표면을 토대로 수소에 대한 선택도가 매우 높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분획분자량이란 무엇인가? 최근 200-1000 g/mol 범위의 분획분자량(molecular weight cut offs, MWCOs) 개념을 적용한 organic solvent nanofiltration (OSN)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분획분자량은 막에 의해 90% 이상의 배제도를 가지는 용질 또는 용매의 최소 분자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OSN은 용매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고분자를 이용하여, 용매 또는 용매 속에 녹아 있는 촉매 등과 같은 낮은 분자량을 가지는 물질들을 분자량의 크기에 따라 분리해내는 방법을 말한다[9-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E. W. Neuse, Aromatic Polybenzimidazoles. Synthese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1-42, Springer Berlin Heidelberg, Germany (1982). 

  2. K. Hwang, J. Kim, S. Kim, and H. Byun, Preparation of polybenzimidazole- based membranes and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in the fuel cell system, Energies, 7, 1721-1732 (2014). 

  3. H. M. S. Iqbal, Performance Evaluation of Polybenzimidazole for Potential Aerospace Applications, 3-10, TU Delft,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Netherlands (2014). 

  4. S. H. Kim, J. M. Ko, W. G. Kim, and J. H. Chung, Studies on the synthesis of copolymer by using tetraaminobiphenyl and cardo molecule, Appl. Chem. Eng., 11, 170-175 (2000). 

  5. D. J. Kim and S. Y. Nam, Development trend of membrane filter using ceramic fibers, Membr. J., 26, 87-96 (2016). 

  6. S. H. Kook, S. J. Kim, J. W. Lee, M. H. Hwang, and I. S. Kim, Structure parameter change estimation of a forward osmosis membrane under pressurized conditions in pressure-assisted forward osmosis (PAFO), Membr. J., 26, 187-196 (2016). 

  7. M. F. Flanagan and I. C. Escobar, Novel charged and hydrophilized polybenzimidazole (PBI) membranes for forward osmosis, J. Membr. Sci., 434, 85-92 (2013). 

  8. J. G. Kim, S. H. Lee, C. H. Ryu, and G. J. Hwang, Preparation of cation exchange membrane using polybenzimidazole and its characteristic, Membr. J., 22, 265-271 (2012). 

  9. A. Livingston, L. Peeva, and P. Silva, Organic solvent nanofiltration. In: S.P. Nunes and K.-V. Peinemann (eds.), Membrane Technology in the Chemical Industry, pp. 203-228, Wiley-VCH, Weinheim, Germany (2006). 

  10. M. F. J. Solomon, Y. Bhole, and A. G. Livingston, High flux membranes for organic solvent nanofiltration (OSN) -Interfacial polymerization with solvent activation, J. Membr. Sci., 423, 371-382 (2012). 

  11. I. B. Valtcheva, S. C. Kumbharkar, J. F. Kim, Y. Bhole, and A. G. Livingston, Beyond polyimide: crosslinked polybenzimidazole membranes for organic solvent nanofiltration (OSN) in harsh environments, J. Membr. Sci., 457, 62-72 (2014). 

  12. K. Vanherck, P. Vandezande, S. O. Aldea, and I. F. Vankelecom, Cross-linked polyimide membranes for solvent resistant nanofiltration in aprotic solvents, J. Membr. Sci., 320, 468-476 (2008). 

  13. H. N. Jang, S. J. Kim, Y. T. Lee, and K. H. Lee, Progress of nanofiltration hollow fiber membrane, Appl. Chem. Eng., 24, 456-470 (2013). 

  14. D. Y. Oh and S. Y. Nam, Developmental trend of polyimide membranes for gas separation, Membr. J., 21, 307-320 (2011). 

  15. M. Namvar-Mahboub and M. Pakizeh, Development of a novel thin film composite membrane by interfacial polymerization on polyetherimide/modified $SiO_2$ support for organic solvent nanofiltration, Sep. Purif. Technol., 119, 35-45 (2013). 

  16. B. S. Cheon, S. I. Cheong, and J. W. Rhim, Pilot test with pervaporation separation of aqueous IPA using a composite PEI/PDMS membrane module, Membr. J., 25, 385-390 (2015). 

  17. N. Ghaemi, S. S. Madaeni, and A. Alizadeh, Fabrication and modification of polysulfone nanofiltration membrane using organic acids: morphology, characterization and performance in removal of xenobiotics, Sep. Purif. Technol., 96, 214-228 (2012). 

  18. S. M. Woo, Y. S. Chung, and S. Y. Nam, Evaluation of morphology and water flux for polysulfone flat sheet membrane with conditions of coagulation bath and dope solution, Membr. J., 22, 258-264 (2012). 

  19. K. Hendrix, G. Koeckelberghs, and I. F. Vankelecom, Study of phase inversion parameters for PEEK-based nanofiltration membranes, J. Membr. Sci., 452, 241-251 (2014). 

  20. M. Sairam, X. Loh, and Y. Bhole, Spiral-wound polyaniline membrane modules for organic solvent nanofiltration (OSN), J. Membr. Sci., 349, 123-129 (2010). 

  21. J. H. Park, D. J. Kim, and S. Y. Nam, Characterization and preparation of PEG-Polyimide copolymer asymmetric flat sheet membrane for carbon dioxide separation, Membr. J., 25, 547-557 (2016). 

  22. S. M. Woo, J. J. Choi, and S. Y. Nam, Preparation of hydroxy polyimide membranes for gas separation by phase inversion method, Membr. J., 22, 62-71 (2012). 

  23. I. Valtcheva, S. Kumbharkar, J. Kim, L. Peeva, and A. Livingston, Development of organic solvent nanofiltration membranes for the application in extreme pH conditions, Procedia Eng., 44, 313-315 (2012). 

  24. D. Chen, S. Yu, H. Zhang, and X. Li, Solvent resistant nanofiltration membrane based on polybenzimidazole, Sep. Purif. Technol., 142, 299-306 (2015). 

  25. N. W. Kim, Preparation of asymmetric membrane by addition of nonsolvent, Membr. J., 25, 32-41 (2015). 

  26. S. B. Yun and Y. T. Lee, Effect of addition of cosolvent $\gamma$ -butyrolactone on morphology of polysulfone hollow fiber membranes, Appl. Chem. Eng., 25, 274-280 (2014). 

  27. J. A. Joule and K. Mills, Heterocyclic Chemistry at a Glance, 461-483, John Wiley and Sons, Chichester, UK (2012). 

  28. J. F. Kim, P. R. Gaffney, and I. B. Valtcheva, Organic solvent nanofiltration (OSN): A new technology platform for liquid-phase oligonucleotide synthesis (LPOS), Org. Process Res. Dev., 20, 1439-1452 (2016). 

  29. T. G. Ahn, Miscibility and specific intermolecular interaction strength of PBI/PI blends depending on polyimide structure, Appl. Chem. Eng., 9, 185-192 (1998). 

  30. B. Y. Lee, P. Dahal, H. S. Kim, S. Y. Yoo, and Y. C. Kim, A study on the molecular weight contro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branched polycarbonate, Appl. Chem. Eng., 23, 388-393 (2012). 

  31. J. H. Lee, J. H. Kim, and Y. T. Lee, Characteristics of permeation and fouling of UF/MF hollow fiber membranes for drinking water treatment, Membr. J., 10, 75-82 (2000). 

  32. J. S. Wang, B. J. Kim, and S. H. Choi, Technical feasibility for hollow-fiber ultrafiltration water treatment system and its economic aspects, Appl. Chem. Eng., 10, 12-18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