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관속식물 IUCN 적색목록 평가와 문제점
An Assessment and Review of IUCN Red List for Vascular Plants in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6 no.2, 2017년, pp.111 - 120  

장진성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김혜원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김휘 (목포대학교 한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IUCN의 적색목록은 전 세계 규모에서 가장 신뢰받는 멸종, 희귀 동식물종의 평가와 보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016년 7월까지 한반도에 분포하는 식물중 IUCN 적색목록 평가를 받은 종은 236종으로, 5종이 멸종위기종(CR), 20종이 위기종(EN), 9종이 취약종(VU)으로 확인되었다. 나머지 189종은 약관심종(LC)으로 평가되었다. 환경부는 2011년 국가적 색목록 평가라는 명목 하에 IUCN 적색목록과 내용, 형식이 다른 정성적 기준에 따라 평가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환경부는 멸종위기종 I급과 II급 목록을 57종으로 수정 제시하였다. 이 목록은 IUCN의 적색목록과 비교시 일부 공통종이 있으나 공통종도 보전상의 지위가 일치하지 않는다. 이런 평가 내용의 불일치의 이유는 남한이라는 제한된 지역 수준의 평가로는 전 세계 규모의 평가와는 결과가 일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 평가에 필요한 정보가 부실하게 제시되거나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자의적 평가가 이루어진 경우도 있다. 국가 단위의 종 관리를 위해서는 멸종과 절멸에 대한 엄밀한 용어 적용과 남한에 국한된 제한적 시각의 편향된 결과를 배제하고, 분류학적 실체에 근거한 종 선정, 평가를 위한 개체군의 크기, 분포, 개체수, 개체군 증감에 대한 구체적 자료 제시와 수집이 필요하다. 환경부의 현재 멸종위기동식물 목록은 '국내절멸위기목록'으로 변경하고, 전 세계 단위의 IUCN적색목록 평가종을 '멸종위기목록'으로 이원화해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 현재 국가 기관에서 제시하는 몇 백 종의 과도한 목록 보다는 우선 평가 대상의 종을 순차적으로 늘려가면서, 평가 및 종관리에 내실을 다지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est source of information on the conservation status of species at a global scale i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Until now, 236 vascular plants from Korean peninsula have been evaluated using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It indicated that five taxa were considered 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번 KPSG에 의해 평가되어 최초로 등록한 한반도 분포 적색목록 관속식물종과 함께 이전에 외국의 다른 전문가그룹에 의해 평가 출판된 적색목록의 결과를 종합하여 기존의 국내 환경부와 일부 산림청의 멸종위기 종의 지위와 비교 분석하여 국내 멸종위기식물 관리와 정책 현황에 대해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IUCN에 등록된 평가정보를 바탕으로 위협요인, 보전상의 지위, 국내 보전상의 지위와의 비교를 통해 멸종위기 종 관리의 방향을 제시하고 국제적 수준의 평가의 확산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향후 국내 종 보전 및 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대안과 구체적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KPSG에서는 약 100여종의 고유종을 중심으로 전 세계 수준의 평가를 우선적으로 하고 있으며, 단계적으로 주변 국가에서 멸종위기로 평가한 중에서 한반도에서도 이에 준한 위협에 처한 종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평가 대상을 늘려 진행하고자 한다. 국가기관은 IUCN 적색목록에 등재된 멸종위기로 평가되는 분류군(CR에서 VU까지)을 반드시 멸종위기목록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한다.
  • 본 연구는 이번 KPSG에 의해 평가되어 최초로 등록한 한반도 분포 적색목록 관속식물종과 함께 이전에 외국의 다른 전문가그룹에 의해 평가 출판된 적색목록의 결과를 종합하여 기존의 국내 환경부와 일부 산림청의 멸종위기 종의 지위와 비교 분석하여 국내 멸종위기식물 관리와 정책 현황에 대해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IUCN에 등록된 평가정보를 바탕으로 위협요인, 보전상의 지위, 국내 보전상의 지위와의 비교를 통해 멸종위기 종 관리의 방향을 제시하고 국제적 수준의 평가의 확산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향후 국내 종 보전 및 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대안과 구체적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IUCN 적색목록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에 따라 최초로 평가한 33종의 관속식물과 기존 외국 연구자들에 의해 평가된 국내 분포종에 대한 총 236종의 평가결과를 국내 환경부의 멸종위기야생 생물종 목록을 중심으로 보전상의 지위를 비교하였다(Chang et al., 201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SC내의 전문가그룹인 한국식물전문가그룹이 국내에서 첫 활동을 시작한 시기는? SSC내의 전문가그룹인 한국식물전문가그룹(Korean Plant Specialist Group; KPSG)은 한반도내 식물에 대한 적색목록평가권한(Red List Authority)을 1997년부터 부여받아 국내에서 첫 활동을 시작하였다. KPSG는 국내에 최초로 IUCN 적색목록 평가 방법에 대한 소개를(Chang et al.
환경부는 언제 야생 동·식물 법을 제정, 공포헀는가? 환경부는 2005년도에 야생 동·식물 법을 제정, 공포하여 기존의 자연환경보전법에서 사용하던 ‘멸종위기 야생동․ 식물’과 ‘보호 야생 동․식물’이라는 용어 및 대상 종 대신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I급과 II급으로 새로이 정비하였다 (Kim et al., 2012).
멸종위기 적색목록에 있는 종들에 대한 평가결과는 어떻게 관리되는가? , 2012). 대상 종에 대해서는 모든 평가 결과를 문서화(documentation)하고, 이에 대한 교차점검을 의무화하고 있다(IUCN Standards and Petitions Subcommittee, 2013). 전 세계 멸종위기의 동식물에 대한 평가를 위해 정확한 기준을 제공하고 있으며, 매 5년마다 혹은, 최소 10년마다 재평가를 목표로 지속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발전시켜왔다(Ch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beli, T., Gentili, R., Rossi, G., Bedini, G. and Foggi, B. 2009. Can the IUCN criteria be effectively applied to peripheral isolated plant populations?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18: 3877-3890. 

  2. Ahn, Y.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pp. 390. (in Korean) 

  3. Akcakaya, H., Butchart, S., Mace, G., Stuart, S. and Hilton-Taylor, C. 2006 Use and misuse of the IUCN Red List Criteria in projecting climate change impacts on biodiversity. Global Change Biology 12(11): 2037-2043. 

  4. Akcakaya, H., Leader-Williams, N., Milner-Gulland, E.J. and Stuart, S. 2008 Quantification of extinction risk: IUCN's system for classifying threatened species. Conservation Biology 22(6): 1424-1442. 

  5. Chang, C.-S., Kim, H. and Chang, K.S. 2014. Provisional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for the Korea Peninsula Flora. Designpost, Korea. 

  6. Chang, C.-S., Kim, H., Sohn, S.W. and Kim, Y.S. 2016. The Red List of Selected Vascular Plants in Korea. KPSG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Gwangneung. 

  7. Chang, C.-S., Kim, H. and Kim, Y.S. 2001. Reconsideration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Korea based on the IUCN Red List Categorei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1: 107-142 (in Korean). 

  8. Chang, C.-S., Lee, H.S., Park, T.Y. and Kim, H. 2005. Reconsideration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Korea Based on the lUCN Red List Categories. Korean Journal of Ecology 28: 305-320 (in Korean). 

  9. Havill, N.P., Campbell, C.S., Vining, T.F., LePage, B., Bayer, R.J. and Donoghue, M.J. 2008.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Tsuga (Pinaceae) inferred from nuclear ribosomal ITS and chloroplast DNA sequence data. Systematic Botany 33(3): 478-489. 

  10. Isaac, N.J., Mallet, J. and Mace, G.M. 2004. Taxonomic inflation: its influence on macroecology and conservation.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19(9): 464-469. 

  11. IUCN. 2001. IUCN Red List Categories: Version 3.1. Prepared by the 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IUCN,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http://www.iucn.org/themes/ssc 

  12. IUCN. 2012. Guidelines for Application of IUCN Red List Criteria at Regional and National Levels: Version 4.0.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13. IUCN Standards and Petitions Subcommittee. 2013. Guidelines for Using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Version 10.1. Prepared by the Standards and Petitions Subcommittee. 1. 

  14. Kim, C.H. and Park, J.H. 2013. Endemic species of Korea: Planta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in Korean). 

  15. Kim, H., Lee, B.C.,. Kim, Y.S. and Chang, C.-S., 2012. Critiques of 'The endangered and protected wild species list in Korea' proposed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and listing process - Is this the best process for the current national management of endangered wildlife and pla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1(1):7-19. (in Korean) 

  16. Kim, M.Y. 2004. Korean Endemic Plants. Solkwahak. Seoul (in Korean). 

  17. Kim, S.B. 2014. Korea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Second Editio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pp. 242. 

  18. Lee, B.C. 2009.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oen-si. pp. 332. 

  19. Lee, B.Y., Nam, G.H., Lee, J.Y., Park, C.H., Lim, C.E., Kim, M.H., Lee, S.J., Noh, T.K., Lim, J.A., Han J.E. and Kim, J.H. 2011.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Vascular Plants). NIBR, Incheon, 633pp. (in Korean). 

  20. Oh, H.K. 2015. Population Dynamics and IUCN Regional Red List Assessment of Endangered Plants in Korea. Kangwon University, Ph.D. disseration. (in Korean). 

  21. Oh, S.M. 2011. Holding of public hearing about listing/delisting of endangered species. https://me.go.kr/home/web/board/read.do?boardMasterId39&boardId178265, June 29, 2011. 

  22. Paik, W.K. 1994. Substance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and investigation of their distribution. Bulletin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13: 5-84 (in Korean) 

  23. Park, S.K., Kim, H. and Chang, C.-S. 2013. Evaluating Red List categories to a Korean endangered species based on IUCN criteria - Hanabusaya asiatica (Nakai) Nakai-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3(2): 128-138. (in Korean) 

  24. Soule, M.E. 1985. What is conservation biology? Bioscience 35: 727-734. 

  25. U.S. Fish & Wildlife Service. Endangered Species Act. 2017. https://www.fws.gov/endangered/laws-policies. 

  26. Yoccoz, N., Nichols, J. and Boulinier, T. 2001 Monitoring of biological diversity in space and time.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16(8): 446-4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