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시각장애인의 구강보건행태가 DMFT지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al health behavior of the visually impaired on DMFT index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7 no.3, 2017년, pp.331 - 342  

이종화 (수성대학교 치기공과) ,  이승희 (대구보건대학교 치기공과) ,  윤현경 (안동과학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at helping oral health prevention of the blind and related management plan, which is defined as the influence factors between missing and filled permanent teeth index and general feature and oral health behavior of the blind in Korea (estimates 229,678 persons) using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DMFT지수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구강보건교육과 효율적 구강보건 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제6차(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11]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시각장애인의 DMFT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시각장애인의 DMFT지수는 8.
  • 본 연구는 제6차(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계층, 군집, 표본가중값 등 복합표본설계(complex sampling design) 요소를 반영한 우리나라 만 30세 이상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DMFT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건강 설문조사 및 구강검진 정보가 모두 있는 전국 시각장애인 추정수 229,67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실태조사에서 장애인의 가장 큰 장애 원인은 무엇인가? 시각 장애인의 건강상태를 논의함에 있어서는 기존의 국내 연구에서는 대부분 안과학적 질병의 기전과 치료예후 등과 관련된 부분만이 집중되었으며, 시각 장애인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태 등 건강에 관한 통합적 관점에 대한 관심이 크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1]. 장애인실태조사에 의하면 장애인의 장애 원인은 88.9%가 후천적 질환이나 사고로 인하여 발생한 것으로 각종 사고 및 약물남용 등 다양한 장애발생 위험요인의 증가에 의한 것이며, 인구 고령화와 그에 따른 노인성 질환의 발병률 증가와 더불어 점차 증가할 것이라 보고하였다[2].
본 연구에서 시각장애인의 DMFT지수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구강보건교육과 효율적 구강보건 프로그램을 마련하려고 하는 이유는? 그러나,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하여 건강의 예방관리 부재와 질병에 대한 노출이 상대적으로 많고, 건강정보의 접근에 많은 제약을 받으며, 건강관련 정보의 접근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9]. 또한, 시각장애인은 장애등급 정도에 따라 시력장애가 다르기 때문에 보편적인 건강정보 전달에 시각적 활용 접근방법[10]과 구강보건교육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음성낭독 기능제공, 점자 등으로 제작된 구강보건교육 대체자료의 접근에 어려움을 겪으며, 구강보건교육에 활용할 수 지원체제가 제대로 구축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고, 이에 따른 구강보건에 대한 문제를 다룬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조사된 2010 ~ 2014년 사이의 우리나라 등록 장애인 수는 어떻게 되는가? 우리나라 등록 장애인 수는 2010년 2,517,312명, 2011년 2,519,241명, 2012년 2,511,159명, 2013년 2,501,112명, 2014년 2,494,460명으로 조사되었으며[3], 추정 장애인의 수는 2005년 2,148,686명이었던 것이 2011년 2,683,477명, 2014년 2,726,910명으로 증가하고 있다[2]. 그 가운데 등록 시각장애인 수는 2010년 249,259명, 2011년 251,258명, 2012년 252,564명, 2013년 253,095명, 2014년 252,825명 이었으며, 추정 시각장애인의 수는 2011년 259,986명, 2014년 278,173명으로 증가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him JW, Han SH. Preventive health examination, health behavior, and psychological health in visual disabilities.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12):1870-8. https://doi.org/10.3341/jkos.2012.53.12.1870 

  2.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2014),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social welfare: survey on the disabled 2014". [Internet]. [cited 2016 October 12]. https://data.kihasa.re.kr/db/subject_view.jsp?grp_seq64&project_seq321 

  3.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Disabled statistics 2015". [Internet]. [cited 2016 October 3]. https://www.kead.or.kr/webzine/ibook/ttsbook/stakead2015/book.html. 

  4. Disabled Welfare Law enforcement regulations, "Disability rating tables". [Internet]. [cited 2016 October 10]. https://www.lawnb.com/lawinfo/contents_view.asp?cidBE514526B56448048E56E88D68788F0F|0|K 

  5. Nyman SR, Gosney MA, Victor CR. Psychosocial impact of visual impairment in working-age adults. Br J Ophthalmol 2010;94:1427-31. 

  6. Brody BL, Roch-Levecq AC, Gamst AC, Maclean K, Kaplan RM, Brown SI. Self-management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nd quality of lif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Ophthalmol 2002;120:1477-83 

  7. Kang JG, Kim RK. An analysis of the recent study trend of visual impairments. Korean J Visual Impairment 2011;27(4):103-33. 

  8. Jeon HS, Kim YN, Choi YH, Chung WG, Kim BL, Lee KH, et al. Utilization of dental service and oral hygiene behavior in Korean disabled adult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7;31(1):73-82. 

  9. Bae MJ, Hwang SH, Kim SA, Lee JY, Yoon JA, Park JH, et al. Related factors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J Korean Soc Dent Hyg 2015;15(3):461-75.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3.461 

  10. Bak SH. Survey on the use of literacy media and optical aids by degree of visual disability or onset of vision loss among students in Korean schools for the blind. Korean J Visual Impairment 2011;27(4):21-37.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6),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health statistics: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6)".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13. Kim YN, Song YS, Choi EJ, Kim YS, Choi EM. An analysis of the associated factors which influence DMFT index of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in Pocheon city. J Korean Soc Dent Hyg 2011;11(1):113-26. 

  14. Moon HJ, Kim SA, Park HJ. Association between dental caries experience and performance of the dietary action guides among the special school for students of disability, J Korean Soc Dent Hyg 2012;12(6):1193-202. 

  15. Kim YN, Jeong SH, Lee YE, Song KB, Lee KH, Chung WG, et al. The status of dental caries experience in korean disabled people. J Korean Dis Oral Health 2006;2(1):10-6.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Based on data of 2010 national oral health survey,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17. Choi YH, Lee JH, Lee SG. Geographical disparities for oral health status in Korean adult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9;33(2):243-53. 

  18. Kim HJ, Park CM, Woo KH, Lee ES, Lee JR, Ha EK. A Study on oral health status and factors related with oral health among industrial workers.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002;28(2):158-67. 

  19. Kang JG, Kim RK. An analysis of the recent study trend of visual impairments. Korean J Visual Impairment 2011;27(4):103-33. 

  20. Lee WY. The Role of selected health-related behaviors in the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oral health among adults.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2009;26(1):129-40. 

  21. Sabbah W, Tsakos G, Sheiham A, Watt RG. The role of health-related behaviors in the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oral health. Soc Sci Med 2009;68(2):298-303. 

  22. Jin HJ, Jung EK, Lee YE, Song KB. Cognition of dental caries prevention by the level of the social economic status in Korea: based on gallup survey. J Korean Soc Dent Hyg 2015;15(1):39-46.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1.39 

  23. Bak SH. Survey on the use of literacy media and optical aids by degree of visual disability or onset of vision loss among students in Korean schools for the blind. Korean J Visual Impairment 2011;27(4):21-37. 

  24. Shim HS, Kim SS, Kim JH. Influencing factors of non-utilization of dental care among adults in Korea: Using 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J Korean Soc Dent Hyg 2015;15(5):823-9.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5.823 

  25. Lee SY. The association of dietary habits and socioeconomic factors in dental caries in Korean adults from the 2001 Korean national examination health and nutrition survey. J Korean Acad Dent Hyg 2010;12(4):349-66. 

  26. Jung YJ, Cho MH, Moon DH. Influencing factors to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in Korean adults. J Korean Soc Dent Hyg 2015;15(1):47-54.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1.47 

  27. Jeon JE, Chung WG, Kim NH. Determinants for dental service utilization among.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1;35(4):441-9. 

  2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survey for people with disability in Korea 2011. survey results.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2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1)". Sej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30. Kim YH. Factors that influence the oral health status between Korean adults living in Korea and the US. 2013;13(4):597-604. https://doi.org/10.13065/iksdh.2013.13.4.597 

  31. Shin SJ, Ahn YS, Jung SH. Public health dentistry : The relation between dental health behaviors and socioeconomic status among Korean adolescent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8;32(2):223-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