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한 근린환경의 보행안전성 진단 매뉴얼 개발
Development of a Diagnosis Manual to Evaluate the Pedestrian Safety in a Neighborhood Using the Mixed Research Method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8, 2017년, pp.1 - 14  

김재철 (가천대학교 도시계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근린 보행안전 개선에 필요한 체계적 진단 매뉴얼을 개발하고, 사례연구를 통하여 매뉴얼의 구체적 적용과정과 유용성을 보여주는 것을 주목적으로 기술적 탐색적 연구이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개발한 진단 매뉴얼은 간접자료를 활용하는 도면/데이터 분석, 조사원에 의한 현장관찰, 그리고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이용자 설문인터뷰의 세가지 조사방법을 포함하는 혼합연구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저자는 서울 창신동 대상으로 진단 매뉴얼을 적용한 사례연구에서 세 가지 조사방법에 따른 연구결과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대상지 내 위험지역과 위험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도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함으로써 진단 매뉴얼의 유용성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실무적으로는 계획가들에게 근린 보행안전성 진단을 위한 체계적 수단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는 여러 조사방법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통합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삼각검증 프로세스를 실증적으로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후속연구에서는 진단 매뉴얼을 더 많은 사례들에 적용하여 봄으로써 다양한 맥락에서 보다 정교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개선할 계획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and exploratory one aiming to develop a systematic/diagnostic manual that i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destrian safety of a neighborhood and show the practical application and usefulness of the manual through a case study. The diagnostic manual developed o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 논의한 기존 진단도구의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1) 전문가와 이용자의 시각을 모두 반영 하고, 2) 다양한 유형의 자료들을 활용하는 3) 근린단위의 보행안전성 평가를 위한 체계적인 진단 매뉴얼을 개발하는 것과 실제 사례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매뉴얼의 유용성을 테스트하고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그 과정에서 서로 다른 조사기법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삼각검증을 통하여 서로 다른 기법의 결과를 통합적으로 해석하여 근린환경의 개선을 위한 실용적인 시사점을 이끌어내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도면/데이터 분석은 다음 단계인 현장관찰 준비를 위한 대상지 여건의 개략적인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면/데이터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관찰에 포함될 조사항목, 조사경로 등을 계획할 수 있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혼합연구방법(mixed research methods)[2,3]을 활용하여 대상지의 보행안전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진단하기 위한 체계적인 매뉴얼을 개발하고, 사례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진단 매뉴얼의 구체적인 적용 과정을 보여주고 유용성을 테스트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은 1) 근린환경의 보행안전과 근린환경 진단도구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2) 표준 진단 매뉴얼의 개발, 그리고 3) 사례연구를 통한 진단 매뉴얼의 보정 및 적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여기서는 보행안전 진단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 사례 들을 검토하여 기존 진단도구들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정리하였다. 국외 진단도구 사례로, 먼저 캐나다 오타와시의 보행안전평가도구(Pedestrian Safety Evaluation Tool) 에서는 보행권인 근린단위에서 보행위험지역과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대처방안을 도출하는 상세한 과정을 제시 하고 있다[16].
  • 이 연구에서 저자는 근린환경의 보행안전도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진단 매뉴얼을 개발하고 사례연구를 통하여 적용과정과 유용성을 보여주었다. 즉, 도면/데이터 분석, 현장관찰 및 이용자 설문 인터뷰 등의 대표적인 조사기법들로 구성된 표준 진단 매뉴얼을 개발하고, 사례연구를 통하여 표준 진단 매뉴얼을 실제 대상지 맥락에 맞추어 보정하는 과정과 매뉴얼을 활용하여 개선대안을 도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었다.
  • 이 연구의 주 목적은 근린환경의 보행 안전성 개선을 위한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진단 매뉴얼을 개발하고 실제 사례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여 개발된 매뉴얼의 구체적인 적용방법과 유용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이론적 명제의 단순한 증명이 아닌, 실무가들이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계획수단의 개발과 시범적용을 통한 계획수단의 질적 평가가 핵심목표이다.
  •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되었었으나 현재는 주민신청에 의해 지구가 해제 되어 있다[25]. 이 지역은 경제적으로 쇠퇴하였을 뿐만 아니라 물리적 환경 역시 심각하게 낙후되어 있어, 근린 환경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개발한 진단 매뉴얼의 유효성을 테스트하기에 적합한 지역으로 판단하였다.
  • 현장관찰과 같은 직접관찰은 관찰자가 인지하는 모든 것들이 정보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풍부한 객관적인 정보의 자료원”으로 알려져 있다[23] 8). 이 진단 매뉴얼에서 현장관찰은일상생활의 무대인 가로 및 블록 스케일의 근린환경에 대한 세부적인 공간정보와 이용자행태 관련 정보를 수집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한다. 예를 들어, 보도의 포장상태, 차량의 체감속도, 자동차나 오토바이에 의한 보행불편과 같은 정보들은 현장관찰을 통하여 더 잘 수집할 수 있다.
  • 진단 매뉴얼의 삼각검증, 즉 세 가지 조사방법의 결과를 비교하고 종합적으로 해석하는 과정은 근린의 어느 장소가 보행자 교통사고에 가장 취약한지, 그리고 그 영향 요인이 무엇인지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연구자는 각 조사에서 가장 점수가 높은 (즉, 가장 위험한) 장소들을 파악하고, 세 가지 조사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위험지역으로 확인된 장소를 우선적으로 개선할 지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 현장관찰은 도면/데이터 분석에서 쓰인 간접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얻기 힘든 대상지 근린환경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현장관찰과 같은 직접관찰은 관찰자가 인지하는 모든 것들이 정보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풍부한 객관적인 정보의 자료원”으로 알려져 있다[23] 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면/데이터 분석의 목적은? 따라서 도면/데이터 분석은 다음 단계인 현장관찰 준비를 위한 대상지 여건의 개략적인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면/데이터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관찰에 포함될 조사항목, 조사경로 등을 계획할 수 있다.
진단 매뉴얼의 전제 조건은 무엇이 있는가? 진단 매뉴얼 개발의 첫 단계로, 저자는 진단 매뉴얼이 기존 연구나 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충족시켜야할 다음 세 가지의 전제조건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다양한 조사방법 및 자료의 활용, 둘째, 전문가와 이용자 간의 조화,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상지 맥락에 민감한 절차적 접근이다. 아래에서 각각의 전제조건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하였다.
도면/데이터 분석이란? 도면/데이터 분석은 현장에 대한 직접조사(현장관찰과 이용자 설문 인터뷰)에 앞서 수행하는 예비적, 간접적 조사분석이다. 도면/데이터 분석과 같이 다른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2차 자료를 활용하는 간접분석은 분석의 “단순성, 경제성, 감독의 용이성” 같은 이점을 가지지만, 특정 대상에 대한 실제적인 적용을 위한 자세한 정보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23]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 H. Oh and C. Y. Tchah, "How the Korean Urban Design Practice adopted the Western Urban Design Theories". Architecture and Urban Research Institute, 2011. 

  2. A. Tashakkori and C. Teddlie, "Mixed methodology: Comb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 1998. 

  3. R. K. Yin,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5th ed., Sage Publications, 2014. 

  4. OneNYC: Mayor de Blasio Announces "Citi Summer Streets" this August, Supplemented tor First Time by New "Shared Streets" Event in Lower Manhattan, http://www1.nyc.gov/office-ofthe-mayor/news/539-16/onenyc-mayor-de-blasiociti-summer-streets-this-august-supplemented-tor-first-time-by, March 20, 2017 

  5. E. Talen, "Charter of the New Urbanism", 2nd ed. McGraw-Hill Education, 2013. 

  6. DOI: M. Southworth, "Designing the Walkable City", Journal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Vol. 131, No. 4, pp.246-257, 2005. https://doi.org/10.1061/(ASCE)0733-9488(2005)131:4(246) 

  7. A. B. Jacobs, "Great Streets", MIT Press, 1995. 

  8. M. E. Koltko-Rivera, "Rediscovering the Later Version of Maslow's Hierarchy of Needs: Self-Transcendence and Opportunities for Theory, Research, and Unification",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Vol. 10, No. 4, pp.302-317, 2006. 

  9. DOI: E. Dumbaugh and R. Rae, "Safe Urban Form: Revisi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Design and Traffic Safety",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 75, No. 3, pp.309-329, 2009. http://dx.doi.org/10.1080/0194436 0902950349 

  10. A. Loukaitou-Sideris, "Is It Safe to Walk? Neighborhood Safety and Security Considerations and Their Effects on Walking", CPL bibliography, Vol. 20, No. 3, pp.219-232, 2006. 

  11. S. H. Oh and N. G. Jihee, "Pedestrian City: 12 Guidelines for Better Pedestrian Environment", Architecture and Urban Research Institute, 2011. 

  12. C. Perry, "The Neighbourhood Unit", Routledge, 1998. 

  13. Le Corbusier, Ville Contemporaine de Trois Millions d'Habitants Home page, http://www.fondationlecorbusier.fr/corbuweb/morpheus.aspx?sysId13&IrisObjectId6426&sysLanguageen-en&itemPos214&itemSorten-en_sort_string1%20&itemCount216&sysParentName&sysParentId65, August 23, 2016 

  14. DOI: E. Ben-Joseph, "Changing the Residential Street Scene: Adapting the Shared Street (Woonerf) Concept to the Suburban Environment",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 61, No. 4, pp.504-515, 1995. http://dx.doi.org/10.1080/01944369508975661 

  15. J. C. Kim, "Transitions from Theory to Practice in Urban Design Movements: Application of the Model-Prototype-Adaptation Framework to New Urbanist Neighborhood Development Practices", Journal of Architectural and Planning Research, Vol. 30, No. 4, pp.271-290, 2013. 

  16. K. Tanaka, "Ottawa Pedestrian Safety Evaluation Tool", Conference and Exhibition of the Transportation Association of Canada-Transportation: Innovations & Opportunities, 2012. 

  17. Transport of London, Walking Home page, https://tfl.gov.uk/corporate/about-tfl/what-we-do/walking, July 1, 2017 

  18. D. Farr, "Sustainable urbanism: Urban design with nature", John Wiley & Sons, 2011. 

  19. B. S. Kim and W. H. Suh, "Current Practice of Walkability Assessment for Senior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Policy, Vol. 12, No. 3, pp.58-65. 2015. 

  20. DOI: S. G. Kim, "Walking Accident Characteristics and Walking Factors for Road Crossing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n the Case of Yeosu",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6, pp. 439-448, 2016. http://dx.doi.org/ 10.14400/JDC.2016.14.6.439 

  21. DOI: S. B Kang and C. H. Kwon,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and Importance analysis of U-safe C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1, pp.15-27, 2013. http://dx.doi.org/10.14400/JDPM.2013.11.11.15 

  22. J. K. Lee, Y. T. Son, S. J. Han, J. Y. Park and S. H. Lee, "Evaluation of Vehicle and Pedestrian Environments using Grey System Theo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8, No. 4, pp.141-156, 2010 

  23. K. Lynch and G. Hack, "Site Planning". MITpress, 1984. 

  24. C. Geertz, "Local Knowledge: Further Essays in Interpretive Anthropology", Basic Books, 2000. 

  25.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ommunity Revitalization Plan for Seoul Jongro-gu Urban Regeneration Priority Regi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5. 

  26. Daum Online Map Service. http://map.daum.net/, May 10, 2014. 

  27.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http://taas.koroad.or.kr/, May 13, 2017. 

  2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edestrian Traffic Improvement Plan Manual",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