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네버렛미고>를 통해본 복제 인간 윤리
Ethics for Cloned Human Being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8, 2017년, pp.121 - 129  

김미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파라미타 칼리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명공학의 발달로 인해 복제 인간을 만들기 위해 인간의 유전자를 복제한다는 가상의 시나리오는 더 이상 낯설지 않다. <네버렛미고>의 등장인물들은 100세 수명기획에 의해 실험실에서 만들어진 복제 인간들이다. 이들은 해일샴이라는 학교에서 공동생활을 하면서 은밀하게 사육되는데,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불치병에 걸린 진짜 인간 환자들에게 건강한 장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주인공 캐시, 토미, 그리고 루스는 사춘기 시절 이곳에서 육체와 의식의 성장을 경험하며 자신들이 복제 인간이라는 정체성의 비밀도 알게 된다. 성인이 되어 이들은 두 번째 거주지 코티지로 이동하여 장기기증을 시작할 준비를 한다. 두 번째 단계 또한 좀 더 진짜 성인 인간의 장기와 유사한 장기를 만들어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인간들이 꾸민 모든 계획을 다 알고 있지만, 이들은 그것에 대해 저항하지 않고 자신들이 처한 상황을 숙명적으로 수용한다. 그러나 이들의 무저항은 삶에 대한 포기 선언이 아니라 자신들의 장기 기증을 통해 생명의 연장이라는 또 다른 미래를 위한 자기희생적 생명 연장이다. 영화는 복제된 인간들의 우애와 희생적 태도를 강조해서 보여줌으로써 난치병의 치료를 위한 생명공학과 생명윤리라는 상이한 견해에 대해 철학적 사유가 뒷받침된 생명윤리적 관점에서 복제 인간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volution of biotechnology is no longer strange to the hypothetical scenario of cloning human genes to make cloned human beings. The characters of are cloned humans made in the laboratory by the 100-year-old life planning. They are cohabited in a school called Hailsham, where they are secret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물론 전달하고자하는 주제는 같지만 텍스트 분석을 통해서 독자가 느끼는 점과 시각 매체인 영화를 통해 관객에게 전해지는 자극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복제인간을 어떤 상징적 사회현상으로 보지 않고 이것이 유발할 수도 있는 문제점들을 사실적으로 직시하여 이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그 목표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보다 효과적으로 부각시키고 있는 영화만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복제인간 윤리에 대해 재고해 보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복제인간을 어떤 상징적 사회현상으로 보지 않고 이것이 유발할 수도 있는 문제점들을 사실적으로 직시하여 이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그 목표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보다 효과적으로 부각시키고 있는 영화만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복제인간 윤리에 대해 재고해 보고자 한다.
  • 본고에서는 영화 에 등장하는 복제 인간들은 존재자인가 아니면 공학 기술이 만들어낸 ‘쓸모있는’ 물질 덩어리에 불과한가라는 의문을 품고 이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했다.

가설 설정

  • 그들은 무엇이든지 할 수 있지. . . . 너희는 그 누구도 미국에 갈 수 없어..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화 프랑켄슈타인은 언제 개봉하였는가? 의학 분야에서의 이러한 발전에다 예술가들은 자신들의 상상력을 결합시켜 장기적출의 목적으로 키워지는 복제 인간을 다룬 문학 작품이나 영화를 발표하고 있다. 복제 인간 혹은 인간 복제를 소재로 한 1931년 작 <프랑켄슈타인> 이후 복제를 소재로 제작된 영화는 크게 두 가지 부류로 나누어진다. 미래 세계라는 가상의 공간을 표현하기 위해 특수 효과를 적용하여 관객들에게 시각적 쾌감을 제공하는 SF영화와, 이와는 반대로 철저하게 특수 효과를 배제한 화면구성을 통해서 관객의 정서적 판단에 호소하는 영화들이 있다.
프랑켄슈타인 이후 복제를 소재로 제작된 영화는 어떻게 나누어지는가? 복제 인간 혹은 인간 복제를 소재로 한 1931년 작 <프랑켄슈타인> 이후 복제를 소재로 제작된 영화는 크게 두 가지 부류로 나누어진다. 미래 세계라는 가상의 공간을 표현하기 위해 특수 효과를 적용하여 관객들에게 시각적 쾌감을 제공하는 SF영화와, 이와는 반대로 철저하게 특수 효과를 배제한 화면구성을 통해서 관객의 정서적 판단에 호소하는 영화들이 있다.
복제 기술에 관한 대표적 담론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복제 기술에 관한 대표적 담론으로는 난치병의 치료를 통한 수명연장과 그에 따른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해복제 기술을 활용한 치료에 찬성하는 생명 공학의 관점과 이를 악용할 경우 생길 수 있는 반인간적 상황을 가정하여 반대하는 윤리적, 종교적 시각을 들 수 있다. 시카고 대학의 레온 카스(Leon Kass) 교수는 인간 복제에 대해 매우 단호하게 반대하는 대표적 인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도미니크 르쿠르, 권순만 옮김, 인간복제논쟁, 지식의 풍경, 2005. 

  2. 제임스 왓슨, 스티븐 제이 굴드 외, 류지한, 박찬구, 조현아 옮김, 인간복제 무엇이 문제인가, 울력, 2002. 

  3. Matthew Eatough, "The Time that Remains: Organ Donation, Temporal Duration, and Bildung in Kazuo Ishiguro's Never Let Me Go," Literature and Medicine, Vol.29, No.1, pp.132-160, 2011. 

  4. Tiffany Tsao, "The Tyranny of Purpose: Religion and Biotechnology in Ishiguro's Never Let Me Go," Literature & Theology, Vol.26, No.2, pp.214-232, 2012. 

  5. 김대중, "Dialectics of Utopia and Dystopia and Bio-politics in Never Let Me Go," 인문과학연구, 제36권, pp.200-221, 2013. 

  6. 이진우, 이유택, 권의섭, 박미애, 인간 복제에 관한 철학적 성찰, 문예 출판사, 2004. 

  7. 페터 슬로터다이크, 이진우, 박미애 역, 인간농장을 위한 규칙, 한길사, 2004. 

  8. http://philinst.snu.ac.kr/html/main/main.php 

  9. 임마누엘 레비나스, 강영안 옮김,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2009. 

  10. 유리 띠냐노프, 보리스 에이헨바움, 로만 야꼽슨, 유리 로뜨만, 오종우 옮김, 영화의 형식과 기호, 열린책들, 2001. 

  11. 자크 오몽, 김호영 옮김, 영화 속의 얼굴, 마음산책, 2006. 

  12. 구인회, 생명윤리, 무엇이 쟁점인가, 아카넷, 2009. 

  13. 이홍경, "포스트-프로메테우스 프로젝트-프랑스판 포스트휴먼과 독일판 포스트휴먼," 독일어문학, 제60집, pp.141-165, 2013. 

  14. 김석수, "휴머니즘과 냉소주의, 그리고 새로운 인간의 탄생-슬로터다이크의 이론을 중심으로," 철학논총, 제46집, 제4권, pp.23-46, 2006. 

  15. Rachel Carroll, "Imitations of life: cloning, heterosexuality and the human in Kazuo Ishiguro's Never Let Me Go," Journal of Gender Studies, Vol.19, No.1, 2010(3). 

  16. https://en.wikipedia.org/wiki/Bildungsroman 

  17. http://www.moviecultists.com/.../screenplays/never-let-me-g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