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약퇴치 광고의 표적 집단 활용을 위한 동기 활성화의 타당도 조사
Examination of Validity of Motivation Activation Tendency as a Target Group in Delivering Anti-drug Advertisem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8, 2017년, pp.301 - 311  

이승조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동기 활성화의 개인 성향이 마약 이용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작용하는지와 개별 감성과 상호작용하여 마약퇴치 광고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동기 활성화는 식량과 같이 생존에 필요한 요소들을 성취하기 위한 동기(접근 동기), 혹은 천적과 같이 위협적인 요소들을 회피하려는 동기(회피 동기)가 발현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개별 감성은 기쁨, 슬픔, 공포를 유도하는 광고 방식의 차이를 의미한다. 실험을 자가 보고와 생리적 반응을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총 80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접근 동기의 활성화는 마약 이용을 예측하고, 방어 동기의 활성화는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약퇴치 광고의 시청에서 접근 동기의 활성화는 자가 보고 반응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생리적 반응에서 차이를 발현시켰고, 방어 동기의 활성화 성향은 자가 보고, 생리적 반응 전부에서 차별적 반응을 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접근 동기의 활성화가 높은 개인들을 마약퇴치 광고의 표적으로 삼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긍정적 감성을 유도하는 방식이 중요하다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individual variation in motivational activation would predict the drug-use and interacts with discrete emotions to influence the responses to anti-drug advertisements. Motivational activation tendency indicates an individual's level to approach life-sustaining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 성향으로서의 접근 혹은 방어 동기의 활성화가 마약 이용을 예측하는지와 마약퇴치 광고에 대하여 차별화된 반응을 유도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LC4MP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동기체계가 활성화되는 개인의 수준에 따라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감성적 반응의 차이가 발현 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ASA는 마약 이용을 예측하고[그림 4], DSA는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5].
  • 하지만 감각추구성향은 감성적으로 흥분되는 정도만 나타내는 단일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긍정적인지 혹은 부정적인지, 즉 접근 혹은 방어 동기의 상대적 활성화에 대한 방향성을 나타내지는 않는다[1].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ASA나 DSA가 감각추구성향을 대신하여 더 세밀한 표적 집단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지, 또한 그를 통하여 더욱 풍부한 메시지 설계가 가능한지 단서를 찾고자 하였다.
  • 접근 혹은 방어 동기가 활성화되어 나타나는 감성적 반응은 의식적인 수준에서 경험할 수도 있지만 무의식적 수준에서만 반영될 때도 있고, 의식적 반응과 무의식적 반응이 반대의 방향으로 나타날 때도 있다[6].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자가 보고(self-report)로 의식적인 반응을 측정하고, 안면 근전도와 같은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여 무의식적 반응을 포괄하고자 하였다.
  • 그런 면에서 본 연구는 실시간으로 무의식적인 반응을 측정할 수 있는 방식의 중요성을 알려준다. 자가 보고로만 측정하였다면 ASA가 높은 개인들을 겨냥하여 마약퇴치 광고의 전달에서 긍정적 감성을 이용하는 것이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을 것이다.
  • 긍정적 감성과 부정적 감성으로 구분하는 감성 유인가는 각각 자가 보고로 측정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감성 유인가를 측정하는데 널리 이용된 SAM(self-assessment manikin) 척도를 수정하여 이용하였다[19].
  • 구체적으로 ASA가 높은 개인들은 낮은 개인들에 비하여 기쁨 광고에서 안륜근에서 더 강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약퇴치 광고의 전달에서 ASA가 높은 개인 들을 대상으로 긍정적 소구가 유용할 수 있다는 증거를 제시한 것이다. 마약이용과 관련하여 기존에 많이 이용되었던 감각추구성향의 연구 결과는 마약 이용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감성적으로 흥분시키는 자극적인 형태의 설계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여 왔다[1].
  • 각 조건별로 네 개씩 할당한 이유는 특정한 메시지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한 것으로 네 개의 메시지의 평균이 각각의 조건을 대표한다[3]. 본 연구는 기존에 수집된 데이터의 일부를 새로운 해석과 이론적 접근으로 정리한 것이다[18].
  • 예를 들어 표적 집단의 특질과 선호를 간과한 공포 소구는 극렬한 반론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 본 연구는 동기 활성화 정도를 나타내는 성향이 마약 이용과 연관되어 있어 퇴치 광고를 위한 세부적인 표적 집단으로 설정할 수 있는지와 기쁨, 슬픔, 공포 소구의 광고에 대하여 감성적으로 차별화된 반응을 유도하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 성향으로서의 접근 혹은 방어 동기의 활성화가 마약 이용을 예측하는지와 마약퇴치 광고에 대하여 차별화된 반응을 유도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LC4MP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동기체계가 활성화되는 개인의 수준에 따라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감성적 반응의 차이가 발현 되는지 살펴보았다.
  • 표적 집단을 공략하여 원하는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표적 집단에 대한 확인 작업과 관련된 메시지 요소에 대한 식별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마약퇴치(anti-drug) 광고에 대한 반응에서 개인 성향으로서의 동기 활성화 (motivational activation)와 메시지 요소로서의 개별 감성이 상호 작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동기화된 매개정보처리의 제한용량모형 (the limited capacity model of motivated mediated message processing, LC4MP)을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3]. 이 모형은 인간이 한정된 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제한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나타나는 미디어 수용의 다양한 형태에 관한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였다. LC4MP에 따르면 미디어는 앞으로 나아가는(접근 지향적) 혹은 뒤로 물러서고자 하는(방어 지향적) 동기를 활성화시키는 감성적 콘텐츠로 가득한데, 동기 활성화 정도는 개인별로 차이가 있다[4].
  • 그런 면에서 본 연구는 실시간으로 무의식적인 반응을 측정할 수 있는 방식의 중요성을 알려준다. 자가 보고로만 측정하였다면 ASA가 높은 개인들을 겨냥하여 마약퇴치 광고의 전달에서 긍정적 감성을 이용하는 것이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을 것이다. 하지만 생리적 반응의 측정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세밀한 분석이 가능하여 다른 단서를 포착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각추구성향에게 나타날 수 있는 행위는 무엇인가? 감각추구성향은 새롭고 흥분되는 자극을 찾아 위험을 기꺼이 감수하는 경향을 의미한다[11]. 감각추구성향은 충동구매, 게임 중독, 과도한 음주, 난잡한 성관계 등 일탈 행위와 연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11-13]. 그래서 반사회적인 행위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공익 광고의 표적 집단으로 자주 설정되었으며, 감성적인 측면에서 감각추구성향이 높은 개인들에게 소구력이 높은 메시지를 설계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11].
감각추구성향이란 무엇인가? 사회적으로 금기시되거나 일탈적인 행위는 개인 성향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와 관련하여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된 것이 감각추구성향이다[1]. 감각추구성향은 새롭고 흥분되는 자극을 찾아 위험을 기꺼이 감수하는 경향을 의미한다[11]. 감각추구성향은 충동구매, 게임 중독, 과도한 음주, 난잡한 성관계 등 일탈 행위와 연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11-13].
마약퇴치 광고들 중 기쁨 광고는 어떤 모습을 묘사하였는가? 기쁨 광고는 즐겁고 유쾌한 감성을 유도하였는데, 각각의 광고는 마약을 거절하여 성취하는 ① 편안함과 안락함, ② 날아오를 것 같은 기분, ③ 미래에 대한 희망, ④ 꿈의 성취를 묘사하였다. 슬픔 메시지는 힘없고 우울한 감성을 유도하였는데, 각각의 광고는 마약으로 인하여 ① 가족이나 친구를 잃은 외로운 처지, ② 착한 소년이었지만 집에서 버려진 상태, ③ 마약 남용하는 딸을 둔 엄마의 슬픔, ④ 마약으로 인하여 모든 것을 잃은음악 그룹의 상황을 묘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Z. Wang, M. Vang, K. Lookadoo, J. M. Tchernev, and C. Cooper, "Engaging high­sensation seekers: The dynamic interplay of sensation seeking, message visual­auditory complexity and arousing content," J. of Communication, Vol.65, No.1, pp.101-124, 2015. 

  2. A. Lang, A. Sanders-Jackson, Z. Wang, and B. Rubenking, "Motivated message processing: How motivational activation influences resource allocation, encoding, and storage of TV messages," Motivation and Emotion, Vol.37, No.3, pp.508-517, 2013. 

  3. A. Lang and S. Lee, "Individual differences in trait motivational reactivity influence children and adolescents' responses to pictures of taboo products," J. of Health Communication, Vol.19, No.9, pp.1030-1046, 2014. 

  4. C. E. Beaudoin, "Exploring antismoking ads: Appeals, themes, and consequences," J. of Health Communication, Vol.7, No.2, pp.123-137, 2002. 

  5. J. M. Wolburg, "College students' responses to antismoking messages: Denial, defiance, and other boomerang effects," J. of Consumer Affairs, Vol.40, No.2, pp.294-323, 2006. 

  6. S. Lee and A. Lang, "Discrete emotion and motivation: Relative activation in the appetitive and aversive motivational systems as a function of anger, sadness, fear, and joy during televised information campaigns," Media Psychology, Vol.12, No.2, pp.148-170, 2009. 

  7. A. J. Elliot, A. B. Eder, and E. Harmon-Jones, "Approach-avoidance motivation and emotion: Convergence and divergence," Emotion Review, Vol.5, No.3, pp.308-311, 2013. 

  8. A. Lang and S. Lee, "Individual differences in trait motivational reactivity influence children and adolescents' responses to pictures of taboo products," J. of Health Communication, Vol.19, No.9, pp.1030-1046, 2014. 

  9. A. Lang, S. Kurita, B. R. Rubenking, and R. F. Potter, "MiniMAM: Validating a short version of the Motivation ActivationMeasure," Communication Methods and Measures, Vol.5, No.2, pp.146-162, 2011. 

  10. A. Lang and N. Yegiyan, "Mediated substance cues: Motivational reactivity and use influence responses to pictures of alcohol," J. of Health Communication, Vol.19, No.11, pp.1216-1231, 2014. 

  11. L. Donohew, R. Zimmerman, P. S. Cupp, S. Novak, S. Colon, and R. Abell, "Sensation seeking, impulsive decision-making, and risky sex: Implications for risk-taking and design of intervention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28, No.6, pp.1079-1091, 2000. 

  12. 양문희, "인터넷 쇼핑 충동구매성향과 개인성향의 관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pp.710-719, 2016. 

  13. 임지영, "청소년들의 내적 권태성향 및 외적 권태성향과 게임중독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317-326, 2015. 

  14. 박성수, 김우준, "마약류 수용자의 처우 프로그램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pp.348-358, 2010. 

  15. 이승조, 심은정, "영상을 통한 개별 정서의 활성화와 광고의 정적/동적 프레이밍의 상호작용,"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4호, pp.327-349, 2010. 

  16. R. S. Lazarus, Emotion and adaptation,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17. N. H. Frijda, The emotions,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18. S. Lee, Discrete emotion and motivation: Relative activation in appetitive and aversive motivational system as a function of anger, sadness, fear, and joy embedded in the content of televised information campaigns, Unpublished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2007. 

  19. R. F. Potter and P. D. Bolls, Psychophysiological measurement and meaning: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ing of media, New York, NY: Routledge,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