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약 중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Drug Addic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9, 2022년, pp.712 - 726  

신선희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신문의 뉴스 기사가 '마약 중독'에 대해 어떤 담론을 생산·유통하는지 알아보고, 그 담론의 지형과 의미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4개 일간지 신문의 뉴스기사를 대상으로 '마약', '마약 중독'을 키워드로 검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페어클로(Norman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텍스트 분석에서 마약 중독은 '범죄-처벌' 담론이 지배적이었다. 마약중독은 사회악이자 성범죄, 아동범죄, 폭력과 같은 중범죄이므로 엄격히 처벌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담론실천 분석에서 마약 중독은 치료가 필요한 '질병', 즉 정신질환이므로 국가에 의한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사회문화적 실천 분석에서 마약 중독은 경제적 이익을 목적으로 한 돈벌이 수단이자, 정치권력의 부패와 관련이 있으며, 마약범죄가 국가의 근간을 위협하지 못하도록 강력히 통제해야 할 대상이다. 문화적으로 마약 중독은 쾌락 추구의 동기에서 비롯되며, 도덕적 타락의 결과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마약 중독의 지배 담론인 '범죄-처벌' 담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질병-치료' 담론으로의 전환과 치료·재활 중심의 약물정책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discourse the newspaper's articles produce and distribute about 'drug addiction' and to reveal the topography and meaning of the discourse. Data were collected by searching 'drug' 'drug addiction' as keywords for news articles in four daily newspapers in...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둘째, 신문 기사가 생산․ 유통․소비하는 ‘마약 중독’의 지배적 담론인 ‘범죄-처벌’ 담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질병-치료’ 담론으로의 전환 및 치료·재활 중심의 약물정책을 대안으로 제시하는 것 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신문의 뉴스기사에 나타난 마약중독 담론을 페어클로(Norman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비판적 담론 분석은 페어클로와 반 다익(van Dijk)을 중심으로 체계화된 접근으로 서, 주로 미디어 담론과 그 사회적 맥락에 초점을 맞추어 담론적 변화와 사회적 변화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전문 연구자들에 의한 학문적 연구와 달리 언론매체에서는 여전히 마약중독에 대하여 선정적, 고발적 기사를 쓰거나 심각한 사회문제로만 취급하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문의 뉴스기사에서 마약중독에 관하여 어떠한 시각으로 접근하고, 어떠한 어휘를 사용하여 담론을전개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일반 대중에게 마약중독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그 지식에 기반하여 태도를 결정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 신문의 뉴스 기사가 마약중독에 대해 어떤 담론을 제시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신문기사가 생산․유통․소비하는 마약중독 담론을 살펴보는 것은 그 안에 반영된 우리의 인식과 사회적 담론이 어떻게 구성되고 재생산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우리나라 대중매체, 특히 신문 기사에 나타난 ‘마약 중독’ 담론의 지형을 확인하고, 그것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마약 사용자에 대한 처벌이 정당한지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마약 중독’에 대한 우리사회의 담론의 지형을 확인하고, 그 의미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전현욱, "중독에 대한 정당한 형사정책의 기준과 한계," 형사정책연구, 제24권, 제2호, pp.187-211, 2013. 

  2. 장혜경, 우아영, "TV 다큐멘터리가 생성한 정신장애 담론: 구별짓기의 완성," 사회복지연구, 제42권, 제1호, pp.179-217, 2011. 

  3. 서덕희, "교실붕괴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교육인류학연구, 제6권, 제2호, pp.55-89, 2003. 

  4. 대검찰청, 2021 마약류범죄백서. 

  5. 김주일, "독일 약물정책에서의 패러다임 전환," 교육이론과실천, 제12권, 제1호, pp.45-76, 2007. 

  6. 신의기, "마약류 사용사범의 피해자적 특성과 처우 방향," 피해자학연구, 제11권, 제2호, pp.79-100, 2003. 

  7. 김낭희, 서정민, "마약류사범의 약물중독, 알코올의존, 정신질환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신보건과사회사업, 제40권, 제4호, pp.175-204. 2012. 

  8. 김주일, "독일 약물합법화론에 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논총, 제20권, 제2호, pp.61-89, 2010. 

  9. 이정태, "마약중독의 정신의학적 이해," 생명연구, 제5권, pp.257-271, 2003. 

  10. 이종세, 박경숙, "마약중독과 치료 및 재활실태에 관한 연구," 중앙간호논문집, 제6권, 제1호, pp.81-87, 2002. 

  11. 박상규, "마약류 중독자를 위한 자기사랑하기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제3권, 제1호, pp.97-108, 2002. 

  12. 강선경, 윤형준, "약물중독 재활을 위한 프로그램이 마약관련 재소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교정연구, 제21권, pp.85-115. 2003. 

  13. 김은경, "한국 마약류 사용사범 특성 연구," 형사정책연구, 제17권, 제1호, pp.301-338, 2006. 

  14. 지영환, "마약류 중독에 의한 정신범죄 분석," 한국범죄심리연구, 제1권, 제1호, pp.297-335, 2005. 

  15. 안상원, 권일용, "마약류별 범죄의 실태 및 2차 범죄 분석 연구," 한국중독범죄학회보, 제6권, 제1호, pp.38-60, 2016. 

  16. 구효송, 신승균, "마약류 범죄의 문제와 대응방안," 한국범죄심리연구, 제15권, 제2호, pp.113-126, 2019. 

  17. 조성남, "마약류 중독의 치료 및 재활정책," 정신건강정책포럼, 제3권, 제1호, pp.3-20, 2009. 

  18. 박성수, "마약류 중독자의 치료보호제도 개선방안," 교정연구, 제51권, pp.191-227, 2011. 

  19. 박영수, "마약중독의 문제인식과 확산방지를 위한 정책적 연구," 한국중독범죄학회보, 제3권, 제2호, pp.44-73, 2013. 

  20. 박진실, "마약류 중독자에 대한 치료현황 및 대책에 대한 연구," 법학논문집, 제39권, 제2호, pp.201-236, 2015. 

  21. 박은자, 이정아, "약물중독 예방정책 현황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제229권, pp.17-24, 2015. 

  22. 박성수, "청소년 물질중독 예방전략-마약류 등 유해약물을 중심으로-," 한국중독범죄학회보, 제7권, 제4호, pp.43-62, 2017. 

  23. 이한덕, "청소년 약물중독 예방과 개입," 상담과지도, 제54권, pp.69-94, 2019. 

  24. 장정연, "여성 마약사범의 경험에 관한 연구," 교정연구, 제58권, pp.207-241, 2013. 

  25. 유숙경, "교정시설에 수감중인 남성 마약류 중독자들의 마약사용 경험 연구: 근거이론 접근," 교정복지연구, 제65권, pp.59-95, 2020. 

  26. 강선경, 양동현, 문진영, "마약중독자들의 재발경험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 연구," 교정연구, 제26권, 제1호, pp.89-114, 2016. 

  27. 김진숙, "여성 마약중독자의 회복과 재발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4호, pp.673-685, 2020. 

  28. 임해영, 김학주, "회복기 마약중독자의 영성 체험에 관한 연구-기독교.가톨릭인 회복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1호, pp.98-112, 2018. 

  29. 윤현준, 임해영, 이남경, "여성 마약중독자의 회복체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15권, 제1호, pp.99-131, 2021. 

  30. 권혁민, 이주현, 최정아, 최혜영, 김영호, "마약류 중독자를 바라보는 인식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범죄자가 아닌 환자로서의 인식 변화," 중독과복지, 제4권, pp.189-217, 2019. 

  31. 임해영, 이병호, 윤현준, "마약류 중독자는 사회적으로 어떻게 표상되고 있는가?," 생명연구, 제61권, pp.125-153, 2021. 

  32. 이기형,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푸코의 작업과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언론과사회, 제14권, 제3호, pp.106-145, 2006. 

  33. Fairclough. Norman, Discourse and social change, Oxford: Blackwell, 1992. 

  34. Fairclough. Norman, Media Discourse, London: Edward Arnold, 1995.(이원표 역, 대중매체 담화분석, 한국문화사, 2004.) 

  35. 김영욱, 함승경, "금연과 흡연의 담론 경쟁: 비판적 담론분석(CDA)의 적용,"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5호, pp.333-363, 2014. 

  36. 강진숙, "국내 아동학대 뉴스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원영이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60권, 제6호, pp.283-312, 2016. 

  37. 조진옥, "위험사회 속 자살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페어클로(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35권, 제2호, pp.385-410, 2016. 

  38. 김은아, 최송식, "언론에 나타난 정신장애인 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장애인복지학, 제53권, pp.33-61, 2021. 

  39. 강선경, 차유정, "게임이용 장애(gaming disorder) 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청소년의 게임이용을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제66권, pp.5-32, 2021. 

  40. 이종인, "마약관련 형사정책의 법.경제학적 함의," 형사정책연구, 제21호, 제1호, pp.225-249. 2010. 

  41. 엄기홍, "마약 단속정책의 의도치 않은 효과, 범죄증가," 대한정치학회보, 제16권, 제1호, pp.47-66, 2008. 

  42. 이숙정, 육은희, "WHO의 게임이용장애 질병 코드화 이후 언론의 게임보도에 대한 내용분석,"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21권, 제3호, pp.91-106, 2021. 

  43. 정정원, "게임의 중독 담론에 관한 소고," 형사정책, 제26권, 제1호, pp.35-58, 2014. 

  44. 조병인, "마약류 불법유통과 국제전략," 형사정책연구, 제13권, 제2호, pp.197-254, 2002. 

  45. 양옥경, 윤여상, 이관형, 김성남, "북한 주민의 마약사용 및 중독: 실태와 대책," 동아연구, 제37권, 제1호, pp.233-270, 2018. 

  46. 박성수, "마약류 등 유해약물의 사회적 비용 분석," 치안정책연구, 제32권, 제3호, pp.217-254, 2018. 

  47. 박성수, 백민석, "마약류 범죄의 암수율 측정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경찰연구, 제18권, 제1호, pp.151-170, 2019. 

  48. 조성권, "멕시코의 정치부패와 마약밀매," 한국부패학회보, 제2권, 제1호, pp.125-138, 1998. 

  49. 조성권, "미국 마약정책의 변화와 실패," 미국학, 제25권, pp.223-260, 2002. 

  50. 조석연, "마약법 제정 이후 한국의 마약문제와 국가통제(1957-1976)," 한국근현대사연구, 제65권, pp.232-266, 2013.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