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박 정보 기반 위치 정보 융합형 감정 추론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Emotion Inference Application with Location Information and User's Heartbeat Rat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8, 2017년, pp.83 - 88  

차경애 (대구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  최현수 (대구대학교 대학원 정보통신학과) ,  홍원기 (대구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  박세현 (대구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다양한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활용하는 분야가 활성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과 함께 일상 생활에서 착용하여 사용이 용이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스마트워치를 통하여 심박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위치 정보와 결합한 분석을 토대로 해당 위치에서의 감정 맞춤형 장소 추천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이는 감정 추론 결과에 위치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개인화서비스 제공 분야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 없이 단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워치의 사용으로 정보 수집과 분석이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에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ersonal activity information is expanding as a way to utilize wearable devices that are emerging as next generation smart devices. This paper develops an application for collecting heartbeat rat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using SmartWatch, which is a smartphone and wearable device,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위치 기반의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여러 개인화 서비스 분야에 활용이 가능한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위치 정보에 의한 장소 추천 기능을 제공하는 Google Place를 활용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감정을 5가지의 분류인 [기쁨, 놀람, 온화, 우울, 슬픔]으로 추론한다. 각 감정에 대응하는 특정 패턴을 분류하기 위해서 K-평균 알고리즘[13]을 이용하며, 학습데이터를 기준으로 실제 수집 시에 사용자가 직접 기록한 감정과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평가를 실시한다.
  • 본 논문은 스마트워치를 활용하여 심박 정보를 수집하고 위치 정보와의 융합을 통해서 장소에 따른 사용자 감정을 추론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결과를 보였다.
  • 이러한 감정 추론을 사용자의 이동 지역에 따른 위치별로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즉, 사용자가 특정 장소마다 느끼게 되는 감정을 심박도 분석을 통해서 추론하여 해당 감정에 적합한 위치의 기반 마케팅이나 개인 의료 서비스 등에 응용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고 그 결과를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정 맞춤형 장소 추천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을때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과 함께 일상 생활에서 착용하여 사용이 용이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스마트워치를 통하여 심박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위치 정보와 결합한 분석을 토대로 해당 위치에서의 감정 맞춤형 장소 추천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이는 감정 추론 결과에 위치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개인화서비스 제공 분야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 없이 단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워치의 사용으로 정보 수집과 분석이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에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최근 스마트 기기 개발 기술의 발전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최근 스마트 기기 개발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헬스케어, 웰니스 (Wellness) 등에서 상용화되고 있다[6].
본 논문에서 생체 정보는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가? 생체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심박도 측정 센서를 사용하여, 스트레스의 정도나 감정 상태를 추론하는데 사용한다[3,4,5]. 수집된 심박 정보 샘플을 학습 과정을 거쳐 특정 감정에 대한 표준치를 정하여 측정된 심박 정보를 감정 표준치와 비교하여 가장 근사한 감정 영역으로 분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S. S. Kim, J. Park, W. Woo, "Quantified Lockscreen : Intergration of Personalized Facial Expression Detection and Mobile Lockscreen application for Emotion Mining and Quantified Self," Journal of KIISE, Vol. 42, No. 11, pp. 1459-1466, 2015. 

  2. J. S. Park, J. M. Lim, H. T. Jeong, "State-of-the-Art on Quantified Self Technology Based on Wearable Sensing,"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Vol. 30, No. 4, pp. 1-11, 2015. 

  3. S. Park, D. Jeung, G. Noh, J. Cho, "A study on the human emotion infer in meaningful place using HRV signal and text mapping," Proceedings of HCI Korea, pp. 253-260, 2014. 

  4. J. K. Lee, J. H. Kang, E. S. Ahn, M. J. Oh, H. Jo, "Influencing Factors on Intention to Adopt of Wearable Device : Focusing on the Smart Watch,"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Vol. 16, No. 1, pp. 195-213, 2016. 

  5. C. Dobbins, R. Rawassizadeh, " Clustering of Physical Activities for Quantified Self and mHealth Applications," CIT/IUCC/DASC/PICOM, 2015 IEEE Internat, pp. 1423-1428, 2015. 

  6. H. S. Jung, "Trends and Prospects of Healthcare Wearable Devices," Journal of KHIDI, Vol. 115, pp. 1-20, 2014. 

  7. S. M. Kim, "Study on the Usage of Location-Based Services App on SmartPhones : Focusing on the Perceived Risk," Hanyang Cyber University, MS. thesis, 2014. 

  8. J. Yim, J. Joo, S. Jeong, "Integrated Indoor Positioning Systems Reflecting Map Information for Location Based Services,"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 17, No. 1, pp. 131-153, 2008. 

  9. K. J. Park, H. Jeong, "Assessing Methods of Heart Rate Variability," Korean J Clin Neurophysiol. 2014 Dec;16(2):49-54. 

  10. Lee, J. H, Kim, K.H, "A Study of Bio signal Analysis System for Sensibility Evaluation,"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15, No. 12, pp. 19-26, 2010. 

  11. C. Y. Lee, B. J. Lee, K.W. On, J. W. Ha, H. I. Kim, B. T. Jang, "Place Recognition Using Ensemble Learning of Mobile Multimodal Sensory Information," KIISE Transactionsons on Computing Practices, Vol. 21, No. 1, pp. 64-99, 2015. 

  12. K. Y. Chung, "Correlation between Visual Sensibility and Vital Signal using Wearable based Electrocardiogram Sensing Cloth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9, No. 12, pp. 596-503, 2009. 

  13. https://en.wikipedia.org/wiki/K-means_clustering 

  14. J. S. Lim, J. M. Kim, "An Empirical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Models for Classifying Emotions in Korean Twitter,"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7, No. 2, pp. 232-239, 2014. 

  15. E. J. Lee, S.K. Yoo, "The Design of Feature Selection Classifier based on Physiological Signal for Emotion Detection," Vol. 50, No. 11, pp. 206-216, 2013. 

  16. H. S. Choi, "Developed QS (Quantified Self) based emotional reasoning application," Daegu University, MS thesis,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