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합연구에서의 도전과 성장: 연구자의 경험과 인식에 대한 근거이론 질적 분석
Challenges and Growth in Convergence Research: A Grounded Theory Qualitative Analysis of Researchers' Experience and Percep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8, 2017년, pp.267 - 281  

송인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정신건강.보건복지연구실) ,  유정원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정신건강.보건복지연구실) ,  이은정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정신건강.보건복지연구실) ,  김지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정신건강.보건복지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강조되는 학제 간 융합연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융합연구에서의 구체적인 경험에 대한 연구가 우리나라에서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융합연구를 진행한 연구자의 실제 경험과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융합연구의 현실적 도전과 성장을 이해하고 융합연구 증진을 위한 제도를 제안하기 위하여, 국내 한 대학교 내 융합연구 및 융합연구행정 전문가 전임교원 16명을 심층면접하고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융합연구자들이 경험한 중심현상은 '융합연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노력과 연구 환경 개선을 통해 융합연구의 성장을 경험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융합연구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recent importance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little has been studied on the detailed experience while conducting convergence research in Korea. To deeper understand challenges and overcoming in convergence research and to suggest an administrative system for it, by analyz...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융합연구의 국내연구의 경우 주로 어떤 분야에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는가? 한편, 국내연구에서는 학제 간 융합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한 연구[7,14,22], 학제 간 연구에 대한 인식 차이, 촉진 및 저해요인 등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2,3], 융합연구의 의미와 필요성, 활성화 방안에 대한 문헌중심의 연구[13,15]등이 있다. 국내연구의 경우 학제 간 연구 경험을 탐색적 수준에서 분석하거나 관련문헌의 내용분석을 통해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 주로 과학기술 분야에 국한되어 연구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학제 간 연구에 참여하면서 봉착하게 된 여러 가지 어려움과 한계, 이와 관련하여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 그러한 전략의 사용을 통해 성장해 나가는 과정 등을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전 세계적인 융합연구의 확산에 따라 어느 분야에서 초학제성이 나타났는가? 사회적·경제적·환경적 문제가 다양하고 복잡해짐에 따라 이에 대한 이해와 해결방안의 강구 역시 복잡해지고,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도출이 요구되며, 산학협력을 통한 이론과 실제의 결합이 부각되면서 학제 간 융합연구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1,2,3]. 전 세계적인 융합연구의 확산에 따라 의학/보건연구, 환경 연구, 지속성 연구, 공학기술연구, 교육 연구, 정책 연구, 사회 연구 등에서 이러한 초학제성(transdisciplinarity)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1,4,5,6]. 국내에서는 1980년대 이후 과학기술분야를 시작으로 학제 간 융합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였으며, 정부와 기업, 대학에서도 학제 간 융합연구에 높은 비중을 두고 많은 투자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3,7].
현재 융합연구의 문제점은? 융합연구의 확장에도 불구하고, 그 필요성에 대한 원론적 선언에 비해 구체적인 각론으로서의 방법론 및 현상학적 실제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치 않은 실정이다[9]. 또한, 융합연구에 대한 관심에 비해 그 결과물의 창출이 미미하고, 융합연구의 주제, 방법, 결과 등에 대한 정보 및 연구 경험에 대한공유는아직 활성화되지 못한 상태이며, 현재까지의 융합연구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융합연구에 대한 개념 정의, 진행 실태, 활성화 방안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2,3,7,10,11,12,13,14,15,16,17,18,19,20,21,22]. 일부 해외 연구들에서는 융합연구에 대해 연구자들의 구체적 인식과 방법론, 어려움과 발전 등의 경험에 대해 다루고 있는 데 비해[10,11,12,16,17,18,19,20,21], 국내 연구는 충분히 행해지지 않았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I. H. Song, J. W. You, E. J. Lee, S. M. Shin, J. E. Kim, S. D. Jun, H. Y. Kim, H. J. Kim,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of convergence research in Yonsei University, 2016. 

  2. T. J Lee, "Policy Direction for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Grants",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Vol. 18, No. 3, pp. 101-122, 2014. 

  3. S. H. Han, J. U. Kyung, "Empirical Analysis for Promotion of Integrated Research: Focused on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between All Disciplines", Korean Policy Studies Review, Vol. 20, No. 1, pp. 151-178, 2011. 

  4. J. K. Hong, "A Perspective Study of the Theological Aesthetics considered in Convergency Engineering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2, pp. 1-8, 2017. 

  5. Y. H. Lee, H. Jin. Cho, J. H. Lee,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Service for Environmental Saver using Smart Devi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5, pp. 1-8, 2015. 

  6. J. I. Yi, J. S. Han, "A study on developing a Learning material Screening system for improving foreign language learning efficienc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Vol. 7, No. 1, pp. 87-92, 2017. 

  7. D. H. Kim, A. Y. Kim, E. H. Kang, "Experience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Korean higher educa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Vol. 29, No. 4, pp. 265-287, 2011. 

  8. http://www.nrf.re.kr/index 

  9. P. Leavy, (I. H. Song, translated), Essentials of Transdisciplinary Research: Using Problem- Centered Methodologies, Parkyoung-story Publishing, 2015. 

  10. G. M. Crow, L. Levin, N. Nager, "Are three heads better than one? Reflection on doing collaborative interdisciplinary research",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 29, No. 3, pp. 737-753, 1992. 

  11. C. M. Sa, " 'Interdisciplinary Strategies' in U.S. research universities", Higher Education, 55, pp. 537-552. 2008. 

  12. A. Short, A. Holdgate, N. Ahern, J. Morri, "Enhancing research interest and collaboration in the interdisciplinary context of emergency care",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Vol. 23, No. 3, pp. 156-168, 2009. 

  13. D. J. Shin, Y. W. Kim, H. S. Hwan, J. U. Kyung, "Promot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 Focused on the Complexity based Interdisciplinary Research Funding Program in Central Government of USA, UK, Swiss, and Korea", Journal of Policy Development, Vol. 11, No. 1, pp. 163-190, 2011. 

  14. D. Y Kim, H. J Bae, H. S Oh, S. O Yoo, "The developmental dynamics and success factors of an interdisciplinary education system",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11, No. 2, pp. 21-51, 2013. 

  15. B. U. Lee, "A Study on the Moral Values Needed in the Convergence Research", Elementary Moral Education, Vol. 46, pp. 55-88, 2014. 

  16. K. M. Nair, L. Dolovich, K. Brazil, P. Raina, "It'a all about relationships: A qualitative study of health researcher's perspective of conducting interdisciplinary health research", BCM Health Services Research, Vol. 8, No. 110, pp. 1-10, 2009. 

  17. A. F. Repko, Interdisciplinary research : Process and Theory, SAGE, 2009. 

  18. J. L. Thompson, "Building collective communication competence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teams",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Vol. 37, No. 3, pp. 278-297, 2009. 

  19. I. Seto, L. Dent, "Junior researchers' experience of innovation in a multidisciplinary team environment",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Practice, Vol. 9, pp.95-97. 2011. 

  20. H. Karal, T. Bahcekapili, "New Perspective to educational technology: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an example of faculties of education and engineering", The Turkish Onlin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9, No. 1, pp. 132-142, 2010. 

  21. S. M. Adams, N. C. Carter, C. R. Hadlock, D. M. Haughton, G. Sirbu, "Proactive encouragement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teams in a business school environment: Strategy and results", Journal of Higher Education Policy and Management, Vol. 30, No. 2, pp. 153-164, 2008. 

  22. H. S. Oh, H. J. Bae, D. Y. Kim, "Interdisciplinary Researchers: How did they cross the boundaries and do interdisciplinary research?",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13, No. 4, pp. 297-335, 2012. 

  23. M. R. HongHyun,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ork, Hakjisa, 2008. 

  24. A. Strauss,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2nd). Newbury Park, London: Sage. 1998. 

  25. H. H. Bauer, "Barriers Against Interdisciplinarity: Implications for Studies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STS)",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 15, No. 1, pp. 105-119, 1990. 

  26. L. M. Campbell, "Overcoming obstacles to interdisciplinary research", Conservation biology, Vol. 19, No. 2, pp. 574-577,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