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A Grounded Theory Approach on Nurses' Experience with Workplace Bullying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2, 2016년, pp.226 - 237  

강지연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윤선영 (영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explore the workplace bullying experience of Korean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twenty current or former hospital nurses who had experienced workplace bully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간호사들이 어떠한 인과적 조건과 맥락에서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하고 어떻게 대처해나가는지를 파악하고, 관련요인 및 결과와의 연관성을 탐색하여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질문은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경험 과정은 어떠한가?’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장 내 괴롭힘이란? 이는 직장 내 괴롭힘이 국제적인 이슈 일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사회적인 관심과 논의가 필요한 사안임을 시사한다. 직장 내 괴롭힘은 개인 혹은 집단이 특정한 개인을 괴롭히고 사회적으로 배제하거나 개인의 업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행동이다[2]. 특히, 일정한 기간 동안 이러한 부정적 행동이 지속되고 반복되는 경우 ‘괴롭힘’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3].
어떤 경우를 괴롭힘이라고 정의할 수 있는가? 직장 내 괴롭힘은 개인 혹은 집단이 특정한 개인을 괴롭히고 사회적으로 배제하거나 개인의 업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행동이다[2]. 특히, 일정한 기간 동안 이러한 부정적 행동이 지속되고 반복되는 경우 ‘괴롭힘’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3]. 지속적인 직장 내 괴롭힘은 괴롭힘을 경험한 사람들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건강상태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4,5], 괴롭힘 피해자의 증상경험과 소진, 이직의도는 조직에도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4,6].
한국노동연구원에서 발행하는 국제노동브리프에서 직장 내 괴롭힘을 기획특집 주제로 선정하여 소개하였는데 이는 무엇을 시사하는가? 한국노동연구원에서 발행하는 국제노동브리프 2014년 9월호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을 기획특집 주제로 선정하여 스웨덴, 프랑스, 일본 등에서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대처하고 있는지 소개하였다[1]. 이는 직장 내 괴롭힘이 국제적인 이슈 일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사회적인 관심과 논의가 필요한 사안임을 시사한다. 직장 내 괴롭힘은 개인 혹은 집단이 특정한 개인을 괴롭히고 사회적으로 배제하거나 개인의 업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행동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J. Workplace bullying. International Labor Brief. 2014;12(9):1-3. 

  2. Einarsen S, Hoel H, Zapf D, Cooper CL. The concept of bullying at work: The European tradition. In: Einarsen H, Hoel H, Zapf D, Cooper CL, editors. Bullying and emotional abuse in the workplace: International perspectives in research and practice. London, UK: Taylor & Francis; 2003. p. 3-30. 

  3. Einarsen S, Hoel H, Notelaers G. Measuring exposure to bullying and harassment at work: Validity, factor structure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negative acts questionnaire-revised. Work and Stress. 2009;23(1):24-44. http://dx.doi.org/10.1080/02678370902815673 

  4. Spence Laschinger HK, Nosko A. Exposure to workplace bullying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ology: The role of protective psychological resourc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5;23(2):252-262. http://dx.doi.org/10.1111/jonm.12122 

  5. Yildirim A, Yildirim D. Mobbing in the workplace by peers and managers: Mobbing experienced by nurses working in healthcare facilities in Turkey and its effect on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7;16(8):1444-1453.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6.01814.x 

  6. Park KO, Kim SY, Kim JK. Hospital nurses' experience of bullying in the workplace and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nursing productivit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3;19(2):169-180. 

  7. Namie G, Christensen D, Phillips D. 2014 WBI U. S. workplace bullying survey [Internet]. Bellingham, WA: Workplace Bullying Institute; 2014 [cited 2015 January 15]. Available from: http://workplacebullying.org/multi/pdf/WBI-2014-US-Survey.pdf. 

  8. Parent-Thirion A, Vermeylen G, van Houten G, Lyly-Yrjanainen M, Biletta I, Cabrita J, et al. Fif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Internet]. Luxembourg, LU: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2012 [cited 2015 January 15]. Available from: http://eurofound.europa.eu/sites/default/files/ef_files/pubdocs/2011/82/en/1/EF1182EN.pdf. 

  9. Quine L. Workplace bullying in nurse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1;6(1):73-84. http://dx.doi.org/10.1177/135910530100600106 

  10. Lee Y, Lee M, Bernstein K.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3;22(2):77-87. http://dx.doi.org/10.12934/jkpmhn.2013.22.2.77 

  11. Yun S, Kang J. Factors affecting workplace bullying in Korean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4;26(5): 553-562. http://dx.doi.org/10.7475/kjan.2014.26.5.553 

  12. Hutchinson M, Wilkes L, Jackson D, Vickers MH. Integrating individual, work group and organizational factors: Testing a multidimensional model of bullying in the nursing workplac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0;18(2):173-181.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09.01035.x 

  13. Johnson SL, Rea RE. Workplace bullying: Concerns for nurse leader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39(2): 84-90. http://dx.doi.org/10.1097/NNA.0b013e318195a5fc 

  14. Griffin M. Teaching cognitive rehearsal as a shield for lateral violence: An intervention for newly licensed nurses.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2004;35(6):257-263. 

  15. Walrafen N, Brewer MK, Mulvenon C. Sadly caught up in the moment: An exploration of horizontal violence. Nursing Economic$. 2012;30(1):6-12, 49. 

  16. Yun SY.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for influencing factors and consequences of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 [dissertation]. Busan: Dong A University; 2015. 

  17. Gaffney DA, Demarco RF, Hofmeyer A, Vessey JA, Budin WC. Making things right: Nurses' experiences with workplace bullying-a grounded theory. Nursing Research and Practice. 2012;2012:243210. http://dx.doi.org/10.1155/2012/243210 

  18. Strandmark M, Rahm G.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process to prevent and combat workplace bullying.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4;42(15 Suppl):66-73. http://dx.doi.org/10.1177/1403494814549494 

  19. MacIntosh J, Wuest J, Gray MM, Cronkhite M. Workplace bullying in health care affects the meaning of work. Qualitative Health Research. 2010;20(8):1128-1141. http://dx.doi.org/10.1177/1049732310369804 

  20. Lee Y, Lee EJ. Conceptual development of workplace bullying: Focusing on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4;31(1):57-71. http://dx.doi.org//10.14367/kjhep.2014.31.1.57 

  21. Corbin J,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2008. 

  22. Guba EG, Lincoln YS.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1981. 

  23. Park KO, Kim JK. A study on experience of transition from new clinical nurse to competent step.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19(4):594-605.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4.594 

  24. Son HM, Koh MH, Kim CM, Moon JH. The clinical experiences of adaptation as a new nursing staff.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1;31(6):988-997. 

  25. Kim MS, Kim JH, Han SJ. The development of the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measurement too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4;10(2):175-184. 

  26. Sin KM, Kwon JO, Kim EY. Factors associated with new graduate nurses' reality shoc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3):292-301.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292 

  27. Kim SY, Park KO, Kim JK. Nurses' experience of incivility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4):453-467. http://dx.doi.org/10.4040/jkan.2013.43.4.453 

  28. Cheung K, Choi H. The effectiveness of an intensive nonviolent communic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employees' interpersonal competence, interpers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2011;32(1):31-46. 

  29. Rosenberg MB. Nonviolent communication. Han C, translator. Seoul: The Korean Center for Nonviolent Communication; 2011. 

  30. Chung HS. Effects of nonviolent communication program for hospital nurse unit managers [dissertation].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