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에 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f Learned Helpless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8, 2017년, pp.307 - 314  

위성욱 (조선간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정도와 학습된 무기력과 관련 있는 변인을 규명하여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도 H대학교와 C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79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SPSS 21.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학습된 무기력 점수는 5점 중 2.55점(${\pm}.61$)이었으며, 하위영역 중 '통제력 결여'가 2.85점(${\pm}.44$)으로 가장 높았고, 교우관계, 학업성적, 가족 간 협력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교우관계가 안 좋거나 학업성적이 낮은 경우, 가족 간 협력정도가 좋지 않은 경우에서 학습된 무기력이 높았고,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을 설명할 수 있는 변인을 규명하여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여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관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learned helplessness and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ffecting their learned helplessness. We have carried out research on 799 student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정도와 학습된 무기력과 관련 있는 가정요인과 학교요인을 파악하여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키고, 대학생의 학교적응 및 사회생활에 필요한 준비를 도모하는데 효과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정도와 학습된 무기력과 관련 있는 요인과의 관계를 규명 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정도와 학습된 무기력과 관련 있는 요인을 파악하여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키고, 대학생의 학교적응 및 사회생활에 필요한 효과적인 준비를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이 수업시간에 무기력한 행동에 대해 교수진이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중요한 과정에 속해있는 대학생이라도 수업시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집중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종종 관찰할 수 있다. 이렇게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학생이 관찰자로 강의실에 자리 잡고 있는 무기력 행동은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어진 것이지 학생의 선택의 결과가 결코 아니기 때문에 무기력한 행동을 간과하거나 학생을 탓할 것이 아니라[1] 교수진이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아야 하는 상황이다.
대학생은 어떤 대상인가? 청소년기를 지나 성년기에 접어든 대학생은 대학입시라는 어려운 관문을 통과하고 스스로의 행동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시기로 여겨지며, 동시에 취업 및 국가고시 준비 등의 과업을 수행해야 하는 중요한 과정에 속해 있는 대상으로서,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중요한 과정에 속해있는 대학생이라도 수업시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집중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종종 관찰할 수 있다.
학습된 무기력은 무엇인가? 학습된 무기력은 반복적인 실패경험에 의하여 유사한 상황에서 실패할 것이라 기대감을 갖는 것으로 Shin(1990)이 개발한 학습된 무기력 진단척도 45문항으로 측정하였다[18].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측정도구는 자기 자신이 비참하다고 느끼는 상태인 ‘자신감 결여’(17문항), 이유 없이 외롭고 주의 집중이 어려운 ‘우울-부정적인지’(10문항), 타인에게 복종적인 상태인 ‘수동성’(6문항), 그때의 기분이나 감정에 따르는 ‘통제력 결여’(4문항), 한 가지 일에 몰두하지 못하는 ‘지속성 결여’(3문항), 자신이 능력이나 재능이 없다고 생각하는 ‘과시욕 결여’(3문항), 그리고 충동적이며 남을 탓하는 ‘책임감 결여’(2문항) 등 총 7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 A. Jun, J. H. Park, "A Study on effective variables associated with provincial university students' learned helplessness and helplessness behavior",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Vol. 37, No. 1, pp. 57-81, 2010. 

  2. S. I. Choi, K. H. Choi,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research of the undergraduate orchestra club activities - A convergent aspects of statistical method and opinion min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4, pp. 25-31, 2015. 

  3. H. W. Kang, Y. H.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ress, Result and Learned Helplessnes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5, No. 4, pp. 883-897, 2004. 

  4. Seligman, M. E. P., "Helplessness : On Depression, development and Death, San Francisco : W. H. Freeman. 

  5. A. Y. Kim, "Development of Standardized Student Motivation Scale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Vol. 15, No. 1, pp. 157-184, 2002. 

  6. K. H. Park, "The Influence of Learned Helplessness and Failure Tolera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Job Performance",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ol. 9, No. 1, pp. 61-76, 2008. 

  7. K. H. Lim, "The Relationships of Home, School, and Individual Variables to Learned Helples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Studies on Korean Youth, Vol. 15, No. 2, pp. 473-507, 2004. 

  8. M. J. Lee, M. M. Bong, "Learned Helplessness in School During Adolescenc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51, No. 1, pp. 77-105, 2013. 

  9. I. N. Ok, "A Study on Students' learned powerlessness in the social studies classroom activit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Vol. 36, No. 2, pp. 105-139, 2004. 

  10. Burhans, K. K., & Dweck, C. S, "A Study on Students' learned powerlessness in the social studies classroom activit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Vol. 36, No. 2, pp. 105-139, 2004. 

  11. S. J. Park, "A Study on the Learning-Instruction Model for Learned Helplessness Decrease of the College", Korean Journal of Parent Education, Vol. 9, No. 1, pp. 95-113, 2012. 

  12. H. Jeon, M. M. Bong, S. I. Kim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in the prediction of motivation by perceived competence and classroom goal structure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24, No. 4, pp. 999-1027, 2010. 

  13. K. M. Yang,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1, pp. 113-123, 2016. 

  14. K. S. Oh, "Influence of Self-efficacy program on the Learned helplessness", Jeju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4. 

  15. S. J. Kang, E. J. Kim, H. J. Shin, "Convergence Study about Problem-based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 Solving Skills, Academic Self-efficacy,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2, pp. 33-41, 2016. 

  16. M. A. Jeon, S. Y. Lim, "A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stress coping strategy in vocationa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Industrial Education Association, Vol. 35, No. 1, pp. 1-19, 2010. 

  17. H. K. Yoon, "A Study on Nursing students' Learned helplessness and Helplessness behavior",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9, No. 2, pp. 244-256, 2015. 

  18. K. M. Shin, "On the development of a learned helplessness scale.", Konkuk University doctoral thesis, 1990. 

  19. M. J. Cheong, H. S. Yang, E. Y. Chae, S. H. Kim, "Meta-Analysis on Factors related with the Learned Helplessness of an Adolescent",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Vol. 23, No. 5, pp. 31-65, 2016. 

  20. S. H. Kweon, S. N. Kweon, "The Effect of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 and learned helplessness on computer game addic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13, No. 4, pp. 59-69,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