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 관광자원으로서 거창 수승대 일원의 원형경관 고찰
A study on the Archetypal Landscape of Suseungdae Area in Geochang-gun as Regional Tourism Resources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3 no.3, 2017년, pp.83 - 96  

임의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  소현수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contemplate the archetypal landscape of a scenic site, Suseungdae area in Hwangsan-maeul village, Geochang-gun by reference research and field surveys and drew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Since Seong Yundong(成允仝; 1450-1540) embarked on operating the Suseu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역사자원 하나하나의 점적 요소가 아니라 안의삼동이라는 면적 영역으로 이해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와 유사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나 연구 결과는 수승대 일원에서 관수루, 요수정, 척수암, 구연이라는 일부 경관 요소에 한정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수승대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구연동십구경(龜淵洞十九景)」을 포함하는 다양한 경관 요소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경관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수승대 일원에 집중된 원형경관을 이해하였다는 차별성을 지닌다. 이를 통해서 거창 수승대 보존관리 종합정비계획(2010)」에서 원형경관에 대한 면밀한 고찰 없이 보존을 위한 문화재 지정구역 확대를 제안하고 현황을 기준으로 하는 보존정비 방안을 제시한 결과를 개선할 수 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지역의 자연유산인 명승의 활용과 지속가능한 보존을 위해서 원형경관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전제로 진행하였다. 사례 연구로서 거창군 황산마을에 입지한 수승대 일원의 원형경관을 고찰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현장조사를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 명승의 가치는 그 안에 포함된 유무형의 경관자원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인위적 경관 변화가 발생하기 전으로서 조선시대까지 축적된 수승대 일원의 원형경관을 고찰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서 원형경관 요소들을 파악하고 경관적 특성을 도출하여 선조들이 주어진 자연경관을 어떻게 승경으로 인식하였는지 이해하며,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수승대 일원의 경관 보존 대상과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함으로써 앞으로 명승 수승대를 지속가능하게 관리하여 방문자들에게 보다 풍부하고 진정성 있는 체험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수승대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구연동십구경(龜淵洞十九景)」을 포함하는 다양한 경관 요소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경관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수승대 일원에 집중된 원형경관을 이해하였다는 차별성을 지닌다. 이를 통해서 거창 수승대 보존관리 종합정비계획(2010)」에서 원형경관에 대한 면밀한 고찰 없이 보존을 위한 문화재 지정구역 확대를 제안하고 현황을 기준으로 하는 보존정비 방안을 제시한 결과를 개선할 수 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거창군 위천면 황산마을에 위치한 수승대란 무엇인가? 거창군 위천면 황산마을에 위치한 ‘수승대(搜勝臺)’는 원래 하나의 바위를 지칭하는 이름이지만 ‘거창 수승대’는 2008년 명승으로 지정된 자연유산으로서 일대의 수려한 계곡 경관을 포괄한다. 조선시대 선비들이 영남 제일의 동천(洞天)으로 향유하였던 ‘안의삼동(安義三洞)1)’ 중 하나인 원학동(猿鶴洞) 계곡에 입지한 커다란 거북 모양의 바위가 신령스러운 감흥을 불러일으키고, 주변에 정자와 서원까지 갖추어 조선시대 산수유람 문화의 진수를 누렸던 곳이다(Kim, 2008:24).
수승대는 언제 국민관광휴양지로 지정되었는가? 조선시대 선비들이 영남 제일의 동천(洞天)으로 향유하였던 ‘안의삼동(安義三洞)1)’ 중 하나인 원학동(猿鶴洞) 계곡에 입지한 커다란 거북 모양의 바위가 신령스러운 감흥을 불러일으키고, 주변에 정자와 서원까지 갖추어 조선시대 산수유람 문화의 진수를 누렸던 곳이다(Kim, 2008:24). 수승대는 1982년에 국민관광휴양지로 지정되었는데, 이를 대변하듯이 수승대 홈페이지에서 주요 이용시설로 야외수영장, 썰매장, 야영장, 오토캠핑장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1995년부터 매년 7∼8월경 수승대 일원에서 거창국제연극제가 개최되는데, 이를 위해서 수변에 야외무대와 스탠드가 설치되었다.
거창국제연극제에 따른 시설과 공간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거창국제연극제는 여름 피서철에 맑은 계곡의 물놀이에 예술·문화 컨텐츠가 결합됨으로써 성공적인 지역문화축제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부가된 시설과 공간은 수승대 일원에 산재한 거북바위, 관수루(觀水樓)와 구연서원(龜淵書院), 요수정(樂水亭), 함양재(涵養齋) 등의 역사문화자원과 이질적 경관을 양산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2) 이렇게 명승 지정 구역 안에서 이루어지는 현대인의 위락 행태는 선조들이 물려준 자연경관과 문화유산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euihyanggyo Confucian temple and school, 1966, Aneuieupji(安義邑誌), Hoesangsa. 

  2. Authenticity and Integrity,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6(3): 32-48. 

  3. Choi, S. G., 2015, The premier site field investigation by scholars in Joseon Dynasty: Wonhak-dong, the best scenic spot in south of Gyeonggi Provi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ress. 

  4. Geochang Cultural Center, 2003, Folk religion in Geochang-gun, Goechang Cultural Center Press. 

  5. Geochang Cultural Center, 2010, A scenic site: Suseungdae, Goechang Cultural Center Press. 

  6. Geochang-gun Journal Compilation Committee, 1979, Geochanggunji(居昌郡誌), Geochang Highschool Press. 

  7. Gyeongnam Culture Institute(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0, The master plan of maintenance 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useungdae, Geochang, Geochang-gun 

  8. Guyeonseowon, 1971, Yosuseonsaengsilgi(樂水先生實記), Cheongwudang. 

  9. Guyeonseowon, 1997, Guyeonseowonji(龜淵書院誌), Bojun. 

  10. Hwarimji(花林誌). 

  11. Jeong, T. J., 2003, Rock, Buddism and tea culture in Geochang, Geochang Cultural Center. 

  12. Kang, C. G., 2002, A Study on Suseungdae in Geochang, and Neighboring Scenic Beauty Resourc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4): 79-92. 

  13. Kim, D. H., 2008, The scenic spots of landscape sightseeing culture: Suseungdae. Wonhag-dong, Geochang, Munhwajaesarang 43 : 24-27. 

  14. Korean Classics Database(http://db.itkc.or.kr),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15. Lim E. J., 2001, A study on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s Located in the Meander Cut-off Area, Docto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16. Lim E. J., and So H. S., 2016,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Waterscape Elements from the Chapter ?Sancheon? of the Volumes Gyeongsangprovince in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4(2): 1-15. 

  17.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6, A study on the techniques of building the traditional space for restoration of garden in Aneuisamdong area. 

  18. Oh, P. J., 2010, The Scenic Spot: Suseungdae, Geochang Cultural Center. 

  19. Park, G. Y., 2010, Pavilion culture in Geochang, Geochang Cultural Center. 

  20. Park J. S., 2003, Belief of Geochang-gun, Geochang Cultural Center. 

  21. The Website of Geochang-gun Suseungdae (http://www.geochang.go.kr/ssd/Index.do). 

  22. Wicheonmyeonji(渭川面誌), Journal Compilation Committee, 1998, (http://wbook.geochang.go.kr/). 

  23. Yi Y. B. and Ryu J. H., 2013, Feasibility of Scenic Site Protection Area on the Basis of the Concepts of Authenticity and Integrity,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6(3): 32-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