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활동한 아이돌보미의 가족 레질리언스 분석: 월시(Walsh)의 관점을 중심으로
Analysis on Family Resilience of Long-term Childcare Givers: Focused on a Walsh Viewpoint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5 no.4, 2017년, pp.441 - 450  

정민자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ildcare related studies have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are work, policy aspects, user family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helpers.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family system characteristics that support childcare givers. Thus, this study conducted on the topic, "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이돌보미를 직업으로 선택하는 동기는 무엇인가? 현재 아이돌보미들은 전국의 214개 기관에서 19,377명이 활동하고 있다[29]. 이들이 아이돌보미를 직업으로 선택하는 동기는 경제적 이유가 주된 이유인데, 그 외에도 아이를 좋아하거나, 자기 일을 하고 싶거나, 봉사의 개념으로 주로 선택한다[14]. 아이돌봄사업은 맞벌이 가정, 한부모 가정뿐 아니라 가정양육을 선호하거나, 자녀 양육스트레스가 심하거나, 자녀양육기 가족의 긴급한 사건 등으로 자녀 돌봄의 공백 상태가 되었을 때, 일시적인 보호와 양육을 지원함이 주된 목적이다.
아이돌봄사업의 목적은 무엇인가? 이들이 아이돌보미를 직업으로 선택하는 동기는 경제적 이유가 주된 이유인데, 그 외에도 아이를 좋아하거나, 자기 일을 하고 싶거나, 봉사의 개념으로 주로 선택한다[14]. 아이돌봄사업은 맞벌이 가정, 한부모 가정뿐 아니라 가정양육을 선호하거나, 자녀 양육스트레스가 심하거나, 자녀양육기 가족의 긴급한 사건 등으로 자녀 돌봄의 공백 상태가 되었을 때, 일시적인 보호와 양육을 지원함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통해 아이들의 복지증진과, 보호자의 일과 가정의 양립을 실천하고자 시행된 것이다.
아이돌보미 사업에서 아이돌보미의 처우 개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사업은 2006년 시범사업 이후 2012년 아이돌봄지원법 제정 및 시행, 지방정부 전체가 사업을 실시하고 있고, 사회보험의 도입 등을 통하여 꾸준한 성장을 이루었다. 그 과정에서 이용자 가정을 위한 맞춤형 돌봄 활동을 위해 선발과 보수교육, 전달체계 구축 등에는 노력했으나, 아이돌보미의 복지나 처우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아이돌보미의 처우 개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G. C. (2016). Impact of workers who are working in the child center have the turnover intention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Korea Child care Education, 97 , 29-47. 

  2. Ahn, H. J. (2014).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people who provide child. Chodang University, Jeonnam, Korea. 

  3. Choi, I. R., & Hwang, S. Y. (2011). Th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hild caretakers' Duty satisfaction. Korean Care Welfare, 15 , 107-127. 

  4. Choi, J. I. (2015). Qualitative analysis on the adversity & family resilience of Chinese marriage migrant women in Ulsan metropolitan city.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5. Hawley, D. R. (2000). Clinical implications of family resilience.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8 (2), 101-116. http://dx.doi.org/10.1080/019261800261699 

  6. Hwang, H. S., & Yun, M. J. (2012).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 helpers in Seoul city.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0 (4), 63-71. http://dx.doi.org/10.6115/khea.2012.50.4.063 

  7. Jang, C. S., Kim, S. M., Gu, H. R., & Hwang, D. S. (2014). A study on the difficulties and the coping strategies of the in-home child care support service.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9 (3), 17-40. 

  8. Jun, C. A., Lee, J. N. & Bang, H.B., (2009). The current state of families using the in-home care service and satisfaction in service according to family typ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 (3), 225-237. 

  9. Jung, S. H., & Kim, J. H. (2013). The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hildcare service provider'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Service Management, 14 (2), 275-293. 

  10. Kang, J. W., & Kwon, J. A. (2012). The study of efficacy on in-home child caregivers. Korea Child Care Practice Society, 14 (8), 61-76. 

  11. Kang, J. Y. (2014). The qualitative analysis on the adversity & family resilience of the grand-children family in Ulsan metro city.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12. Kim, J. J. (2013). The influence of family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on family resilience in grandparents-grandchildren households.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13. Kim, M. Y. (2011). A study on the vitalization of a child care network that enables the dual-earner, low-income households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their work and family. Daegu University, Daegu, Korea. 

  14. Kim, N. S. (2013).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tress of the staffs working for the children care support project. Kyungnam University, Kyungnam, Korea. 

  15. Kim, S. H. (2011).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people who provide childcare.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5 (4), 19-41. 

  16. Kim, Y. H., Ji, Y. J., & Kim, Y. J. (2015). Influencing factors of child care efficacy of child care activities applicants.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 6 , 210. 

  17. Kim, Y. J., & Moon, S. Y. (2009). An exploratory study on types of care: focused on child care policy. Asian Women's Studies, 48 (2), 221-260. 

  18. Lee, G. J., & Jung, G. Y. (2012). Childcare service providers' care experience and their meanings of social care. Korea Child care Education, 73 , 419-441. 

  19. Lee, S. H., (2013). A comparative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Focused on social enterprises and health family support center in Incheon and Bucheon. Sunkonghoe University, Seoul, Korea. 

  20. Lee, S. M., & Kim, S. M.(2011). A basic study on public nanny service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Strategie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 (4), 51-65. https://doi.org/10.6115/khea.2011.49.4.051 

  21. Lee, E. J., & Jun, M. K. (2011). A study on 'care work' directionality of child care helper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2 (2), 27-40. https://doi.org/10.7466/JKHMA.2014.32.2.27 

  22. Lee, Y. R., & Park, S. N. & Chu, M. S., (2014). Impact of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mong child care provider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1 (1), 26-35. 

  23. Park, M. R. (2015). The biographical research on the adversity, personal & family resilience of the mother with disabled children.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24. Shin, Y. H. (2016). Phenomenological study of happy child caregivers' caring experience.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25. You, S. H., & Jung, M. J. (2013). Qualitative analysis the family resilience of divorce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 (6), 603-612. https://doi.org/10.6115/ fer.2013.51.6.603 

  26. Walsh, F. (2002). Family resilience, (O. K. Yang, M. O. Kim, & Y. M. Choi, Trans), Seoul: Nanam. (Original work published 1998). 

  27. Woo, M. S. (2015). Happiness 4.0 . Seoul: mulpurea. 

  28. Yoon, M. J. (2001). Effects of child-care helper's service satisfaction on stress from child-rearing of the family.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29. Minisr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6). The principal statistics Idolbom. Retrieved November 20, 2016, from https://www.idolbom.go.kr/intro/index2.go 

  30. Minisr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6). Women's life in statistics. Retrieved November 22, 2016, from http://www.mogef.go.kr/kor/skin/doc.html?fn34885.hwp&rs/rsfiles/2017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