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후속 출산의도의 관계: 직업만족도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Second Childbirth Intention of Working Mothers with Their First Child in Infancy: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3 no.4, 2017년, pp.53 - 73  

최미란 (춘천교육대학교) ,  장경은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whether working mothers' job satisfaction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arenting stress and second childbearing inten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202 working mot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ll of who had a single c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첫째 아이의 연령이 낮을수록 출산의도가 증가하며(마미정, 2008; 정혜옥, 2006), 일반적으로 첫째 아이가 영아기인 시점에서 둘째아이 출산여부에 대해 결정한다고 보고되고 있다(이성림, 2010). 따라서 본 연구는 36개월 미만의 첫 아이를 가진 취업모의 후속 출산의도가 그들의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양육스트레스와 후속 출산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직업만족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후속 출산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직업만족도의 역할 및 중요성을 규명하고, 취업모의 후속 출산의도를 높이는 방안 마련을 통하여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그러나 선행연구에 의하면 저출산 문제가 첫째 아이 출산보다는 후속 출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과 관련 있다는 점과 후속 출산은 일반적으로 첫 아이가 영아기인 시점에 이루어진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기존의 연구를 보완하여 연구대상을 설정하고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맞벌이 가구가 증가하는 점을 고려할 때 저출산 해결방안에 있어서 취업모가 처한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 실천적,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처럼 후속 출산의도에 관련된 변인을 연구대상별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36개월 미만의 첫 아이를 둔 취업모의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후속 출산의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후속 출산의도 간의 관계를 직업만족도가 조절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연구결과의 논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취업모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후속 출산의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출산의도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된 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른 취업모의 후속 출산의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는 <표 3>과 같고, 취업모의 후속 출산의도는 취업모가 직장에서 근무하는 동안 아이를 주로 돌보는 주 양육자가 누구인지(F = 1.
  • 이상의 논의와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본 연구의 의의는 36개월 미만의 첫 아이를 둔 취업모만을 대상으로 후속 출산의도 관련변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는 점에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취업모와 비취업모를 구분하지 않고 출산의도를 살펴본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자녀의 연령을 구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 특히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가 후속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변인들 중에서 직업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직업만족도란 직장생활과 직업에 대한 만족도, 업무에 대한 흥미, 보수 및 자아개발 등 전체적인 직업관련 여건에 대한 직장인의 주관적인 만족도를 뜻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합계 출산율이란? 저출산 문제는 한국 사회가 당면한 심각한 사회문제이다. 가임여성(15-49세)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의 수를 뜻하는 합계 출산율이 1.3명 이하인 경우 ‘초저출산'으로 분류된다.
직장어린이집은 취업모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특히 김리진과 윤종희(2000)는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의 경우 자녀가 가까운 곳에서 보육되고 있기 때문에 취업모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주고, 보육시설의 계획이 취업모의 직장여건에 맞춰지기 때문에 다른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보다 양육스트레스가 낮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직장보육시설이 대기업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국내 중소기업 537만여 곳에 근무하는 1,300만 명의 직장인들은 직장어린이집이라는 혜택을 받지 못한다.
저출산 문제는 또 어떤 문제로 확산하는가? 16). 이러한 저출산 문제는 아이를 낳지 않는 현상 자체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인구 감소로 이어져 노동력이 고령화되며 노동생산성은 낮아져서 결국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국가 경쟁력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출산장려정책의 일환으로 임신과 출산 관련 비용에 대한지원(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난임 부부 시술비 지원, 저소득층 기저귀 및 조제분유 지원 등)과모자보건지원(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에 대한 의료비 지원 등), 영유아 보육지원(가정양육수당,보육료 및 유아학비 지원, 아이돌봄지원)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의 저출산 문제는 여전히지속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강범준 (2004). 아동양육시설 종사자의 양육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유진 (2007). 둘째자녀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자녀가치관 및 가족관계 요인. 한국지역생활학회지, 18(4), 639-653. 

  3. 강은미, 김순규 (2011). 맞벌이 남편과 아내의 양육스트레스와 보육서비스 만족도가 추가자녀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6(1), 67-88. 

  4. 고광만, 김소아 (2014). 사회적 지원, 일-가족 양립 정책 및 부부특성이 후속출산의도 및 기대자녀수에 미치는 경로탐색.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4), 35-51. 

  5. 김기원 (2009). 어머니의 직업유무 및 취업 관련 특성과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배우자 지지의 중재적 역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기현 (2000).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 변인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기현, 강희경 (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5(5), 141-150. 

  8. 김리진, 윤종희 (2000).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8(12), 47-58. 

  9. 김승권, 김민자 (2003). 한국보건사회연구원(정책보고서 2003-26). 한국: 보건복지부. 

  10. 김우영, 김응규 (2001). 자영업주와 임금근로자의 직업만족도 비교분석. 중소기업연구학회지, 23(3), 29-54. 

  11. 김일옥, 왕희정, 정구철, 최소영 (2011). 출산장려 정책과 근로시간이 기혼여성의 둘째아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4(3), 139-155. 

  12. 김자희 (2006). 조직의 제도적 특성이 취업아내의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정 (2011).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재출산 의도.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종훈, 양소영, 성지현 (2013).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원이 후속출산 계획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매개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4(1), 87-102. doi:dx.org/10.5723/KJCS.2013.34.1.87 

  15. 김혜진 (2004). 맞벌이 가정의 어머니와 전업주부의 자녀 양육스트레스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마미정 (2008). 맞벌이부부의 둘째자녀 출산의도와 출산기피요인 탐색연구. 부모교육연구, 5(1), 75-116. 

  17. 문혁준 (2004).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2(11), 109-122. 

  18. 민세진 (2013). 계획 자녀수의 분석. 여성경제연구, 10(1), 1-17. 

  19. 박희수 (2008). 정부 출산장려정책과 재출산 의도에 관한 연구: 보육시설 이용 여성을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배광일, 김경신 (2011). 생태학적 변인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2), 123-149. 

  21. 배정연, 홍석자 (2010). 기혼직장여성의 출산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21세기 사회복지연구, 7(1), 131-150. 

  22. 백영숙 (2007).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트레스와 양육죄책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송승영 (2007). 한국사회 저출산의 단계별 분석과 젠더논의. 담론 201, 10(1), 207-243. 

  24. 송영주, 이주옥, 김춘경 (2011).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후속출산계획 관련 심리사회적 요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6(3), 185-206. 

  25. 송인호 (2016. 7. 23). '직장 어린이집' 중소기업엔 그림의 떡? SBS News.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693714에서 2017년 4월 13일 인출 

  26. 신윤정 (2008). 보육.교육비 부담이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건사회연구, 28(2), 103-134. 

  27. 안은정 (2013). 일-가정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 연구. 분쟁해결연구, 11(2), 75-120. 

  28. 안지영, 박성연 (2002).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1(1), 53-68. 

  29. 양숙경, 문혁준 (2010). 3세 이하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분리불안, 어머니의 직업에 대한 태도,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4), 67-76. 

  30. 오유진, 박성준 (2009). 저출산의 경제학적 분석. 한국경제학보, 15(1), 91-112. 

  31. 오은경 (2001). 취업모의 양육태도, 배우자의 지지 및 직업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윤지수, 장재윤 (2011). 직장에서 가정으로의 정서 파급: 성격 요인 및 직무만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2), 257-280. 

  33. 이선희 (2007). 취업모의 직업만족도 및 양육행동과 남녀 아동의 문제행동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성림 (2010). 자녀양육비와 둘째 자녀 출산의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10), 105-119. 

  35. 이정원 (2007). 유자녀 취업여성의 후속출산의도에 관한 연구: 합리적-가치적 선택 모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이제영 (1988). 직장생활과 가정생활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진희 (2010). 취업모의 직업만족도,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형민 (2012). 후속출산계획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 영아기 자녀를 둔 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70, 1-31. 

  39. 임현주, 이대균, 최항준 (2011). 친지의 사회적 지원, 부모특성,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변인 탐색. 유아교육연구, 31(6), 167-189. 

  40. 임효진, 박휴용, 장경은, 이지은 (2015). 어머니의 심리적, 관계적 변인과 양육스트레스, 후속 출산의도의 구조적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20(2), 297-318. 

  41. 장연주 (2010. 10. 16). 인사 불이익, 경력단절-한국 워킹맘들의 5중고. 헤럴드경제.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01015000787&md20101016154418_BL에서 2016년 3월 25일 인출 

  42. 장한나, 이명석 (2013). 기혼직장여성의 출산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4), 425-438. http://dx.doi.org/10.6115/fer.2013.51.4.425 

  43. 전은화 (2014). 기혼맞벌이여성의 출산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18(3), 325-350. 

  44. 전춘애, 박성연 (1996). 자녀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4(5), 115-129. 

  45. 정은영, 강민주 (2015). 맞벌이 가정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직무만족도 및 배우자의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9(1), 201-226. 

  46. 정은희, 최유석 (2013).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계획 및 출산과 관련된 요인. 보건사회연구, 33(1), 5-34. 

  47. 정혜옥 (2006). 한 자녀 가정의 자녀 출산계획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동작구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정혜은, 진미정 (2008). 취업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의도. 한국인구학, 31(1), 147-164. 

  49. 차승은 (2008). 부모역할의 보상비용과 둘째 자녀 출산계획: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 33(1), 111-134. 

  50. 채선미, 강희선, 이한주, 신현숙 (1999). 배우자 지지가 미취학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모자보건학회지, 3(2), 187-195. 

  51. 통계청 (2016). 일.가정양립지표.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58035&pageNo&rowNum10&amSeq&sTarget&sTxt에서 2016년 3월 25일 인출 

  52. 통계청 (2017). 2016 한국의 사회지표.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5/index.board?bmoderead&aSeq359629&pageNo&rowNum10&amSeq&sTarget&sTxt에서 2017년 5월 12일 인출 

  53. 홍승아 (2010). 일가족양립정책의 국제비교연구: 스웨덴, 영국, 한국을 중심으로. 젠더리뷰, 16, 66-71. 

  54. 황현주 (1993). 맞벌이 부부의 직장생활과 직장생활간의 역할전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Abidin, R. R. (1990).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he stresses of parenting.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4), 298-301. doi:10.1207/s15374424jccp1904_1 

  56. Brodmann, S., Esping-Andersen, G., & Guell, M. (2007). When fertility is bargained: Second births in Denmark and Spain. European Scoiological Review, 23(5), 599-613. doi:10.1093/esr/jcm025 

  57.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doi:10.1111/j.1467-8624.1990.tb02889.x 

  58. Crouter, A. C., & McHale, S. M. (1993). The long arm of the job: Influence of parental work on childbearing. In T. Luster & L. Okagaki (Eds.), Parenting: All ecological perspective (pp. 179-202). NY: Erlbaum. 

  59. Edwards, J. R., & Rothbard, N. P. (2000). Mechcanisms linking work and family: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family constructs. Academy of Managerial Review, 25(1), 178-199. doi:10.5465/AMR.2000.2791609 

  60. Forgays, D. K., Ottaway, S. A., Guarino, A., & D'Alessio, M. (2001). Parenting stress in employed and at-home mothers in Italy.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22(4), 327-351. doi:10.1111/j.1469-8749.2011.04014.x 

  61. Frejka, T., Hoem, J., Toulemon, L., & Sobotka, T. (2008). Childbearing trends and policies in Europe: An overview. Norderstedt, Schleswig-Holstein: Books on Demand. 

  62. Guedes, M., Pereira, M., Pires, R., Carvalho, P., & Canavarro, M. C. (2015). Childbearing motivations scale: Construction of a new measure and its preliminary psychometric propertie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4(1), 180-194. doi:10.1007/s10826-013-9824-0 

  63. Hwang, W., & Jung, E. (2016). Does paid maternity leave affect infant development and second-birth intentions? Family Relations, 65(4), 562-575. doi:10.1111/fare.12214 

  64. Ilies, R., Schwind, K. M., Wagner, D. T., Johnson, M. D., De Rue, D. S., & Ilgen, D. R. (2007). When can employees have a family life?: The effects of daily workload and affect on work-family conflict and social behaviors at hom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5), 1368-1379. doi:10.1037/0021-9010.92.5.1368 

  65. Kalleberg, A. L. (1977). Work values and job rewards: A theory of job satisfac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2(1), 124-143. 

  66. Mann, M. B., & Thormberg, K. R. (1987). Guilt of working women with infants and toddlers in day car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27(3), 451-464. doi:10.1080/0300443870270304 

  67.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Y: McGraw-Hill. 

  68. Park, S. M., & Cho, S. I. (2011). Factors associated with second childbirth intention: Focusing on value of children in Korean married women. J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sychology, 29(3), 292-304. doi:10.1080/02646838.2011.593031 

  69. Podsakoff, P. M., MacKenzie, S. B., Lee, J., & Podsakoff, N. P. (2003).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5), 879-903. doi:10.1037/0021-9010.88.5.879 

  70. Williams, K. J., & Alliger, G. M. (1994). Role stressors, mood spillover, and perceptions of work-family conflict in employed parent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4), 837-868. doi:10.2307/2566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