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임상에서 사용되는 진단도구들이 소아에서 우식위험도와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소아에서 우식위험도를 효과적으로 반영하는 지표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32명의 6세 미만의 소아를 두 군(I군 : dmft < 6, II군 : dmft > 6)으로 나누었다. Plaque-check PH을 이용해 치태의 pH를 측정하고, Saliva-check buffer를 이용해 타액의 pH와 완충능력를 측정하였다. S. mutans 검출을 위해 Saliva-check mutans와 Cytoperio analysis system을 이용하였다. 타액 완충능력은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dmft와 상관관계를 보였고, 타액의 pH와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군 사이에 치태 pH, 타액 pH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으며 dmft와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S. mutans의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하는 Saliva-check mutans와 real-time PCR에 기반한 Cytoperio analysis system은 dmft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compare chair-side test results for caries risk assessment and evaluate how well the tests reflect caries experience. The study was conducted on children aged < 6 years in primary dentition. Dental examination of children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mft index and subject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6세 이하 소아에서 우식경험과 상관관계를 가지는 임상적 지표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진단도구들이 소아에서 우식위험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타액의 완충능력이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높은 치아우식 위험도를 가지는 환자에 게서 타액의 완충능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 생각된다. 특히, 하악 유전치부에 우식 병소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관찰된 3명의 대상에서는 모두 타액의 완충능력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우식의 예방을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치아우식은 시간, 불소, 타액, 생활습관, 사회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만성 감염성 질환으로 초기에 적절한 예방전략이 시행된다면 우식의 진행은 멈출 수 있다[5]. 적절한 예방전략이 수립되기 위해서는 개인의 우식 위험요소를 평가하고 우 식위험도를 결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우식위험평가가 유효하기 위해서는 생물학적 소인을 포함한 위험요소, 예방요소, 임상적 검진 요소들이 포함되어야 한다[6]. 임상적 검사는 치과 의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평가 과정으로 치아 법랑질의 탈회작용 에 의한 초기손상, 우식치아, 치태, 부족한 타액 분비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유아기 우식증이란 무엇인가 유아기 우식증(Early childhood caries)이란 72개월 이하의 소아에게서 유치에 하나 이상의 우식, 치료, 발치된 치아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1]. 2014년 연구에 따르면 소아치과를 내원하는 아동의 63.
치아우식에 관여하는 요인에는 어던 것들이 잇는가 치아우식은 시간, 불소, 타액, 생활습관, 사회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만성 감염성 질환으로 초기에 적절한 예방전략이 시행된다면 우식의 진행은 멈출 수 있다[5]. 적절한 예방전략이 수립되기 위해서는 개인의 우식 위험요소를 평가하고 우 식위험도를 결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우식위험평가가 유효하기 위해서는 생물학적 소인을 포함한 위험요소, 예방요소, 임상적 검진 요소들이 포함되어야 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Policy on Early childhood caries (ECC): Classifications, consequences, and preventive strategies. Pediatr Dent, 37:50-52, 2014. 

  2. Kang GM, LEE HS, Lee JH, et al. : The distribution of patients and treatment trends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for last 5 years. J Korean Acad Pediatr Dent, 41:134-143, 2014. 

  3. 2015 Korean children's oral health survey. Available from URL: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1&CONT_SEQ332448&page1 (Accessed on July 17, 2016). 

  4. Son YJ, Hyun HK, Jang KT, et al. : The changes in practice patterns for the last 8 years(2001-2008)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J Korean Acad Pediatr Dent, 37:97-100, 2010. 

  5.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 : Textbook of Pediatric Dentistry, 5th ed., Dental Wisdom, 274, 2014. 

  6. Kim YJ : New vision in pediatric dentistry - Keeping healthy teeth caries free : Pediatric CAMBRA protocols. J Korean Acad Pediatr Dent, 40:72-81, 2013. 

  7. Li Y, Wang W : Predicting caries in permanent teeth from caries in primary teeth: an eight-year cohort study. J Dent Res, 81:561-6, 2002. 

  8. Pawell LV : Caries predic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6:361-371, 1998. 

  9. Dong YM, Pearce EI, Wang JD, et al. : Plaque pH and associated parameters in relation to caries. Caries Res, 33:428-436, 1999. 

  10. Fejerskov O, Scheie AA, Manji F : The effect of sucrose on plaque pH in the primary and permanent dentition of caries-inactive and -active Kenyan children. J Dent Res, 71:25-31, 1992. 

  11. Sansone C, Van Houte J, Margolis HC, et al. : The association of mutans streptococci and non-mutans streptococci capable of acidogenesis at a low pH with dental caries on enamel and root surfaces. J Dent Res, 72:508-516, 1993. 

  12. Van Houte J, Lopman J, Kent R : The final pH of bacteria comprising the predominant flora on sound and carious human root and enamel surfaces. J Dent Res, 75:1008-1014, 1996. 

  13. Humphrey SP, Williamson RT : A review of saliva: normal composition, flow, and function. J Prosthet Dent, 85:162-169, 2001. 

  14. Anderson P, Hector MP, Rampersad MA : Critical pH in resting and stimulated whole saliva in groups of children and adults. Int J Paediatr Dent, 11:266-273, 2011. 

  15. Singh S, Sharma A, Sinha A, et al. : Saliva as a prediction tool for dental caries : An in vivo study. J Oral Biol Craniofac Res, 5:59-64, 2015. 

  16. Prabhakar A, Dodawad R, Os R : Evaluation of flow rate, pH, buffering capacity, calcium, total protein and total antioxidant levels of saliva in caries free and caries active children-An in vivo study. Int J Clin Pediatr Dent, 2:8-12, 2009. 

  17. Marsh PD : Are dental diseases examples of ecological catastrophes? Microbiology, 149:279-294, 2003. 

  18. Twetman L, Twetman S : Comparison of two chair-side tests for enumeration of Mutans Streptococci in saliva. Oral Health Dent Manag, 13:580-583, 2014. 

  19. Gao XL, Seneviratne CJ, Samaranayake LP, et al. : Novel and conventional assays in determining abundance of Streptococcus mutans is saliva. Int J Paediatr Dent, 22:363-368, 2012. 

  20. Lee MJ, Lee DW, Kim JG, et al. : Detection of Streptococcus mutans in saliva using monoclonal antibodies. J Korean Acad Pediatr Dent, 42:10-21, 2015. 

  21. Rupf S, Merte K, Eschrich K, et al. : Comparison of different techniques of quantitative PCR for determination of Streptococcus mutans counts in saliva samples. Oral Microbiol Immunol, 18:50-53, 2003. 

  22. Igarashi T, Yamamoto A, Goto N : Direct detection of Streptococcus mutans in human dental plaque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Oral Microbiol Immunol, 5:294-298, 1996. 

  23. Yano A, Kaneko N, Hanada N, et al. : Real-time PCR for quantification of Streptococcus mutans. FEMS Microbiol Lett, 217:23-30, 2002. 

  24. Salazar O : Bacteria and Yeast cell disruption using lytic enzymes. Methods Mol Biol, 424:23-34, 2008. 

  25. Bollet C, Gevaudan MJ, de Lamballerie X, et al. : A sa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of chromosomal DNA from gram positive or acid-fast bacteria. Nucleic Acids Res, 19:1955, 1991. 

  26. Reich E, Lussi A, Newbrun E : Caries-risk assessment. Int Dent J, 49:15-26, 1999. 

  27. Demers M, Brodeur JM, Mouton C, et al. : A multivariate model to predict caries increment in Montreal children aged 5 years. Comm Dnt Health, 9:273-281,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