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미세조류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
Antibacter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marine micro-alga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9 no.4, 2017년, pp.390 - 395  

김윤정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식품연구센터) ,  하상철 (대구미래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과) ,  김대욱 (식품의약품안전처 연구기획조정과) ,  신일식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xed A, Chlorella vulgaris, Nannochloropsis oculata, Chaetoceros calcitrans 등 4종류의 미세조류로부터 99.9% 에탄올로 추출한 성분의 항균활성을 검증하기 위해 그람음성세균 2종(E. coli, S. Typhimurium)과 그람양성세균 2종(S. aureus, B. cereus)에 대하여 paper disk diffusion assay, MIC, MBC를 측정하였다. 4종류의 미세조류 추출물은 공시균주에 대하여 0.62-1.66 mg/mL의 MIC를 나타내었으며, C. vulgaris 추출물이 4종의 공시균주에 대한 MIC가 0.62 mg/mL로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BC 또한 C. vulgaris 에탄올 추출물이 E. coli에 대해 2.50 mg/mL, S. aureus, B. cereus와 S. Typhimurium에 대해서는 4.16-5.00 mg/mL로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이 가장 강한 C. vulgaris 에탄올 추출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함량이 가장 많은 성분은 9,12-octadecadienoic acid (linoelaidic acid, peak 5, 7)로 38.8%이었으며, 그 다음이 2-Hexadecen-1-o1, 3,7,11,15-tetramethyl (phytol, peak 2,6)로 30.0%이었다. Octadecadienoic acid는 일명 linoelaidic acid로 탄소수 18개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이며, 두 번째로 함량이 많은 Phytol은 클로로필을 구성하는 불포화 제1급 알코올의 일종으로서(엽록소의 구성 성분) 병원성 대장균황색포도상구균에 항균활성을 나타낸다는 보고로 볼 때, 이 2가지 성분이 항균활성의 주성분인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ethanol (99.9%) extracts from marine micro-algae, namely, Mixed A (Pavlova sp., Thalassiosira weissflogii, Tetraselmis suecica and Isochrysis galbana were mixed with 1:1:1:1 ratio), Chlorella vulgaris, Nannochloropsis oculata and Chaetoceros calcitrans were estimated 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아직 미세조류의 항균성 물질 탐색은 기초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국내에 분포하고 있는 미세조류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는 실정이고 미세조류의 이용성에 대한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식품보존료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4종의 해양 미세조류로부터 99.9%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그 성분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류란? 조류(algae)는 육상식물을 제외한 모든 광합성 생물의 통칭으로, 이들 중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단세포성 조류를 미세조류(microalgae)라 하며, 대부분의 식물성 플랑크톤이 이에 속한다. 미세조류는 클로로필(chlorophylls)이나 카로테노이드(carotenoids)등의 색소를 함유하며 주로 광합성을 통해 세포 성장과 번식을 행하는 식물군으로 약 20,000여종이 있으며, 크기는 1-1,000 µm로 1차 대사산물인 단백질, 지방질, 탄수화물 등은 물론이고, 2차대사산물인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다고 알려져 있다(9).
합성보존료의 문제점은? 이러한 제한 요인을 보완하고 부패성 미생물이나 식중독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식품을 안전하게 장기 저장하려는 수단으로 각종 보존료 혹은 살균제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아질산염(nitrite), 소브산(sorbic acid), 메타아황산소듐(sodium metabisulfite), 벤조산(benzoic acid), 염소제 등 다양한 합성 보존료가 생산되어 이용되고 있다(1-3). 그러나 합성보존료는 체내 축적성 등 그 유해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대두되고 있고, 물질의 종류, 사용량 등에 따라 잔류독성, 돌연변이 유발, 기형유발 등 인체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기피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식품을 안전하게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수단 중 냉동냉장법의 단점은? 식품을 살균하여 보존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주로 사용하는 가열 처리 방법은 열에 의해 제품의 질 저하, 영양가 파괴 등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냉장 및 냉동법은 열처리를 최소화하여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으나 저온유지를 위한 온도관리와 저장, 유통 비용이 높다. 이러한 제한 요인을 보완하고 부패성 미생물이나 식중독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식품을 안전하게 장기 저장하려는 수단으로 각종 보존료 혹은 살균제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아질산염(nitrite), 소브산(sorbic acid), 메타아황산소듐(sodium metabisulfite), 벤조산(benzoic acid), 염소제 등 다양한 합성 보존료가 생산되어 이용되고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Davidson PM, Post LS, Branen AL, Mccurdy AR. Naturally occurring and miscellaneous food antimicrobials. pp. 371419. In: Antimicrobials in Food. Branen AL, Davison PM (eds). Marcel Dekker, New York, NY, USA (1983) 

  2. Lewis RJ. Food additives. pp. 3-27. In: Food additives Handbook. Dean RW (ed). Nostrand Reinhold, New York, NY, USA (1989) 

  3. Cherry JP. Improving the safety of fresh produce whit antimicrobials. Food Technol. 53: 54-59 (1999) 

  4. Cho SH, Lee SY, Kim JW, Ko GH, Seo IW.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atural antimicrobial agent isolated from grapefruit seed extract-Antimicrobial activities of grapefruit seed extract. J. Food Hyg. Saf. 10: 33-39 (1995) 

  5. Lee SH, Lim YS. Antimicrobial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on pathogenic microorgan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239-243 (1998) 

  6. Baratta MT, Dorman HJD, Deans SG, Figueiredo AC, Barro JG, Ruberto G.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ome commercial essential oils. Flav. Frag. J. 13: 235-244 (1998) 

  7. Kong YJ, Oh DH.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Quercus mongolica leaf as natural food preservativ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243-963 (2001) 

  8. Jung JH, Cho SH. Effect of steeping treatment in the natural antimicrobial agent solution on the quality control of processed tofu. Korean J. Food Preserv. 10: 41-46 (2003) 

  9. Murakami M, Makabe K, Okada S, Yamaguch K, Konosu S. Screening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in microalgae. Nippon Suisan Gakkaishi. 54: 1035-1042 (1988) 

  10. Aaronson S, Dhawale SW, Patni J, DeAngelis B, Frank O, Baker H. The cell content and secretion of water soluble vitamins in several freshwater algae. Arch. Microbiol. 112: 57-59 (1977) 

  11. Percival EP, Foyle RAJ.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of Porphyridium cruentum and Porphyridium aerugineum. Carbohyd. Res. 72: 165-176 (1979) 

  12. Ben-Amotz A, Avron, M. Glycerol, ${\beta}$ -carotene and dry algal meal production in commercial cultivation of Dunaliella. pp. 603-610. In: Algae Biomass. Shelef G, Soeder CJ (eds). Elsevier, Amsterdam, Netherlands (1980) 

  13. Antia NJ, Desai ID, Romily MJ. The tocopherol, vitamin K, and related isoprenoid quinone composition of unicellular red algae. J. Phycol. 6: 305-312 (1970) 

  14. Kenyon CN, Rippka R, Stanier RY. Fatty acid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some filamentous blue-green algae. Arch. Microbiol. 83: 216-236 (1972) 

  15. Ben-Amotz A, Katz A, Avron M. Accumulation of beta-carotene in halotolerant algae: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eta-carotene rich globlues from Dunaliella bardawil (Chlorophycea). J. Phycol. 18: 529-537 (1982) 

  16. Moor RE. Constituents of blue-green algae. pp. 1-49. In: Marine Natural Products. Scheuer PJ (ed).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1981) 

  17. Hoppe HA. Marine algae and their products and constituents in pharmacy. pp. 25-119. In: Marine Algae in Pharmaceutical Science. Hoppe HA, Levring T, Tanaka Y (eds). Walter de Gruyter, Berlin, Germany (1979) 

  18. Nagai H, Murata M, Torigoe K, Satake M, Yasumoto T. Gambieric acids: New potent antifungal substances with unprecedented polyether structures from a marine dinoflagellate Gambierdiscus toxicus. J. Org. Chem. 57: 54485453 (1992) 

  19. Hasegawa T, Kimura Y, Hiromatsu K, Kobayashi N, Yamada A, Makino M, Sano T, Nomoto K, Yoshiko Y. Effect of hot water extract of Chlorella vulgaris on cytokine expresstion patterns in mice with murine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fter infection with Listeria monocytogenes. Immunopharmacology 35: 272-282 (1997) 

  20. Richmond A. Microalgal biotechnology at the turn of the century. J. Appl. Phycol. 12: 441-451 (2005) 

  21. Guillard RRL, Ryther JH. Studies of marine planktonic diatoms. I. Cyclotella nana Hudstedt, and Detonula converfacea (Cleve) Gran. Can. J. Microbiol. 8, 229?239 (1962) 

  22. Bauer AW, Kibby MM, Sherria JC, Turck M.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by a standardized single disk method. Am. J. Clin. Pathol. 45: 493-496 (1966) 

  23. CLSI.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Twenty-Fifth Informational Supplement (M100-S25).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Wayne, PA, USA (2015) 

  24. Bamba H, Kondo Y, Wong RM, Sekine S, Matsuzaki F. Evaluation of assay method of the susceptibility of antimicrobial agents using a 96-well flat-bottom microlpate and a microplate reader. Am. J. Gastroenterol. 92: 659-662 (1997) 

  25. Plaza M, Santoyo S, Jaime L, Avalo B, Cifuentes A, Reglero G, Garcia-Blairsy Reina G, Senoran FJ, Ibanez E. Comprehensive characterization of the functional activities of pressurized liquid and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from Chlorella vulgaris. LWTFood Sci. Tech. 46: 245-253 (2012) 

  26. Plaza M, Santoyo S, Jaime L, Garcia-Blairsy Reina G, Herrero M, Senoran FJ, Ibanez E. Screening for bioactive compounds from algae. J. Pharmaceut. Biomed. 51: 450-455 (2010) 

  27. Santoyo S, Rodriguez-Meizoso I, Cifuentes A, Jaime L, Garcia-Blairsy Reina G, Senoran FJ, Ibanez E. Green processes based on the extraction with pressurized fluids to obtain potent antimicrobials from Haematococcus pluvialis microalgae. LWT-Food Sci. Tech. 42: 1213-1218 (2009) 

  28. Gouveia L, Veloso V, Reis A, Fernandes H, Novais J, Empis J. Evolution of pigment composition in Chlorella vulgaris. Bioresource Technol. 57: 157-163 (1996) 

  29. Joo DS, Lee EH. Searching of antimicrobial active compounds from microalgae. Kor. J. Life Sci. 8: 173-180 (1998) 

  30. Eguchi K, Nagase H, Qzawa M, Endoh Y, Goto K, Hirata K, Miyamoto K, Yoshimura H.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gents for veterinary use in the ecotoxicity test using microalgae. Chemosphere 57: 1733-1738 (2004) 

  31. Dantas DC, Kaneno R, Queiroz ML. The effects of Chlorella vulgaris in the protection of mice infected with Listeria monocytogenes. Role of natural killer cells. Immunopharm. Immunot. 21: 609-619 (1999) 

  32. Pratt R, Daniels TC, Eiler JB, Gunnison JB, Kumler WD. Chlorellin, an antibacterial substance from Chlorella. Science 99: 351-352 (1944) 

  33. Ghasemi Y, Yazdi MT, Shafiee A, Amini M, Shokravi S, Zarrini G. Parsiguine, a novel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Fischerella ambigua. Pharm. Biol. 42: 318-322 (2004) 

  34. Desbois AP, Mearns-Spragg A, Smith VJ. A fatty acid from the diatom Phaeodactylum tricornutum is antibacterial against diverse bacteria including multi-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Mar. Biotechnol. 11: 45-52 (2009) 

  35. Smith VJ, Desbois AP, Dyrynda EA. Conventional and unconventional antimicrobials from fish, marine invertebrates and micro-algae. Mar. Drugs 8: 1213-1262 (2010) 

  36. Smith VJ, Desbois AP, Dyrynda EA. Conventional and unconventional antimicrobials from fish, marine invertebrates and micro-algae. Mar. Drugs 8: 1213-1262 (2010) 

  37. Santoyo S, Rodrguez-Meizoso I, Cifuentes A, Jaime L, Garca-Blairsy Reina G, Seorans FJ, Ibanez E. Green processes based on the extraction with pressurized fluids to obtain potent antimicrobials from Haematococcus pluvialis microalgae. LWTFood Sci. Tech. 42: 1213-1218 (2009) 

  38. Amaro HM, Guedes C, Malcata FX.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icroalgae: an invited review. pp 1272-1280. In: Science against Microbial Pathogens: Communicating Current Research and Technological Advances. Mndez-Vilas A (ed). Formatex Research Center, Badajoz, Spain (2011) 

  39. Couladis M, Chinou IB, Tzakou O, Loukis A.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of Ballota pseudodictamnus L. Bentham. Phytother. Res. 16: 723-726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