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점착성 유사의 침강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Settling Properties of Cohesive Sediments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9 no.3, 2017년, pp.303 - 310  

최인호 (서일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종우 (서일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난류흐름에서 이온의 영향아래 점착성 유사의 침강특성을 이해하는데 있다. 실험연구는 자유수면을 가지는 소형 환형수조에서 실시하였다. 실험에서 유사 재료로써 실리카($SiO_2$)를 사용하였으며, 부유농도는 CCD-Camera로 측정하였다. 실리카의 침강실험은 7g/L의 농도일 경우 다양한 바닥전단응력을 부여해 실시되었다. 바닥전단응력이 증가하게 되면 실리카의 플럭(floc)입자 입경(D)은 pH6.8에서보다 pH4.2와 높은 NaCl 농도에서 더 크다. 실리카의 침강속도($W_s$)는 pH4.2에서보다 10g NaCl/L에서 더 높다. 본 연구에서 예측된 농도-시간 곡선은 실제 흐름에서 이온의 영향아래 실측된 농도-시간 곡선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settling properties of cohesive sediments under effects of ions in turbulent flow.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a miniature annular flume(mini flume) with a free water surface. Silica was used as sediment of experiment. The suspended concentrations were meas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점착성 유사의 이송, 침강과 퇴적량을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대책 마련을 위해 물리-화학적인 인자 중 전단력, pH, NaCl을 고려한 점착성 유사의 침강특성에 관한 실험이다. 센서의 교란 없이 CCD-Camera를 이용하여 부유농도를 측정하고 침강속도를 결정하며, 이를 기본자료로 플럭입자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소형 환형수조에서 바닥전단응력 변화와 이온(NaCl, HCl, NaOH) 영향을 고려하여 점착성 유사(실리카)의 침강특성에 영향을 주는 플럭입자, 플럭입자와 침강속도와 관계, 예측농도와 실측농도변화 등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이러한 일차 입자간 결합된 덩어리인 플럭은 하천, 습지, 호수, 항만, 댐, 연안해역에서 점착성 유사의 침강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플럭 현상의 영향을 받는 점착성 유사의 침강속도는 부유된 미세입자의 이송(transport), 침강(settling) 및 퇴적(deposition)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이와 같은 플럭 현상은 흐름의 물리적 특성과 수중에 녹아 있는 화학적 특성에 따라 좌우되어, 그 현상을 이해하기가 복잡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유된 미세입자의 이송(transport), 침강(settling) 및 퇴적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무엇인가? 이러한 일차 입자간 결합된 덩어리인 플럭은 하천, 습지, 호수, 항만, 댐, 연안해역에서 점착성 유사의 침강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플럭 현상의 영향을 받는 점착성 유사의 침강속도는 부유된 미세입자의 이송(transport), 침강(settling) 및 퇴적(deposition)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이와 같은 플럭 현상은 흐름의 물리적 특성과 수중에 녹아 있는 화학적 특성에 따라 좌우되어, 그 현상을 이해하기가 복잡하다.
점착성 유사의 크기와 밀도가 변화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때 점착성 유사의 결합을 플럭(floc)이라고 부른다. 플럭은 수중에서 붕괴 또는 결합되기 때문에 크기와 밀도가 변화한다. 이러한 일차 입자간 결합된 덩어리인 플럭은 하천, 습지, 호수, 항만, 댐, 연안해역에서 점착성 유사의 침강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유된 점착성 유사가 다른 미세입자와 쉽게 결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부유된 점착성 유사는 표면의 이온성분 때문에 다른 미세입자와 쉽게 결합한다. 이때 점착성 유사의 결합을 플럭(floc)이라고 부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eng, NS. (1997). A simplified settling velocity formula for sediment particle. J.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123(2), 149-152. 

  2. Choi, IH and Kim, JW. (2014). Experimental study on erosional behaviour of fine-grained sediments. J. of Korean Society Hazard Mitigation, 14(3), pp. 863-872. [Korean Literature] 

  3. Choi, IH and Kim, JW. (2015). Depositional behavior of fine-grained particles with varying cohesiveness. J. of Korean Society Hazard Mitigation, 15(4), pp. 251-259. [Korean Literature] 

  4. Choi, IH and Kim, JW. (2016). A study on effects of salinity on deposition and erosion of cohesive sediments. J. of Korean Society Hazard Mitigation, 16(5), pp. 317-324. [Korean Literature] 

  5. Choo, TH, Kim, YH, Park BS, Kwon, JW and Cho, HM. (2017). Proposal for estimation method of the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in EIA. J. of Wetlands Research, 19(1), pp. 30-36. [Korean Literature] 

  6. Hwang, KN, Kim, HM and Ahn, IJ. (2008). A laboratory study on erosional properties of fine cohesive sediments from Saemankeum artificial lake.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1(5), pp. 473-482. [Korean Literature] 

  7. Kajihara, M. (1971). Settling velocity and porosity of large suspended particle. J. of the Oceanorgraphical Society of Japan, 27(4), pp. 158-162. 

  8. Kim, JW and Nestmann, F. (2009). Settling behavior of fine-grained materials in flocs. J. Hydraul. Res. 47(4), pp. 492-502. 

  9. Krone, RB. (1962). Flume studies of the transport of sediment in estuarial shoaling processes. Final Rep., Hydr. Engr. Lab. and Sanitary Engr. Res. Lab., Univ. of California, Berkeley, June. 

  10. Lick, W and Huang, H. (1993). Flocculation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flocs. In: Coastal and Estuarine Studies 42, Nearshore and Estuarine Cohesive Sediment Transport, 21-39. American Geophysical Union. 

  11. Lick, W, Lick, J and Ziegler, CK. (1992). Flocculation and its effect on the vertical transport of fine-grained sediments. Hydrobiologia, 235/236(1), pp. 1-16. 

  12. Maggi, F, Mietta, F and Winterwer, JC. (2007). Effect of variable fractal dimension on the floc size distribution suspended cohesive sediment. J. Hydrology 343, pp. 43-55. 

  13. Mehta, AJ and Partheniades, E. (1975). An investigation of the depositional properties of flocculated fine sediments. J. of Hydraulic Research 13(4), pp. 361-381. 

  14. Partheniades, E. (1992). Estuarine sediment dynamics and shoaling processes. In. Herbick, J. (ed), Handbook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3, pp. 985-1071. 

  15. Son, M. (2011). Measurement of settling velocity, size and density and analysis of fractal dimension of cohesive sediment. Korean J. Limnol., 44(1), pp. 58-65. [Korean Literature] 

  16. Stokes, GG. (1851). On the effect of the internal friction of fluids on the motion of pendulums. Trans. Cambrige Philosophical Society 9(8), pp. 287-298. 

  17. Van Leussen, W. (1994). Estuarine macroflocs and their role in fine-grained sediment transport. Ph.D. Thesis, University Utrecht. 

  18. Von Karman, T. (1930). Mechanische Ahnlichkeit und Turbulenz. Nachrichten von der Gesellschaft der Wissenschaften zu Gottingen, Fachgruppe 1(Mathematik), 5, pp. 58-76. [German Literature] 

  19. Whitehouse, UG, Jeffrey LM and Debbrecht JD. (1960). Differential settling tendencies of clay minerals in saline waters. In: A. Swineford (ED.) Clays and Clay Minerals, 7th, Washington DC, 195. Pergamon Press, New York, pp. 1-79. 

  20. Winterwerp, JC. (1998). A simple model for turbulence induced flocculation of cohesive sediment. J. Hydraul. Res. 36(3), 309-326. 

  21. Zanke, U. (1977). Berechnung der Sinkgeschwindigkeit von sediment. Band 46 der Reihe Mitteilungen des Franzius-Instituts fuer Wasserbau und Kuensteningenieurwesen der TU Hannover. [German Literature] 

  22. Zhu, Z, Wang, H, Yu, J and Dou, J. (2016). On the kaolinite floc size at the steady state of flocculation in a turbulent flow. PLoS ONE 11(2): e0148895. doi:10.1371/journal.pone.01488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