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팝나무 뿌리 열수 추출물이 RAW264.7 세포에서 미치는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Spiraea prunifolia Sieb. et Zucc. var. simpliciflora Nakai in RAW 264.7 Cell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0 no.4, 2017년, pp.335 - 342  

심미옥 (한약진흥재단) ,  이현주 (한약진흥재단) ,  장지훈 (한약진흥재단) ,  이효은 (한국뇌연구원) ,  정호경 (한약진흥재단) ,  김태묵 (한약진흥재단) ,  노종현 (한약진흥재단) ,  정자균 (한약진흥재단) ,  정다은 (한약진흥재단) ,  조현우 (한약진흥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LC IT TOF MS를 이용하여 조팝나무 뿌리의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 caffeic acid와 p-coumaric acid가 주성분으로 검출되었으나,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열수 추출물에서 검출되지 않은 저극성 물질들이 다수 검출되었다. 조팝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바가 있으나, 열수추출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팝나무 뿌리 열수 추출물(SSN)의 항산화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항염증 활성을 탐색하기 위해 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로부터 분비되는 NO함량을 측정하였다. SSN은 LPS로 유도한 염증반응에서 세포 독성 없이 NO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다음으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SSN은 강한 유리라디칼 저해능을 나타냈으며, 이는 SSN이 폴리페놀(56.7 mg/g)과 플라보노이드(15.1 mg/g)와 같은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강한 항산화능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식세포에서 $H_2O_2$로 유도한 세포독성을 완화시켰으며, 세포내 ROS 생성을 억제함에 따라 천연물 유래 항산화제로서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때SSN이 항산화와 항염증 효과와 관련된 건강보조식품 및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iraea prunifolia Sieb. et Zucc. var. simpliciflora Nakai (SSN) has been used for the anti-inflammation in traditional folk medicine. To compare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SSN, we analyzed major components using LC IT TOF MS. The major components of hot water extract were identified as caffe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팝나무의 추출물이 자유라디칼을 직접적으로 소거하고, H2O2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킴에 따라 천연물 유래 항산화제로서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 그 결과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생성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는 조팝나무의 뿌리 열수추출물이 천연물 유래 항염증 물질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조팝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있으나, 열수추출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팝나무 뿌리 열수 추출물(SSN)의 항산화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항염증 활성을 탐색하기 위해 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로부터 분비되는 NO함량을 측정하였다.
  • (1999)은 조팝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의 생리활성에 대해 보고하였다. 하지만 아직 열수추출물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조팝나무 뿌리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탐색함으로써 향후 염증반응 증가 및 항산화 시스템과 관련이 있는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할 수 있는 건강보조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원인은? 산화는 생명이 살아가는데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한 꼭 필요한 과정이며, 이러한 산화 과정은 활성산소(reactive oxyge species; ROS)를 생성한다(Aiyegoro and Okoh, 2010). 하지만 지나친 스트레스, 환경오염, 비만과 같은 이유로 ROS를 제거하는 항산화 활성이 감소하게 되면 체내 과도한 ROS가 형성되고, 이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된다(Valko et al., 2006).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측정을 위해 LC IT TOF MS을 이용하여 조팝나무 뿌리의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분석한 결과 검출된 성분은? 본 연구에서는 LC IT TOF MS를 이용하여 조팝나무 뿌리의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 caffeic acid와 p-coumaric acid가 주성분으로 검출되었으나,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열수 추출물에서 검출되지 않은 저극성 물질들이 다수 검출되었다. 조팝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있으나, 열수추출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산화적 스트레스의 증가로 인해 나타나는 질병은? , 2006). 산화적 스트레스의 증가는 세포막, DNA, 장기 및 조직 손상, 면역력 저하를 일으키며, 심지어 염증성 매개 물질을 형성하여 염증반응을 유도하고 결과적으로는 심혈관질환, 암, 치매, 당뇨병, 천식 및 노화를 촉진시킨다(Park and Kim, 2016; Jenner, 2007; Dhalla et al.,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iyegoro, O.A. and A.I. Okoh. 2010. Preliminary phytochemical screening an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aqueous extract of Helichrysum longifolium. DC. BMC Complement Altern. Med. 10:21-6882-10-21. 

  2. Bae, J.Y., C.H. Lee, M.J. Ahn and J.H. Park. 2012.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folk medicine. "JoPabNaMu" Kor. J. Pharmacogn. 43:193-197 (in Korean).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4. Byun, E.B., W.Y. Park, D.H. Ahn, Y.C. Yoo, C. Park, B.S. Jang, W.J. Park, E.H. Byun and N.Y. Sung. 2016. Comparison study of three varieties of red peppers in terms of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765-770 (in Korean). 

  5. Carocho, M. and I.C. Ferreira. 2013. A review on antioxidants, prooxidants and related controversy: natural and synthetic compounds, screening and analysis methodologies and future perspectives. Food Chem. Toxicol. 51:15-25. 

  6. Choi, E.Y., S.I. Heo, Y.S. Kwon and M.J. Kim. 2016.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piraea fritschiana Schneid extrac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4:31-37 (in Korean). 

  7. Dhalla, N.S., R.M. Temsah and T. Netticadan. 2000. Role of oxidative stress in cardiovascular diseases. J. Hypertens. 18:655-673. 

  8. Ferreira, I.C., L. Barros and R.M. Abreu. 2009. Antioxidants in wild mushrooms. Curr. Med. Chem. 16:1543-1560. 

  9. Folin, O. and W. Denis.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239-243. 

  10. Huang, H., T. Chang, L. Chang, H. Wang, K. Yih, W. Hsieh and T. Chang. 2012. Inhibition of melanogenesis versus antioxidant properties of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leaves of Vitex negundo Linn and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by GC-MS. Molecules 17:3902-3916. 

  11. Jang, J.H., H.K. Jung, J.H. Ko, M.O. Sim, K.Y. Woo, T.M. Kim, K.H. Lee, H.W. Jo, J.H. Cho and W.S. Jung. 2016. Anti-inflammatory effect of Sedum takesimense Nakai water extract in RAW 264.7 cell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4:228-236 (in Korean). 

  12. Jenner, P. 2007 Oxidative stress and Parkinson's disease. Handb. Clin. Neuro. 83:507-520. 

  13. Kim, J.Y., S.Y. Kim, H.M. Kwon, C.H. Kim, S.J. Lee, S.C. Park and K.H. Kim. 2014.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n chestnut, chestnut shell and leaves of Castanea crenata extrac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2:8-16 (in Korean). 

  14. Kim, S.H., J.H. Choi, H.T. Oh, M.J. Chung, C.B. Cui and S.S. Ham. 2008. Cytoprotective effect of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ethyl acetate fraction in human HepG2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696-701 (in Korean). 

  15. Kim, S.M., J.H. Park, H.O. Boo, S.G. Song and H.Y. Park. 2017. In vitro comparis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Korean J. Plant. Res. 30:133-143 (in Korean). 

  16. Kwak, C.S. and H.I. Choi. 2015.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and sequential fractions of flowers of Prunus persica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1439-1449 (in Korean). 

  17. Kwon, J.W., E.J. Lee, Y.C. Kim, H.S. Lee and T.O. Kwon. 2008. Screening of antioxidant activity from medicinal plant extracts. Korean J. Pharmacogn. 39:155-163 (in Korean). 

  18. Li, C. and M.H. Wang. 2011. Antioxidant activity of peach blossom extracts. J. Korean Soc. Apple. Biol. Chem. 54:46-53 (in Korean). 

  19. Lee, S.O., H.J. Lee, M.H. Yu, G.H. Im and I.S. Lee.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233-240 (in Korean). 

  20. Moreno, M.I., M.I. Isla, A.R. Sampietro and M.A. Vattuone.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109-114. 

  21. Pandey, K.B. and S.I. Rizvi. 2009. Plant polyphenols as dietary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Oxid. Med. Cell. Longev. 2:270-278. 

  22. Park, H.J. and K.Y. Lee. 2013. Evaluations on antioxidant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immature cotton boll. Korean J. Plant Res. 24:426-432 (in Korean). 

  23. Park, Y. and J.H. Kim. 2016.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s, vitamin C and sugar content during fruit ripening of five different jujube cultivars. Korean J. Plant Res. 29:539-546 (in Korean). 

  24. Pellegrini, N., R. Re, M. Yang and C. Rice-Evans. 1999.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ech fru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 2'-azinobis (3-ethylen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 Enzymol. 299:379-389. 

  25. Rye, J.H., H. Ahn, J.Y. Kim and Y.K. Kim. 2003. Inhibitory activity of plant extracts on nitric oxide synthesis in LPS-activated macrophages. Phytother. Res. 17:485-489. 

  26. So, H.S., R. Park, H.M. Oh, H.O. Pae, J.H. Lee, K.Y. Chai, S.Y. Chung and H.T. Chung. 1999. The methanol extract of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root inhibits the generation of nitric oxide and superoxide in RAW 264.7 cells. J. Ethnopharmacol. 68:209-217. 

  27. Valko, M., C.J. Rhodes, J. Moncol, M. Izakovic and M. Mazur. 2006. Free radicals, metals and antioxidants in oxidative stress-induced cancer. Chem. Biol. Interact. 160:1-40. 

  28. Yean, M.H., J.S. Kim, S.S. Kang and Y.S. Kim. 2014. A new megastigmane glucoside and three new flavonoid glycosides from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Helv. Chim. Acta. 97:1123-1131. 

  29. Yi, M.R., C.H. Kang and H.J. Bu. 2017. Anti-inflammatory and tyrosinase inhibition effects of amaranth (Amaranthus spp L.) seed extract. Korean J. Plant Res. 30:144-151 (in Korea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