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라도 귀화식물의 현황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 in Jeolla-do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0 no.4, 2017년, pp.399 - 409  

김덕기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  류태복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  이창우 (국립생태원 야외식물부) ,  최동희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  김남영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귀화식물의 급속한 증가는 지역 생태계 교란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도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상을 밝히는 것이다. 2016년 현장조사를 통해 830개 지점이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38과 116속 6변종 2품종 181종 총 189분류군의 귀화식물이 확인되었다. 생태특성 분석결과 국화과가 47분류군으로 높은 수를 차지하며 벼과 32분류군, 콩과 19분류군 순으로 밝혀졌다. 원산지별 분석결과 유럽원산 75분류군, 북아메리카 5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전라도 지역에서 나주시가 77분류군으로 가장 많은 귀화식물이 생육하며, 목포시 영광군 순으로 밝혀졌다. 선행문헌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37분류군(전라남도), 30분류군(전라북도)이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확인되었다. 선행문헌분석결과 귀화식물 정의에 부합되지 못하는 문제종들이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apid increase of naturalized plants causes disturbance of the eco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ality of naturalized flora in Jeolla-do. A total of 830 sites were studied in 2016. These naturalized plants consisted of 189 taxa in total, belonging to 38 families, 116 ge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전라도 전역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지역의 온전한 귀화식물 종급원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되어진 전라도 지역의 귀화식물상은 외래생물에 의한 생태계 관리의 주요 자료로 기여할 것이며, 귀화식물종의 위협에 대한 신속 대응을 위한 기반자료로써 활용될 것이다.
  • 귀화식물의 급속한 증가는 지역 생태계 교란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도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상을 밝히는 것이다. 2016년 현장조사를 통해 830개 지점이 조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도의 생태계 교란식물 사례를 볼 때 필요한 대책은 무엇인가? 제주도에서 생태계 교란식물인 가시상추, 미국쑥부쟁이에 비해 애기달맞이꽃, 주홍서나물 등이 넓은 분포면적, 많은 개체군으로 인해 지역 생태계에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NIE, 2015). 이는 국가적 수준의 생태계교란식물 뿐만 아니라 지역 생태계에 대한 귀화식물의 대응전략은 차별화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의 온전한 귀화식물 종급원 구축은 외래생물에 대한 기반자료로써 필수적인 요소로 고려되어진다.
귀화식물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귀화식물은 고유종(endemic species)과의 경쟁을 통해 종다양성 감소와 같은 지역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Pimentel, 2002). 전 세계적으로 지역 생태계에 문제를 야기하는 침입외래식물(invasive alien plants)에 대한 지역 또는 국가의 관심은 높아지고 있다(Lowe et al.
전라도 지역에는 몇 개의 분류군의 귀화식물이 존재하는가? 전라도 지역에 대한 현장 조사결과 38과 116속 6변종 2품종 181종 총 189분류군의 귀화식물이 확인되었다(Table 1). 지역별로 전라남도 34과 99속 3변종 1품종 157종 총 161분류군, 전라북도 32과 91속 4변종 2품종 136종 총 142분류군이 조사되었다(Table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Hong, J.R., M.J. Joo, M.H. Hong, S.J. Jo and K.J. Kim. 2014. Original article : Solanum elaeagnifolium Cav. (Solanaceae), an unrecorded naturalized species of Korean flora. Korean J. PL. Taxon. 44:18-21 (in Korean). 

  2. Ji, S.J., J.C. Yang, S.Y. Jung, C. Chang, S.H. Park, Y.S. Kang, S.H. Oh and Y.M. Lee. 2012. Two newly naturalized plants in Korea: Nuttallanthus canadensis (L.) D.A. Sutton and Lamium purpureum var. hybridum. Korean J. Pl. Taxon. 42(1):91-97 (in Korean). 

  3. Jung, S.Y. 2014.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 (IAP) in South Korea. Department of Bioresource Sciences, Ph.D. Thesis, Andong National Univ., Korea. p. 234 (in Korean). 

  4. Kariyama, S. and H. Kobatake. 1988. Naturalized plants of Gagyu-zan, Takahashi-City, Okayama Prefecture. Japan. Bull. Kurashiki Mus. Nat. Hist 3:31-40 (in Japanese). 

  5. Kim, C.G. and J.H. Kil. 2016. Alien flora of the Korean peninsula. Econature, Seoul, Korea. p. 655 (in Korean). 

  6. Kim, H.S. and J.G. Oh. 201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Korean J. Plant Res. 23(2):187-196 (in Korean). 

  7. Kim, H.S. and J.S. Kim. 1997. Ecological studies on the flora of naturalized plants and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 in the KAGO-DO. J. Korean Island. 7:123-130 (in Korean). 

  8. Kim, H.S., D.O. Lim and M.S. Park. 2007. Th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ethods of naturalized plants in Jeollanamdo, Korea - A focus on the south-western area. Korean J. Plant Res. 20(4):353-361 (in Korean). 

  9. Kim, H.S., J.S. Kim and S.H. Kim. 1997. Ecological studies on the flora and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Yosu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 J. Korea Soc. Environ. Admi. 3:1-14 (in Korean). 

  10. Kim, J.W. 2006. Vegetation Ecology(2nd ed.). World Science, Seoul, Korea. p. 340 (in Korean). 

  11. Kim, J.W. and Y.K. Lee.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 Science Publisher, Seoul, Korea. p. 486 (in Korean). 

  12. Kim, Y.Y., N.R. Na, H.I. Song and C.G. Jang. 2016. Floristic study of Mt. Segeolsan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9(1):110-127 (in Korean). 

  13. Korean plant names index. 2016. Research for plant information. http://www.nature.go.kr/ (Accessed Oct. 1. 2016). 

  14. Lee, C.W., H.J. Cho, M.J. Kang, M.K. Huh and I.C. Hwang. 2015. Study of the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Busan city, South Korea. J. Life Sci. 25(11):1244-1254 (in Korean). 

  15. Lee, H.C., E.K. Chekar and D.O. Lim. 2011a. The specific plant species and naturalized plants in the area of Naejangsan National Park,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5(3):267-283 (in Korean). 

  16.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b. Original article :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87-101 (in Korean). 

  17. Lim, D.O., H.S. Kim and M.S. Park. 2009.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Northern area of South Jeolla Province,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3(6):506-515 (in Korean). 

  18. Lim, Y.S., W.B. Seo, Y.M. Choi and J.H. Hyun. 2014. First record of naturalized species Trifolium resupinatum L. (Fabaceae)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7(4):333-336 (in Korean). 

  19. Lowe, S., M. Browne, S. Boudjelas and M. De Poorter. 2000. 100 of the world's worst invasive alien species: a selection from the global invasive species database. Invasive Species Specialist Group, Auckland, New Zealand. 

  20.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5. Nationwide survey of non-native species in Korea (1). Econature, Seoul, Korea. p. 342 (in Korean). 

  21.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6. Nationwide survey of non-native species in Korea (2). Econature, Seoul, Korea. p. 516 (in Korean). 

  22. Oh, C.H., L.K. Choi, E.H. Lee and D.O. Lim. 2010. Distribution pattern of the naturalized plants in the biotope types in the Jeonju area. Korean J. Environ. Ecol. 24(1):37-45 (in Korean). 

  23. Oh, H.K. and M.S. Beon. 2006.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ndex and situation naturalized plants in the stream of downtown Jeonju. Korean J. Environ. Bio. 24(3):248-257 (in Korean). 

  24. Oh, H.K., D.H. Kim, D.G. Kim and W. Nam. 2009a.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Gwangyang steel works. J. Korean Env. Res. Tec. 12(3):9-20 (in Korean). 

  25. Oh, H.K., D.O. Lim and Y.S. Kim. 2009b.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d management counterpla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 23(2):105-115 (in Korean). 

  26. Oh, H.K., Y. Kim and M.S. Beon. 2005. Vegetation and distribution situa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waterworks protection area, Jeongup stream. J. Korean Ins. Forest Rec. 9(2):47-55 (in Korean). 

  27. Park, J.W., H.S. Kim, S.G. Jang, S.J. Chun and K.S. Yuk. 2015. A study 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lan of alien species Spartina Alterniflora by using terrestrial LiDAR. J. Korean Island 27(3):161-177 (in Korean). 

  28. Park, M.S., D.O. Lim and H.S. Kim. 2011.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eastern area of Jeollanamdo, Korea. Korean J. Plant Res. 24(5):489-498 (in Korean). 

  29. Park, S. 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p. 575 (in Korean). 

  30. Pimentel, D. 2002. Biological invasions: Economic and environmental costs of alien plant, animal, and microbe species. CRC press, Boca Raton, USA. p. 548. 

  31. Rho, J.H. and J. Huh. 2004.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Jeonju-Cheon for the improvement of vernacular scenery. J. Korean Ins. Tradi. Lan. Arc. 22(3):26-32 (in Korean). 

  32. Ryu, T.B. 2013. Ecological classification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in South Korea. Department of Biology, MS Thesis., Univ. of Keimyung, Korea. p. 121 (in Korean). 

  33. Tropicos. 2016. Research for plants information. http://tropicos.org/ (accessed 10, Oct. 2016). 

  34. Yang, Y. H. 2003.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vegetation of naturalized plants on Jeju island. Department of Biology, Ph.D. Thesis, Univ. of Jeju, Korea. p. 108 (in Korean). 

  35. Yang, Y. H. 2007. Studies on the vegeta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Korean J. Weed Sci. 27:112-121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