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병 증상과 삶의 질 연관성 연구
The Association between Mibyeong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21 no.2, 2017년, pp.35 - 44  

박기현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이영섭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진희정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Mibyeong index of abnormal symptoms by the Mibyeong state. Methods : A total of 1,100 people were recruited into this study and were collected by specialized research company. The data were colle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이(2016)의 이상증상 기반 연구에서는 7개 미병증상을 하나의 값으로 산출한 미병점수를 활용하여 미병의 특성과 삶의 질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면8), 본 연구는 미병의 7가지 증상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 연관성 정도에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 또한 미병이 깊어지는 상태에 따라 다른 크기로 삶에 질에 영향력을 준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미병 증상유형과 삶의 질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각 미병상태에 따라 건강관련 삶의 질과 연관성이 깊은 증상들을 살펴보고, 개인의 미병상태에 따라 관리가 필요한 증상유형을 제시해주고자 한다.
  • 이(2016)의 이상증상 기반 연구에서는 7개 미병증상을 하나의 값으로 산출한 미병점수를 활용하여 미병의 특성과 삶의 질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면8), 본 연구는 미병의 7가지 증상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 연관성 정도에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 또한 미병이 깊어지는 상태에 따라 다른 크기로 삶에 질에 영향력을 준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미병 증상유형과 삶의 질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각 미병상태에 따라 건강관련 삶의 질과 연관성이 깊은 증상들을 살펴보고, 개인의 미병상태에 따라 관리가 필요한 증상유형을 제시해주고자 한다.
  • 그러나 단순히 미병상태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만 살펴본 결과로 개별증상과 삶의 질의 연관성 정도에 대한 분석결과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미병의 개별증상과 삶의 질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 미병은 피로, 통증, 수면장애, 소화불량, 분노, 우울, 불안 등으로 말할 수 있는데 이러한 증상 하나하나는 신체적 건강이나 정신적 건강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병의 7가지 증상유형들의 미병에 대한 영향력 정도를 살펴보고, 이들 증상 중에 건강관련 삶의 질과 더 깊은 연관성을 보이는 증상을 알아보았다.

가설 설정

  • 수면장애와 같은 미병증상은 사람들의 생활이나 건강뿐만 아니라, 삶의 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9), 피로와 우울 또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10). 이와 같이 미병 각 증상들은 건강관련 삶의 질과 연관성이 있으며, 연관성 정도는 증상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은 미병이 깊은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병이란 무엇인가 건강한 삶에 대한 현대 사회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질병 치료 중심에서 삶의 질 향상 및 사전 예방적 건강관리로 건강에 대한 관점이 변화하고 있으며, 한의학적 건강 개념으로 ‘미병(Mibyeong; 未病)’을 생각해볼 수 있다1). 미병은 질병은 아니지만 이상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겪거나 검사상 이상소견을 보이는 상태로, 건강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2),3). 
미병의 대표적인 이상증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미병의 대표적인 이상증상은 피로, 통증, 수면장애, 소화불량, 우울, 분노, 불안 등으로 알려져 있다5),6). 이상증상에 의한 미병은 환자의 주관적 호소 외에 정량화가 어렵고, 상태에 대한 자각이 어려워 질병관리상에 어려움이 있다.
미병 분류도구는 어떤 것을 통해 미병의 정도를 평가하는가 미병점수(Mibyeong Index; MBI)는 7개의 증상유형별 미병점수와 전체 미병점수로 계산되며, 증상유형별 미병점수 범위는 3-21점이며, 전체 미병점수는 7개 증상유형의 미병점수를 모두 합산한 값으로 21-147점으로 계산된다. 미병점수는 점수가 낮을수록 건강하고, 점수가 높을수록 심한 미병으로 평가한다. 미병상태는 미병점수의 4분위수 기준으로 대상자를 3개 그룹으로 나누었는데, 점수가 가장 낮은 첫 번째 사분위수(25%) 이하 집단을 건강군(Healthy)으로, 세 번째 사분위수(75%) 이하 집단을 미병1군(MI 1)으로, 그리고 가장 미병점수가 높은 세 번째 사분위수(75%) 이상 집단을 미병2군(MI 2)로 구분하였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im SJ, Bae KH, Lee EY, Lee SW. The study on Mibyeong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J Sasang Constitut Med. 2017;29(1):21-28 

  2. Urayama H, Togasaki M, Toyabe S, Ishihara K.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chi mibyo". Journal of the Jap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11;61(4),392-410. 

  3. Akiba T. The concept of "Mi-Byou" and Kampo therapy. Japanese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2003;54(1),56-7. 

  4. Lee SD, Kim MD. Study on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Preclinic Phase Theory (mibyung) in Oriental Medicine.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1997; 1(1):105-117. 

  5. Lee JC, Dong SO, Lee YS, Kim SH, Lee SW. Recognition of and interventions for Mibyeong(subhealth) in South Korea: a national webbased survey of Korean medicine practitioners.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2014;3(2):60-66. 

  6. 이상재, 이송실, 김도훈, 미병 연구의 경향에 관한 고찰.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0;23(5):23-34. 

  7. 이미숙, 도시거주 노인의 만성질환과 우울증세의 상관성 및 사회관계망의 효과에 대한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2010;27:5-30. 

  8. Lee YS, Baek YH, Park KH, Jin HJ, Lee SW.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health status of healthy but unsatisfied people : Mibyeong index.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6;20(3):45-53. 

  9. Baek YH, Yoo JH, Lee SW, Jin HJ. Domestic Trends of Research and Patent for Sleep Disorder. J. of Contents Association. 2013; 13(6);309-317 

  10. Chang, Hae Kyung.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 J Adult Nurs. 2012;24(4):339-347 

  11. Kim SJ, Bae KH, Lee EY, Lee SW. The study on Mibyeong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J Sasang Constitut Med. 2017;29(1):21-28 

  12. Ware Jr JE, Kosinski M, Keller SD. A 12-Item Short-Form Health Survey: construction of scales and preliminary test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Medical care. 1996;34(3): 220-233. 

  13. Ware JE, Kosinski M, Turner-Bowker D, Gandek B. How to score version 2 of the SF-12 health survey (with a supplement documenting version 1). 2002: Quality Metric Incorporated. 

  14. Joung SH, Hong YS, AR Soh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sessmen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 among Gyeonggi-do citizens: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15;32(3):33-42 

  15. Lee EY, Lee YS, Park KH, Yoo JY, Lee SW. A study on recognition of Mibyeong and its prevalence in Korean public:national survey.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5 ; 19(3) : 1-10 

  16. Burckhardt CS. The impact of arthritis on quality of life. Nurs Res. 1985;34(1):11-6. 

  17. Cha, Bo-Kyoun. A Path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Male Adul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6;27(4):399-409 

  18. Kim YY, Hyun HS, Yoo J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Level,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5;24(4):72-3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