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h2 skewed condition 조절을 통한 대장점막 내 염증개선효과에 대한 두시 하태독법과 오메가3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Douchi Hataedock versus Omega-3 on the Effect of Anti-inflammation in the Colonic Muscle through Th2 Skewed Condition Control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31 no.3, 2017년, pp.37 - 45  

안상현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김기봉 (부산대학교한방병원 한방소아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Hataedock is an orally-administered herbal extract that used to treat toxic heat and help excrete meconium accumulates in the fetus from pregnancy.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Hataedock using the extract of Douchi and omega-3 to control inflammation in the colonic mucosa. Methods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두시 하태독법과 오메가3 조기 투여를 통한 대장점막에서의 면역조절 능력을 비교하고,이를 통해 하태독법의 면역조절에 대한 의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하태독법의 Th2 분화 조절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대장점막 내 IL-4와 IL-13의 발현 억제를 확인하였다. FGT군과 O3T군 모두 IL-4와 IL-13 양성반응이 감소하였으며, FGT군이 O3T군보다 IL-4와IL-13 양성반응이 더 감소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하태독법의 항염증 효과를 위해 대장점막 내 CD40, FcɛRI, p-IκB의 발현 억제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하태독법이 장관 점막 조직에 영향을 주는지 알기 위해 대장점막 내 EGF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FGT군과 O3T군 모두 EGF 양성반응이 증가되었으며, FGT군이 O3T군보다 더 증가하였다 (Fig.
  • 이에 본 연구는 폐주피모 (肺主皮毛) 이론과 폐-대장의 표리관계를 이용하여 대장점막 내에서 하태독법의 Th2 skewed condition 조절을 통한 염증개선효과를 오메가3와 비교하고 하태독법의 면역조절 기전에 대한 근거를 찾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원인?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원인은 생활습관의 변화, 대기오염 등 다양하며, 특히 경제 수준이 높아지고 사회가 선진화될수록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은 높아진다1). 국내에서는 성인의 10%, 소아의 20% 정도가 알레르기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2).
대표적인 알레르기성 질환은? 국내에서는 성인의 10%, 소아의 20% 정도가 알레르기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2). 대표적인 알레르기성 질환으로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이 해당된다. 이처럼 다양한 알레르기 질환이 동시에 혹은 시차를 두고 나타나는 것을 알레르기 마치 (allergy march)라고 한다3).
모체 내에 지방질의 축적이 증가하게 되면 omega-6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가? 또한 임신 중에는 모체의 지방질 음식 섭취량이 증가하고, 인슐린 분비 증가와 같은 호르몬의 변화가 일어나면서 모체 내에 지방질의 축적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동물성 지방질의 비율을 높여 모체 내에 omega-6의 비율이 늘어나게 한다. 일반적으로 omega-6와 omega-3의 비율이 1~2:1이 이상적이라면, 임신 중에는 많게는 20~30:1로 매우 높은 비율을 가지게 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Yoo KH. Clinical year in review of asthma for pulmonary physicians: the epidemiologic hypothesi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sthma and infectious disease. Tuberc Respir Dis. 2008;65(1):1-6. 

  2.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Dermatology, 5th. Seoul: Ryo Moon Gak. 2008:170-1. 

  3. National Health Insurance. 2016. Available from: http://nhicblog.tistory.com/2360 

  4. Leung DY. Atopy dermatitis: new insight and opportunitie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J Allergy Clin Immunol. 2000;105(5):860-76. 

  5. Mosmann TR, Cherwinski H, Bond MW, Giedlin MA, Coffman RL. Two types of murine helper T cell clone: I. definition according to profiles of lymphokine activities and secreted proteins. J Immunol. 1986;136(7):2348-57. 

  6. Vandana S, Sarika A, Amita Y, Bhattacharjee J. Cytokines in recurrent pregnancy loss. Clin Chim Acta. 2011;412(9-10):702-8. 

  7. Son JH, Jeong JH, Yoo DY. Effects of Pal-Mul-Tang on cytokines production from immune cells during the late stage of pregnancy in BALB/c mice. J Orient Gynecol. 2000;13(1):342-75. 

  8. Kim YJ, Jeong DW, Lee JG, Lee HC, Lee SY, Kim YJ, Yi YH, Park YS, Cho YH, Bae MJ, Choi EJ. Omega-3 index and smoking in patients with acute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taking statins: a case-control study in Korea. Lipids Health Dis. 2012;11(1):43. 

  9. Simopoulos AP, Leaf A, Salem N. Essentiality of and recommended dietary intakes for omega-6 and omega-3 fatty acids. Ann Nutr Metab. 1999;43(2):127-30. 

  10. Simopoulos AP. The importance of the omega-6/omega-3 fatty acid ratio in cardiovascular disease and other chronic diseases. Exp Biol Med. 2008;233(6):674-88. 

  11. Bisgaard H, Stokholm J, Chawes BL, Vissing NH, Bjarnadottir E, Schoos AM, Wolsk HM, Pedersen TM, Vinding RK, Thorsteinsdottir S, Folsgaard NV, Fink NR, Thorsen J, Pedersen AG, Waage J, Rasmussen MA, Stark KD, Olsen SF, Bonnelykke K. Fish oil-derived fatty acids in pregnancy and wheeze and asthma in offspring. N Engl J Med. 2016;375(26):2530-9. 

  12. Michail S. The role of probiotics in allergic diseases. Allergy Asthma Clin Immunol. 2009;5(1):5. 

  13. Kamada N, Seo SU, Chen GY, Gabriel N. Role of the gut microbiota in immunity and inflammatory disease. Nat Rev Immunol. 2013;13(5):321-35. 

  14. Jung AR, Ahn SH, Cheon JH, Park IS, Kim JT, Jeong SI, Kim KB. Douchi (Glycine Semen Preparatum) alleviates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NC/Nga mice by regulation of PKC and Th2 cytokines.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6;16(1):416. 

  15. Aum SH, Ahn SH, Park SY, Cheon JH, Kim KB.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ataedock taken Douchi extracts on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 of NC/Nga mouse. J Pediatr Korean Med. 2016;30(2):1-9. 

  16. Ahn SH, Kim JK, Cheon JH, Kim KB. The effect of Douchi hataedock treatment for Dermatophagoides Farinae-induced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by controlling IL-4 activity. J Pediatr Korean Med. 2017;31(1):43-51. 

  17. Parris K. Th1/Th2 balance: the hypothesis, it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health and disease. Altern Med Rev. 2003;8(3):223-46. 

  18. Berni CR, Passariello A, Buccigrossi V, Terrin G, Guarino A. The nutritional modulation of the evolving intestine. J Clin Gastroenterol. 2008;42(Suppl3):197-200. 

  19. Lee YS, Park KH, Kim BH. The effects of black currant seed oil on cytokine excretion of spleen cells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atopic-like dermatitis model. J Korean Soc Cosmetol. 2016;22(3):586-92. 

  20. Chiu CY, Liao SL, Su KW, Tsai MH, Hua MC, Lai SH, Chen LC, Yao TC, Yeh KW, Huang JL. Exclusive or partial breastfeeding for 6 months is associated with reduced milk sensitization and risk of eczema in early childhood: the PATCH birth cohort study. Med. 2016;95(15):e3391. 

  21. Tang ML, Lahtinen SJ, Boyle RJ. Probiotics and prebiotics: clinical effects in allergic disease. Curr Opin Pediatr. 2010;22(5):626-34. 

  22. Romagnani S. Regulation of the development of type 2 T-helper cells in allergy. Curr Opin Immunol. 1994;6(6):838-46. 

  23. Kidd P. Th1/Th2 balance: the hypothesis, it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health and disease. Altern Med Rev. 2003;8(3):223-46. 

  24. Romagnani S. T-cell subsets (Th1 versus Th2). Ann Allergy Asthma Immunol. 2000;85(1):9-21. 

  25. Akdis M, Akdis CA. IgE class switching and cellular memory. Nat Immunol. 2012;13(4):312-4. 

  26. Metcalfe DD, Baram D, Mekori YA. Mast cells. Physiol Rev. 1997;77(4):1033-79. 

  27. Stone KD, Prussin C, Metcalfe DD. IgE, mast cells, basophils, and eosinophils. J Allergy Clin Immunol. 2010;125(2Suppl2):S73-80. 

  28. Lawrence T. The nuclear factor $NF-{\kappa}B$ pathway in inflammation. Cold Spring Harb Perspect Biol. 2009;1(6):a001651. 

  29. Viatour P, Merville MP, Bours V, Chariot A. Phosphory-lation of NF-kappaB and IkappaB proteins: implications in cancer and inflammation. Trends Biochem Sci. 2005;30(1):43-52. 

  30. Alcamo E, Mizgerd JP, Horwitz BH, Bronson R, Beg AA, Scott M, Doerschuk CM, Hynes RO, Baltimore D. Targeted mutation of TNF receptor I rescues the RelA-deficient mouse and reveals a critical role for NF-kappa B in leukocyte recruitment. J Immunol. 2001;167(3):1592-600. 

  31. Goto Y, Kiyono H. Epithelial barrier: an interface for the cross-communication between gut flora and immune system. Immunol Rev. 2012;245(1):147-63. 

  32. McGhee JR, Fujihashi K. Inside the mucosal immune system. PLoS Biol. 2012;10(9):e1001397. 

  33. Resta-Lenert S, Barrett KE. Live probiotics protect intestinal epithelial cells from the effects of infection with enteroinvasive Escherichia coli (EIEC). Gut. 2003;52(7):988-97. 

  34. Buret A, Gall DG, Olson ME, Hardin JA. The role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in microbial infection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Microbes Infect. 1999;1(13):1139-44. 

  35. Galan JE, Pace J, Hayman MJ. Involvement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in the invasion of cultured mammalian cells by S.typhimurium. Nat. 1992;357(6379):588-9. 

  36. Wright NA, Pike C, Elia G. Induction of a novel epidermal growth factor-secreting cell lineage by mucosal ulceration in human gastrointestinal stem cells. Nat. 1990;343(6253):82-5. 

  37. Lim DH, Cho YW, Kim WG, Jeong SH, Jang YP, Kim JJ. Original research: extract of Bambusae Caulis in Taeniam inhibits cigarette smoke-induced pulmonary and intestinal inflammation. Exp Biol Med. 2017;242(1):102-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