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성마비의 한약치료에 대한 임상연구 동향 -중의학 논문을 중심으로-
Review of Clinical Researches for Herbal Medicine Treatment on Cerebral Palsy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31 no.3, 2017년, pp.24 - 36  

이보람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신혜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이지홍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장규태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linical evidence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cerebral palsy by review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onducted in China. Methods We searched literatures dated up to 17 May, 2017 in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and evalu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른 만성질환에 비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한방 및 보완대체의료 선호도가 높은 현 시점에서 27) , 뇌성마비에 대하여 한약치료가 미치는 임상적 유효성및 안전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중국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CNKI를 검색하였으며, 근거수준이 높은 연구를 포함하기 위해 분석 대상 연구는 무작위 배정 비교임상시험연구로 한정하였고, 최종적으로 16 편의 문헌이 포함되었다.
  • 이에 저자들은 중국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뇌성마비의 한약치료에 대한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시험연구를 분석하여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고, 향후 뇌성마비의 한약치료에 대한 임상연구 계획수립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성마비란 무엇인가? 뇌성마비는 아동기에 가장 흔한 신체장애 중 하나로 발달 상태에 있는 미숙한 뇌에서의 비진행성 병변, 혹은 뇌의 손상으로 인하여 지속적이지만 가변적인 운동 및 자세의 이상을 보이는 임상증후군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세계적으로 1000명당 약 2.1명의 유병률을 보이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1,2) .
뇌성마비는 한의학적으로 무엇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는가? 뇌성마비는 한의학적으로 五軟, 五硬, 五遲에 해당 한다고 볼 수 있으며 5) , 국내 연구는 최근에 윤 등 6) , 이 등 7) 의 뇌성마비 환자에 한방치료를 시행한 증례보고가 발표되었지만, 높은 근거수준의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시험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鍼刺 치료에 대한 문헌 고찰 연구는 하 등 8) 과 유 등 9) 에 의하여 발표 되었지만, 한약치료에 관한 문헌 고찰은 찾아볼 수 없었다.
뇌성마비에 대하여 한약치료가 미치는 임상적 유효성 연구 결과, 유효율은 어떠하였으며, 향상된 결과를 보인 분야는 무엇이었는가? 포함된 모든 연구에서 단독으로 한약치료를 시행하 거나 기존치료에 한약치료를 병행한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총유효율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기 능과 자조성, 근육 경직이 유의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The Korean Child Neurology Society. Pediatric neurology. Koonja Publishing co. 2008:85-107. 

  2. Oskoui M, Coutinho F, Dykeman J, Jette N, Pringsheim T. An update on the prevalence of cerebral pals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ev Med Child Neurol. 2013;55(6):509-19. 

  3. Zhang YQ, Liu JP, Wang J, He QY.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 treatment of cerebral palsy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J Altern Complement Med. 2010;16(4):375-95. 

  4. Jeong MJ, Lim JH, Hwangbo M, Kim KB, Yun YJ.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Korean medicine & other parallel treatments for neurological disease children & adolescents treated with western medicine. J Pediatr Korean Med. 2012;26(2):72-84. 

  5. Jung JH, Lee JY, Kim DG. Dongeui pediatric clinical practice. Kyunghee university communication & press. 2012:233-5. 

  6. Yun YJ, Kim SC, Yu SA. Three cases of developmental delay due to cerebral palsy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J Pediatr Korean Med. 2017;31(1):82-91. 

  7. Lee MR, Kim SB, Woo JM, Kang AR, Cho KH, Moon SK, Jung WS. Case study of a patient with dystonia due to dystonic cerebral palsy treated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J Int Korean Med. 2016;37(2):257-64. 

  8. Ha SY, Min SY, Kim JH. A literature study on acupuncture for cerebral palsy -based on the current traditional Chinese medical journals-. J Korean Orient Pediatr. 2009;23(1):205-28. 

  9. Yu SA, Cho SW, Lee SY. A literature study on acupuncture for spastic cerebral palsy. J Pediatr Korean Med. 2015;29(4):108-18. 

  10. Higgins JPT, Altman DG, Sterne JAC. Chapter 8: assessing risk of bias in included studies. In: Higgins JPT, Green 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updated March 2011].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 Available from: http://handbook.cochrane.org/ 

  11. Xiu HM. The clinical research on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f Pi Xu type treatment with the Jian Pi Yi Qi fa theor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Master's degree of thesis of Guangzhou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university. 2007. 

  12. Qian XG, Fu WJ, Zhao Y, Li YX, Ma MM, Li SP, Liu ZH. The role of Sijunzi decoction in treating cerebral palsy patients with replenish Qi and fortify the spleen. J North China Coal Med Univ. 2009;11(3):310-1. (translated into English by the author) 

  13. Song ZP, Song YP, Song YH, Du SG, Feng LM, Ma ST, Zhao ZG, Wu L. Clinical study of Scorpion, Tortoise shells and othe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lus physical therapy, functional training in treatment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6th Beijing International Forum on Rehabilitation. 2011:175-9. (translated into English by the author) 

  14. Wang YP, Wu JJ, Li ZJ, Wang Q. Clinical observation on treatment of spastic pediatric cerebral palsy with Shujinjiannao granule. Inf Tradit Chin Med. 2011;28(3):89-90. (translated into English by the author) 

  15. Wang ZL, Wei YX, Wu SC. Treatment of 36 cases of pediatric cerebral palsy with Naotan pills combined with acupuncture and moxibustion. J Gansu Coll Tradit Chin Med. 2011;28(1):59-60. (translated into English by the author) 

  16. Lu CL, Zhou SL, Guo G. Clinical effect of Shenluqizhi decoction on patients with spastic cerebral palsy. Hubei J Tradit Chin Med. 2012;34(1):21-3. 

  17. Lu S, Pi LH, Yan JL. Clinical observation on treatment of cerebral palsy in children by acupoint massage combined with children's Xingnao oral liquid. J Sichuan Tradit Chin Med. 2012;30(10):133-5. (translated into English by the author) 

  18. Wang GH, Jiang S, Lin Y. Efficacy of acupuncture and massage combined with Rongshuan capsule treating cerebral palsy. Chin Archives Tradit Chin Med. 2013;31(5):1191-2. 

  19. Wang Q, Zhou D. Clinical observation on 40 cases of low muscle tension cerebral palsy treated with Jinkuishenqi decoction. The 31 Academic Conference of Chinese Medicine Association of Pediatrics. 2014. (translated into English by the author) 

  20. Han L, Shang Q. Clinical research of Yunpi prescription in treating cerebral palsy combined with malnutrition. China J Chin Med. 2015;30(11):1653-5. 

  21. Shi JG, Xie Q. Integrated medicine therapy in treating 70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f convulsion pattern. Western J Tradit Chin Med. 2015;28(8):104-6. 

  22. Cheng W, Zhang ZM, Feng KJ, Cai ZX, Li AW, Lu Y. Effect observation of child cerebral palsy gross movement disorders treated with high dose of Astragalus Mongholicus. Lishizhen Med Mater Med Res. 2016;27(9):2192-4. 

  23. Du XB, Zheng GZ, Feng B, Ma BX. Clinical research of modified Suanzaoren granule in treating sleep disorders of cerebral palsy. Guangming J Chin Med. 2016;31(11):1576-7. 

  24. Yu ML. The influence of clinical effects and walking function on 40 cases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treated by the combination of Chinese herbs and rehabilitation training. J Pediatr Tradit Chin Med. 2016;12(5):78-81. 

  25. Dan HJ, Zhang YY, Zhang P, Cao CH, Lou YJ, Hou YJ. Observation on the therapeutic effect of nourishing kidney and inducing resuscitation for expelling phlegm prescription in the treatment of cerebral palsy with mental retardation. Chin Med Mod Distance Educ China. 2017;15(1):78-80. 

  26. Wang CN. Clinical observation and mechanism study on effect of Sijunzi decoction on intestinal microecological regulation in children with strong liver and weak spleen type. Liaoning J Tradit Chin Med. 2017;44(3):537-40. (translated into English by the author) 

  27. Kim YR, Gu HG, Yun YJ. Review of the use of Korean medicine 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mo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oc Prev Korean Med. 2015;19(2):13-22. 

  28. Surveillance of Cerebral Palsy in Europe. Surveillance of cerebral palsy in Europe: a collaboration of cerebral palsy surveys and registers. Dev Med Child Neurol. 2000;42(12):816-24. 

  29. Noritz GH, Murphy NA, Neuromotor Screening Expert Panel. Motor delays: early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Pediatr. 2013;131(6):e2016-27. 

  30.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Korean herbology. Korean herbology. Seoul: Younglimsa Publishing co. 2008. 

  31. Kim CG. Bonchojongsin. Haenglim Publishing co. 1989. 

  32. Son CH, Yun YJ, Yu SA. The experts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on the Korean medicine treat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J Pediatr Korean Med. 2016;30(4):66-76. 

  33. Ma BX, Lei S, Zhang JK, Li HW, Zheng H. Questionnaire results analysis on TCM syndrome classification of cerebral palsy. China J Tradit Chin Med Pharm. 2013;28(12):3545-7. 

  34. Ahn HS, Shin HY. Hong Chang Eui Pediatrics. 11th ed. 2nd Vol. Seoul: Miraen Publishing co. 2016:1001-4. 

  35.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36. Novak I, Mcintyre S, Morgan C, Campbell L, Dark L, Morton N, Stumbles E, Wilson SA, Goldsmith S. A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tate of the evidence. Dev Med Child Neurol. 2013;55(10):885-9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