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별 정답배열 임의성 검정
Test of randomness for answers arrangement in 2017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30 no.4, 2017년, pp.503 - 512  

안소진 (부경대학교 통계학과) ,  이재은 (부경대학교 통계학과) ,  장대흥 (부경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선다형 문제의 경우 특정 위치의 답을 선호하는 수험생의 응답경향이 시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답배열을 특정위치에 편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포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정답배열이 특정 번호에 편중되어 있으면 정답을 모를 때 중앙 또는 외곽 번호에 응답경향이 있는 수험생이 추측으로 문항의 답을 맞힐 수 있으므로 시험점수가 학생의 능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역별 정답배열에 대하여 Bartels rank test, Wald-Wolfowitz runs test, turning point test, Cox Stuart trend test, difference sign test, Mann-Kendall rank test 등을 실시하여 정답배열이 고르게 분포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정답 번호와 배점 사이에 독립성이 지켜지지 않을 경우에도 특정 번호를 정답으로 선호하는 경향을 가진 수험생의 점수는 학생의 능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의 위치와 배점 사이의 독립성 검정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est with multiple choices, it is necessary to have the position of correct answers of each question spreaded evenly over all the questions in order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answering tendency of test takers with preference to specific position of multiple choices. The scores of tests with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각 영역벼 정답 배열에 대한 임의성 검정 및 정답과 배점에 대한 독립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임의성 검정 결과 다른 영역에 비해 ‘국어영역의 짝수형’ 영역에서 임의성이 강하게 지켜지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다형 문제에서 필요한 것은? 선다형 문제의 경우 특정 위치의 답을 선호하는 수험생의 응답경향이 시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답배열을 특정위치에 편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포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정답배열이 특정 번호에 편중되어 있으면 정답을 모를 때 중앙 또는 외곽 번호에 응답경향이 있는 수험생이 추측으로 문항의 답을 맞힐 수 있으므로 시험점수가 학생의 능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선다형 문제의 경우 특정 위치의 답을 선호하는 수험생의 응답경향이 시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답 배열을 특정 위치에 편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포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선다형 문제의 경우 특정 위치의 답을 선호하는 수험생의 응답경향이 시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답배열을 특정위치에 편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포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정답배열이 특정 번호에 편중되어 있으면 정답을 모를 때 중앙 또는 외곽 번호에 응답경향이 있는 수험생이 추측으로 문항의 답을 맞힐 수 있으므로 시험점수가 학생의 능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역별 정답배열에 대하여 Bartels rank test, Wald-Wolfowitz runs test, turning point test, Cox Stuart trend test, difference sign test, Mann-Kendall rank test 등을 실시하여 정답배열이 고르게 분포되었는지 확인하였다.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역별 정답배열에 대하여 무엇을 실시하여 정답배열이 고르게 분포되었는지 확인했는가? 이는 정답배열이 특정 번호에 편중되어 있으면 정답을 모를 때 중앙 또는 외곽 번호에 응답경향이 있는 수험생이 추측으로 문항의 답을 맞힐 수 있으므로 시험점수가 학생의 능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역별 정답배열에 대하여 Bartels rank test, Wald-Wolfowitz runs test, turning point test, Cox Stuart trend test, difference sign test, Mann-Kendall rank test 등을 실시하여 정답배열이 고르게 분포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정답 번호와 배점 사이에 독립성이 지켜지지 않을 경우에도 특정 번호를 정답으로 선호하는 경향을 가진 수험생의 점수는 학생의 능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의 위치와 배점 사이의 독립성 검정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ttali, Y. and Bar-Hillel M. (2003). Guess where: The position of correct answers in multiple-choice test items as a psychometric variable,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40, 109-128. 

  2. Bar-Hillel, M. and Attali, Y. (2002). Seek whence: answer sequences and their consequences in key-balanced multiple-choice tests, The American Statistician, 56, 299-303. 

  3. Bartels, R. (1982). The rank version of von Neumann's ratio test for randomnes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77, 40-46. 

  4. Brockwell, P. J. and Davis, R. A. (2002). Introduction to Time Series and Forecasting (2nd ed.), Springer, New York. 

  5. Burton, S. J. (1991). How to prepare better multiple-choice test items: Guidelines for university faculty, Brigham Young University Testing Services and The Department of Instructional Science. 

  6. Cox, D. R. and Stuart, A. (1955). Some quick sign test for trend in location and dispersion, Biometrika, 42, 80-95. 

  7. Han, Y. S. and Kim, M. S. (2014). A study on the item characteristics differences of response position, response length, and question types of multiple-choice aptitude tes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Cooperation Society, 15, 3609-3615. 

  8. Kendall, M. (1990). Rank Correlation Methods (5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9. Kim, Y. M. (2016). Examinees are just completely blown because of '4444544'... correct answer relay during Korean language area test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JoongAng Daily, from: http://news.joins.com/article/20889947. 

  10. Mann, H. B. (1945). Nonparametric test against trend, Econometrica, 13, 245-259. 

  11. Moore, G. H. and Wallis, W. A. (1943). Time series tests based on sign of difference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38, 153-154. 

  12. Sang, K. A. and Yang, K. S. (2007). The effect of response position in a multiple-choice examina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8, 25-46. 

  13. Wald, A. and Wolfowitz, J. (1940). on a test whether two samples are from the same population, The Annals of Mathematical Statistics, 11, 147-1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