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학생들의 학습유형에 따른 일반화 및 정당화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Generalization and Justifica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6th Graders by Learning Styles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7 no.3, 2017년, pp.391 - 410  

유미경 (서울양진초등학교) ,  장혜원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습유형이 상이한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학생들의 일반화 및 정당화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유형에 따른 개별화 지도방안에 대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학생 3명의 학습유형을 판별하고 주어진 수학적 과제를 해결하는 수행과정을 추적 관찰하였다. 학생들에게는 지필환경과 함께 지오지브라를 활용한 동적기하환경이 제공되었으며, 학생들이 작성한 활동지, 지오지브라의 활동이 기록된 학생의 산물, 두 연구자가 관찰하며 작성한 현장관찰일지, 과제 탐구 후 개별면담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학생들의 일반화 특성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그에 비해 정당화 수준은 동일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학습유형에 따라 학습 환경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영재학생들의 학습유형에 따른 개별화 지도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characteristics of generalization and justification for a given mathematical task and induce didactical implications for individual teaching methods by students' learning styles. To do this, we identified the learning styles of three mathe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는 조건은 찾지 못하였다. S1은 먼저 지오지브라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여러 번의 시행착오 끝에 지필환경에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는 지오지브라를 활용하여 단순히 기하적 접근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음을 인지한 것으로 해석된다.
  • 이에 본 연구는 학습유형이 상이한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학생들의 일반화 및 정당화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유형에 따른 개별화 지도방안에 대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학생 3명의 학습유형을 판별하고, 그들에게 일반화가 가능한 원 분할 문제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탐구 과정에서 학습유형에 따른 일반화 및 정당화 과정을 추적 관찰하였다.
  • 또한 구체적인 사례 연구인 경우에도 주로 학습지 중심의 지필환경만 활용한 분석이 이루어져 학생들의 과제수행과정의 다양성을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초등학교 6학년 영재학생들의 학습유형에 따른 수학적 과제의 탐구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반화 및 정당화의 특징을 다양성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고자 한다.
  • 특히 송상헌 외(2007)는 일반화가 이루어진 후 구체적인 경우에 대해 검증하는 특성이 일반화 능력 수준이 비슷한 6학년 수학영재학생에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수준이 아닌 다른 관점에서 고찰되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학생들의 수학적 과제에서의 일반화 및 정당화의 특징을 일반화 및 정당화 수준이 아닌 학습유형에 따라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유형이라는 용어는 어디서 왔는가? 학습유형이라는 용어는 심리학에서 인지유형이란 용어로 사용하다 1970년대에 들어와 일반화되기 시작하였다(Riding & Cheema, 1991; 백희수, 2009, 재인용). 인지유형으로 쓰일 때에는 개인에게 초점이 맞추어졌으나, 교수학습의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면서부터 학습유형이라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백희수, 2009).
학습자는 학습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교수방법을 선호하는 것에 따른 교사의 역할은? Kolb의 학습유형과 관련된 선행연구(이신동, 2005; Kosower & Berman, 1996; Svinicki & Dixon, 1987)에 따르면, 학습자는 학습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교수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학습유형을 고려한 개별화 교육에서 교사는 학습자의 학습유형에 따른 개별 발문 및 개별피드백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다.
학습유형 중 확산형의 방식은? 첫째, 확산형은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 경험을 수용하며 반성적으로 관찰하여 경험을 처리한다. 이 학습자는 사람들의 다양한 관점을 구체적 상황을 통해 조망하는 능력이 우수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강완, 김상미, 박만구, 백석윤, 오영열, 장혜원 (2014). 초등수학교육론. 서울: 경문사 

  2. 김은정 (1999). 학습양식의 유형 및 구성요소와 교육과정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진균 (2014). 미시적 분석 도구를 활용한 테크놀로지 환경에서의 수학적 사고 과정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학위논문. 

  4. 남승인 (2000). 초등학교 저학년 영재지도방안. 수학교육학, 5, pp. 21-37. 

  5. 백희수 (2009). 수학학습양식 구성요인 탐색과 수학학습자 유형 분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송상헌 (1998). 수학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송상헌 (2000). 수학 영재아들을 위한 행동특성 검사지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2(2), 427-457 

  8. 송상헌, 허지연, 임재훈 (2006). 도형의 최대 분할 과제에서 초등학교 수학 영재들이 보여주는 정당화의 유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6(1), 79-94. 

  9. 송상헌, 장혜원, 정영옥 (2006).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들의 기하 과제 증명 능력에 관한 사례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6(4), 327-344. 

  10. 송상헌, 임재훈, 정영옥, 권석일, 김지원 (2007). 초등수학영재들이 페그퍼즐 과제에서 보여주는 대수적 일반화 과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7(2), 163-177. 

  11. 신국환 (2007). 초등학교 수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학습 양식 비교 분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유미경 (2016). 동적기하환경에서 초등학교 3학년 영재학생들의 학습유형에 따른 수학적 과제 접근방식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신동 (2005). Kolb 학습유형에 따른 교수방법 선호도 비교. 아시아교육연구, 6(4), 125-144. 

  14. 이신동, 원재권, 김기명 (2007). 초등학교 수학영재, 과학영재, 일반 학생의 학습유형 및 교수방법 선호도 비교. 영재와 영재교육, 6(2), 107-128. 

  15. 임세영, 이병철, 최현숙, 안미선, 이웅일 (2012). 실천공학 교수법 : Kolb학습유형검사의 한글버전 개발.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4(1), 30-44 

  16. 장혜원 (2008). 수학사의 한 넓이 문제에 대한 초등 수학 우수아의 풀이 다양성 탐색. 한국수학사학회지, 21(4), 153-168 

  17. 주현정 (2014). 초등학생의 학습 스타일에 따른 비구조화된 수학문제에서의 문제해결전략 및 정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최병훈, 방정숙 (2011).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패턴 인식과 사고 과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1(1), 67-86. 

  19. 최병훈, 방정숙 (2012). 초등학교 4,5,6학년 영재학급 학생의 패턴 일반화를 위한 해결 전략 비교. 수학교육학연구, 22(4), 619-636. 

  20. Balacheff, N. (1988). Aspects of proof in pupils' practice of school mathematics. In Pimm, D.(ed.), Mathematics, Teachers and Children, 216-235, Hodder & Stoughton: London. 

  21. Bishop, J. (2000). Linear geometric number patterns: Middle school students' strategies.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12(2), 107-126. 

  22. Bostrom, L. & Lassen, L. M. (2006). Unraveling Learning, Learning Styles, Learning Strategies and Meta-cognition. Education Training, 48(2/3), 178-189. 

  23. Dunn, R. (1984). Learning Style: State of the Science. Theory into Practice, 23(1), 10-19. 

  24. Felder, R. M. (1996). Matters of Style. ASEE Prism, 6(4), 18-23. 

  25. Kolb, A. Y. & Kolb, D. A. (2005). Kolb learning style inventory-version 3.1 2005 Technical Specifications. Boston, Mass.: Hay Resources Direct. 

  26. Kolb, D. A. (1984).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NJ: Prentice Hall. 

  27. Kolb, D. A. (2007). Kolb Learning Style Inventory: LSI Workbook, Version 3.1. Experience Based Learning Systems. Boston: Inc., Hay Group. 

  28. Kosower, E., & Berman, N. (1996). Comparison of pediatric resident and faculty learning styles: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the Medical Sciences, 312(5), 214-218. 

  29.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childre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 Lannin, J. K. (2005). Generalization and justification: The challenge of introducing algebraic reasoning through patterning activitie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7(3), 231-258.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31. Lee, K. H. (2005).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geometrical reasoning and informal proof. Proceeding of the '29th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Group of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3, 241-248 

  32. Renzulli, J. (2015). A Comprehensi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roductive giftednes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ifted Education in Science 2015, 서울: 미래창조과학부. 

  33. Sheffield, L. J. (1994). The development of Gifted and Talented Mathematics Students and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Standards. DIANE. 

  34. Simon, M. A. & Blume, G. W. (1996). Justification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A study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15(1), 3-31. 

  35. Svinicki, M. D. & Dixon, N. M. (1987). The Kolb model modified for classroom activities. College Teaching, 35(4), 141-14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