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성 제조업 근로자의 근무형태에 따른 건강 체력 평가기준 설정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evaluation of health related fitness according to the working styles of male manufacturing work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8, 2017년, pp.190 - 199  

가성순 (공주대학교 체육교육학과) ,  이규승 (대전광역시 동구보건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 제조업 근로자의 근무형태에 따른 건강 체력 평가기준을 제시하는데 있다. 피험자는 K 기관에서 실시한 건강 체력검사를 받은 40, 50대 남성 제조업 근로자 15,329명이다. 건강 체력 요인은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신체조성이다. 각각의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최대산소섭취량, 악력, 윗몸일으키기,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체지방률을 측정했다. 자료는 SPSS versio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원분산분석, T-검정, 일원 분산분석(Scheffe), 백분위 수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조업 근로자의 건강 체력은 근무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최대산소 섭취량 : F=88.67 (p<.001), 악력 : F=20.09(p<.001), 윗몸일으키기 : F=42.06(p<.001),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 F=69.44(p<.001), 체지방률 : F=136.75(p<.001)) 건강 체력 항목의 백분위수를 토대로 평가 기준을 설정하였다. 둘째, 최대산소섭취량, 악력,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는 현장직 근로자의 평균값이 사무직 근로자의 평균값보다 모든 연령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윗몸일으키기와 체지방률은 사무직 근로자의 평균값이 현장직 근로자의 평균값보다 모든 연령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이러한 평가 기준은 국민체력실태조사 기준치와 비교했을 때 많은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근로자의 건강 체력 평가 시에는 근로자의 근무 형태에 따라 평가 기준을 다르게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standard of health-related fitness evaluation according to the working styles of male manufacturing workers. The subjects were 15,329 male manufacturing workers aged from 40 to 59 years old who had taken a health-related fitness test by K Institution. He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근무형태에 따른 건강 체력 평가 기준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조업 근로자의 근무형태(사무직, 현장직)에 따른 건강 체력 백분위 규준을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작업 특성과 연령을 고려한 건강 체력 백분위 규준을 설정하고 국민체력 실태조사평가 기준치와 비교해 보았다. 기존의 선행 연구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고 연령 구간이 대부분 10세 단위였다.

가설 설정

  • 그 결과 다른 체력 항목은 현장직 보다 낮았지만 윗몸일으키기 항목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사무직의 근무 자세가 유리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즉, 골반의 전방 경사가 현장직 보다 더 확대되어 있고 고관절 굴곡근과 요추 직립근의 긴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활동은 어떠한 상태인가? 사무직 근로자는 지식 기반 정보화 사회로 급변하면서 좌업 근무 자세가 많아졌으며 신체활동이 부족한 상태다. 현장직 근로자는 생산현장의 인간공학적인 설계 및 자동화 라인의 구축으로 힘든 육체노동시간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장직 근로자의 육체노동시간은 어떠한 추세인가? 사무직 근로자는 지식 기반 정보화 사회로 급변하면서 좌업 근무 자세가 많아졌으며 신체활동이 부족한 상태다. 현장직 근로자는 생산현장의 인간공학적인 설계 및 자동화 라인의 구축으로 힘든 육체노동시간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젊은 층의 생산현장 근무 기피 현상으로 현장직 근로자의 고령화와 근속연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젊은 층의 생산현장 근무 기피 현상으로 현장직 근로자의 고령화와 근속연수 증가로 인해 어떤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가? 그러나 젊은 층의 생산현장 근무 기피 현상으로 현장직 근로자의 고령화와 근속연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업장 근로자의 업무 수행 저하[1,2] 및 작업 관련 업무상 질병 발생이 높아지고 있다[3,4]. 고용노동부의 2015년 산업재해 현황 분석에 의하면[5] 전체 산업재해자 수는 90,129명이며 사고재해자는 82,210명, 질병 재해자 7,919명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mmendolia C, Cote P, Cancelliere C, Cassidy JD, Hartvigsen J, Boyle E, Soklaridis S, Stern P, Amick B, "Healthy and productive workers: using intervention mapping to design a workplace health promotion and wellness program to improve presenteeism", Journal of BMC Public Health, vol. 16(1190), pp. 1-18, 2016. DOI: https://doi.org/10.1186/s12889-016-3843-x 

  2. Verstappen SM. "Rheumatoid arthritis and work: The impact of rheumatoid arthritis on absenteeism and presenteeism", Journal of Best Practise & Research Clinical rheumatology, vol. 29, no. 3, pp. 495-511, 2016. 

  3. S. S. Ka, J. S. Kim, M. Y. Lee, S. H. Kim, H. C. Jung, M. K. Lee, G. Y. Lee, "The Link betwee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Level and Cardiovascular Disease-related Risk Factor",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3. No 2, pp. 97-105, 2014. DOI: https://doi.org/10.5807/kjohn.2014.23.2.97 

  4. S. W. Eo, "A study on the protective effects by sector in Korea industrial accident analysis and disaster feature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2016. 

  5. H. S. Lee, 2015 An analysis of industrial disaster state, pp 1-755,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6 

  6. Y. I. Kim, H. S. Jung, S. Y. Kim, J. U. Lee, "Analysis of Worksit Health Promotion Program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worksite health promo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13. No 2, pp. 140-147, 2004. 

  7. Fall, H. B. "Modern concept of physical fitness",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Recreation, vol. 51, no. 4, pp. 25-27, 1980. 

  8. Marcus BH, Dubbert PM, Forsyth LH, McKenzie TL, Stone EJ, Dunn AL, Blair SN, "Physical Activity Behavior Change: Issues in Adoption and Maintenance",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9, no. 1, pp. 32-41. 2000. DOI: https://doi.org/10.1037/0278-6133.19.Suppl1.32 

  9. Blair SN, Kohl HW 3rd, Paffenbarger RS Jr, Clark DG, Cooper KH, Gibbons LW, "physical fitness and all-cause mortality : A prospective study of healthy and wome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262, no. 17, pp. 2395-2401, 1989. DOI: https://doi.org/10.1001/jama.262.17.2395 

  10. Liemohn W, Snodgrass L. B, Sharpe G. L, "Unresolved controversies in back management-A review", Journal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 9, no. 7, pp. 239-260, 1988. DOI: https://doi.org/10.2519/jospt.1988.9.7.239 

  11. Rankinen T, Church TS, Rice T, Bouchard C, Blair SN, "Cardiorespiratory fitness, BMI, and risk of hypertension: The HYPGENE study", Journal of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 39, no. 10, pp. 1687-1692, 2007. 

  12. S. J. Kang, "National physical fitness survey: problem and its future challenge", Healh & sports medicine, vol. 9, no. 1, pp. 121-132, 2007. 

  13. S. H. Ryu, H. S. no. "Measurement on the physical fitness of daily living and development of index for the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0, no. 3, pp. 565-574, 1995. 

  14. D. S. Jung, N. J. Kim. "Assessment Criterion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for High School Gir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hysical fit",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12, no. 2, pp. 707-716, 2003. 

  15. J. W. Park. "Study on the Evaluation Criterion of Health-Telated Fitness for the National University Student of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vol. 10, no. 2, pp. 119-129, 2004. 

  16. E. S. An, "The Study of Physical Strength Evaluation Standard for Infant",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2005. 

  17. H. J. Na, "Establishing Cut-off Pointof Physical Fitness by Ageing Early Childhood", Doctoral Dissert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2009. 

  18. K. T. Jeon, "Development of Assessment Standards for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n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Seoul, 2011. 

  19. D. M. Kim, "Development of Norm Criterion Standards for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ssessment for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Ph d. Dissertation,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Seoul, 2010. 

  20. D. W. Yuk, S. H. Seo, J. W. Kim, "Establishment of the Criterion - Referenced Standards for Military Physical Fitness Test",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0, no. 2, pp. 875-884, 2001. 

  21. K. H. Kim, J. W. PARK, J. H. CHEOI, Y. S. Kang, H. M. PARK, Y. M. Kim, J. S. Kim.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on on physical fitness for healthy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34, no. 3, pp. 373-390, 1995. 

  22. D. H. Choe, J. R. Yun, k. S. Cha,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Norm-Standard for Physical Fitness and Lipoproteini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vol. 10, no. 3, pp. 2-16, 1999. 

  23. C.H. Lee,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criteria for physical fitness and obesity factors in korean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2, no. 3, pp. 629-637, 2003. 

  24. ACSM.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6th ed. Philadelphia. 2000. 

  25. Siconolfi SF, Cullinane EM, Carleton RA, Thompson PD, "Assessing VO2max in epidemiologic studies: modification of the Astrand-Ryhming Test", Journal of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 14, no. 5, pp. 335-338, 1982. 

  26. C. W. Lee, "An analysis of physical fitness of office workers", Master's thesis, Mokwon University, Daejeon, 2001. 

  27. K.S. KU, U. H. PARK, "The Comparison on physical fitness level among job types of workers", vol. 6, no. 1, pp. 51-62, 2001. 

  28.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5 National physical fitness survey, pp. 1-281, Korea Sports Promotion Foundation, 2015. 

  29. Fox, E, L., Mathew, D.K., The Physiological basis of physical education and athletics 3rd, Saunders College Publishing, 1981. 

  30. S. J. Kang. "The Difficulty of Upper body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tests", Health & sports medicine, Vol 35, No 4, pp. 390-399. 1996. 

  31. Einkauf DK, Gohdes ML, Jensen GM, Jewell MJ, "Changes in spinal mobility with increasing age in women", Physical therapy, vol. 67, no. 3, pp. 370-375, 1987. DOI: https://doi.org/10.1093/ptj/67.3.370 

  32. T. W. Kim,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s on health-related fitness and blood constituents in the elderly women over 65", Doctorial Dissertation, Pusan University, Pusan,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