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현장의 독립적 통신망 확보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제시스템
Smart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Ensuring Indenpendent Network in Disaster Site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8 no.5, 2017년, pp.905 - 910  

이양선 (목원대학교 융합컴퓨터미디어학부)

초록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통신망의 전체 구조가 아닌 재난현장에서 소방대원과 현장 지휘통제실간의 정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난현장 지역 내의 독립적 네트워크 인프라(무선통신, 영상전송 및 현장상황파악 등) 확보를 위한 현장형 스마트 통합관제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재난환경 스마트 통합 관제시스템은 재난현장에서 현장대원간의 무선통신을 지원하고, 재난현장 영상정보 수집을 위한 드론과의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현장 관제시스템에서 재난상황에 대한 전체 주변 영상확보 및 현장대원의 효율적 지휘가 가능하게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were proposed an on-site smart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securing an independent network infrastructure (wireless communication, image transmission and site situation detection) in disaster area. The proposed system was designed not only for the entire structure of the dis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난현장에서 기존 통신 인프라가 붕괴 또는 장애발생으로 해당기능을 상실하였을 때, 현장 지휘통제소와 현장대원간, 현장대원과 현장대원간의 끊김없는 통신체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재난현장에서 독립적으로 통신망을 운용할 수 있는 이동형 통신 인프라를 설계하고 실외 광역 영상 정보 취득을 위한 특수장비 드론 제어와 재난현장 정보통합을 통한 스마트 재난정보 시각화 시스템을 설계한다.
  • 재난현장에 설치되는 이동형 지휘통제실에서는 재난현장 주변영상 확보를 통해 보다 신속히 상황을 인식하고 현장대원의 안전 확보 및 효율적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난현장의 광역 영상정보 확보를 위해 드론 특수장비를 설계 운용함으로써 재난현장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지원하고자 한다. 제안한 드론 특수장비 운용에 대한 기본 개념은 그림 9와 같다.
  • 본 논문에서는 재난현장에서 기존 통신 인프라가 붕괴 또는 장애발생으로 해당기능을 상실하였을 때, 현장 지휘통제소와 현장대원간, 현장대원과 현장대원간의 끊김없는 통신체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재난현장에서 독립적으로 통신망을 운용할 수 있는 이동형 통신 인프라를 설계하고 실외 광역 영상정보 취득을 위한 특수장비 드론 제어와 재난현장 정보통합을 통한 스마트 재난정보 통합관제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재난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은 다수의 드론과 다수의 현장 요원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영상과 함께 정보 시각화 시스템을 통해 종합적으로 감시하고 상황을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감시 정찰 기능의 확장 개념으로 활용 될 수 있으며, 현장중심과 수요자 중심의 ICT 신기술 기반 통합 재난안전관리 정보 시스템의 연계체계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제안 시스템의 주요 목표는 재난안전통신망의 전체 구조가 아닌 그림 2와 같이 재난현장에서 소방대원과 현장 지휘통제실 간의 정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난현장 지역 내 네트워크 인프라(무선통신, 영상전송 및 현장상황파악 등)를 구축하는 것이다. 재난현장에서는 3~10명으로 구성되어 ‘동일임무’를 수행하는 최소단위조직인 팀으로 인력이 운용 되는데, 구성원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임무수행을 위해서는 공간 지각능력 확보 및 광역의 밀폐/고립된 재난현장에 대한 상황파악을 빠르게 수행 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3],[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장형 스마트 통합관제시스템의 역할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통신망의 전체 구조가 아닌 재난현장에서 소방대원과 현장 지휘통제실간의 정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난현장 지역 내의 독립적 네트워크 인프라(무선통신, 영상전송 및 현장상황파악 등) 확보를 위한 현장형 스마트 통합관제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재난환경 스마트 통합 관제시스템은 재난현장에서 현장대원간의 무선통신을 지원하고, 재난현장 영상정보 수집을 위한 드론과의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현장 관제시스템에서 재난상황에 대한 전체 주변 영상확보 및 현장대원의 효율적 지휘가 가능하게 된다.
재난현장 스마트 통합 관제 시스템은 무엇인가? 재난현장에서는 3~10명으로 구성되어 ‘동일임무’를 수행하는 최소단위조직인 팀으로 인력이 운용 되는데, 구성원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임무수행을 위해서는 공간 지각능력 확보 및 광역의 밀폐/고립된 재난현장에 대한 상황파악을 빠르게 수행 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3],[4]. 본 논문에서 제안한 재난현장 스마트 통합 관제 시스템은 재난현장에서 기존 통신 인프라가 붕괴 또는 장애발생으로 해당기능을 상실하였을 때, 현장 지휘통제소와 현장대원간, 현장대원과 현장대원간의 끊김없는 통신체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재난현장에서 독립적으로 통신망을 운용할 수 있는 이동형 통신 인프라와 실외 광역 영상정보 취득을 위한 특수장비 드론 제어와 재난현장 정보통합을 통한 스마트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설계하였다.
재난현장 지역 내의 독립적 네트워크 인프라(무선통신, 영상전송 및 현장상황파악 등) 확보를 위한 시스템은?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통신망의 전체 구조가 아닌 재난현장에서 소방대원과 현장 지휘통제실간의 정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난현장 지역 내의 독립적 네트워크 인프라(무선통신, 영상전송 및 현장상황파악 등) 확보를 위한 현장형 스마트 통합관제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재난환경 스마트 통합 관제시스템은 재난현장에서 현장대원간의 무선통신을 지원하고, 재난현장 영상정보 수집을 위한 드론과의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현장 관제시스템에서 재난상황에 대한 전체 주변 영상확보 및 현장대원의 효율적 지휘가 가능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entral Disaster Safety Measures Headquarters, "Disaster Annals",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4. 

  2. H. J. Kang, "Smart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Social Security", Journal of DCS, vol. 18, no. 1, pp. 225-230, 2017. 02. 

  3. KISDI, "A Study on Establishing Policy Direction of Disaster Safety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inistry of the Interior, 2009. 12. 

  4.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State of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National Disaster Safety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ield Survey Report, vol. 9, 2011. 01 

  5. H. J. Kang, "Next Generation Disaster Integrated Wireless Communication for Public Protection Disaster Management ", Journal of KIIT, vol. 9, no. 10, pp. 187-195, 2011. 10. 

  6. KIEES,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of commercial network related to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ion for disaster response", Ministry of the Interior, 2012. 

  7. TTA, "ICT Standardization Roadmap 2015", 2015 

  8. Gyeongbuk Fire Service Headquarters, "A Study on Establis hment of Ubiquitous-based Fire Information System Basic Plan", 2012. 07 

  9. Gwangju Fire Service Headquarters., "Necessity and Application of Wearable Device in Disaster Site.", 26th Conference on the National Security 119 Fire Fighting Policy, 2014. 08 

  10. NIA, "Status of US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Issue Report, 2015. 06 

  11. http://www.ntt.co.jp/news2014/1401/140128a.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