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울산대표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User's Perception Survey for Activation of Ulsan Representative Library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1 no.3, 2017년, pp.133 - 161  

곽승진 (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장덕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강은영 (신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정택 (배재대학교 학술정보팀)

초록

본 연구는 새롭게 건립되는 울산의 대표도서관인 울산도서관의 운영종합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이용자 및 도서관 직원대상 설문을 수행함으로써 향후 도서관에서 제공해야 할 서비스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이용자들의 협력형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으며, 하나의 회원증으로 전국 공공도서관의 자료 및 서비스를 높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울산 공공도서관의 이용 활성화를 위한 홍보방안에 있어서, 직원의 경우 신문이나 잡지, 라디오 등 미디어 매체 활용을 가장 높게 선호하고 있는 반면, 이용자는 이러한 매체 활용에 대해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고 오히려 견학프로그램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서활동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및 프로그램 제공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의 역할뿐 아니라 예술 문화 등 다양한 문화 활동 체험공간으로서의 도서관 역할 부분에서는 이용자와 직원 사이에 어느 정도 의견일치를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foundational research for formulating a comprehensive operation plan for Ulsan Library, this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develop directions for the future library services by performing surveys on the users and library staffs. Consequently, first, the users have demonstrated such a high dem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직원 및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함으로써 이용자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두 집단 간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그 결과를 보면, 첫째, 이용자들은 협력형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는데, 하나의 회원증으로 전국의 공공도서관 자료의 대출 및 서비스 이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도서관 방문 이용이 어려운 노약자, 장애인 등의 이용자를 위하여 도서관 자료를 배달하는 서비스, 이용자가 원하는자료가 도서관에 없을 경우, 협약을 맺은 다른도서관의 자료를 요청하여 제공을 포함하여 모든 유형 협력형서비스에서 4점 이상의 높은 요구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본 연구는 새롭게 건립되는 울산의 대표도서관인 울산도서관의 운영종합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이용자 및 도서관 직원대상 설문을 수행함으로써 향후 도서관에서 제공해야 할 서비스 방향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울산광역시 지역의 공공도서관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 도서관의 장서, 공간, 시설,서비스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울산지역 공공도서관들의 이용자 및 직원대상 설문을 수행함으로써 대표도서관에 요구되는 정보서비스 요구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울산도서관 운영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울산도서관의 기능과 역할 정립 및 운영방안을 마련하여 성공적인 개관을 위한 로드맵 구축 연구로, 대표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을 정립하기 위해 1차적으로 대표도서관 관련 국내외 연구 및 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도서관법 및 각종 규정, 문화체육관광부, 통계청, 울산광역시 관련 각종 통계자료를 검토하여 대표도서관의 기능과 운영에 관련된 요소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울산도서관의 운영종합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이용자 및 도서관직원대상 설문을 수행함으로써 향후 도서관에서 제공해야 할 서비스 방향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으며,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논의할 사항은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의 대표도서관인 울산도서관의 정보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일단 울산도서관은 대표도서관으로서 울산광역시의 모든 공공도서관을 총괄하고 지원 및 협력 사업을 수행하는 지역대표 도서관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울산지역의 도서관 이용자 및 도서관 직원들을 대상으로 울산도서관의 발전방향을 수립을 위한 인식조사를 시행하였으며, 몇 몇 항목에 대하여는 사서직원과 이용자간의 인식을 비교하였다.
  • 그러나 지역대표도서관 건립과 관련하여 이용자 및 직원의 인식을 기반으로 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번에 건립되는 대표도서관의 정보서비스 발전방향을 제시함에 있어 이용자 및 직원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한다.
  • 울산대표도서관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함에 있어서, 울산도서관 소재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의 인식과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울산대표도서관의 이용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용자 및 도서관 직원대상 설문을 수행한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새롭게 건립되는 울산의 대표도서관인 울산도서관의 운영종합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이용자 및 도서관 직원대상 설문을 수행함으로써 향후 도서관에서 제공해야 할 서비스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이용자들의 협력형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으며, 하나의 회원증으로 전국 공공도서관의 자료 및 서비스를 높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울산 공공도서관의 이용 활성화를 위한 홍보방안에 있어서, 직원의 경우 신문이나 잡지, 라디오 등 미디어 매체 활용을 가장 높게 선호하고 있는 반면, 이용자는 이러한 매체 활용에 대해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고 오히려 견학프로그램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서활동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및 프로그램 제공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의 역할뿐 아니라 예술 문화 등 다양한 문화 활동 체험공간으로서의 도서관 역할 부분에서는 이용자와 직원 사이에 어느 정도 의견일치를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새로 개정된 도서관법에서는 무엇을 강조 하였는가? 새로 개정된 도서관법에서는 지식정보사회에서는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가보다 적극적으로 지역의 지식정보 자원을 개발하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에 나서야 한다는 취지에 따라 도서관정책과 관련하여 광역자치단체의 역할을 크게 강조하였다. 도서관법은 광역시․도 차원의 도서관정책 수립과 시행을 위한 구심점으로서 지역대표도서관을 설립하거나 운영하도록 규정한다.
지역대표도서관은 어떤 일을 하는가? 도서관법은 광역시․도 차원의 도서관정책 수립과 시행을 위한 구심점으로서 지역대표도서관을 설립하거나 운영하도록 규정한다. 지역대표도서관은 지역 도서관 시책 수립 지원, 시․도 단위자료 수집 및 제공, 지역 공공도서관 지원 및 협력사업, 도서관 업무에 관한 조사․연구, 자료 공동보존 등 지역의 도서관정책을 집행하는 실질적인 행정기구이다. 이에 따라 현재 많은 광역시․도에 대표도서관이 지정되어 있으며, 서울, 인천 등은 새로운 도서관을 건립하였고 부산 및 충청남도에서도 대표도서관 건립이 추진 중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강희경, 장덕현, 이수상. 2014. 부산대표도서관 건립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3): 489-511.(Kang, Hee-Kyung, Chang, Durk-Hyun and Lee, Soo-Sang. 2014. "A Basic Atudy on the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f Busan Central Library Construc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3): 489-511.) 

  2. 김세훈, 심효정. 2008. 지역대표도서관 설립 및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319-337.(Kim, Se-Hun and Sim, Hyo-Jung. 2008.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Regional Central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1): 319-337.) 

  3. 김영기, 장덕현, 이용재. 2015. 지역대표도서관의 조직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3): 51-70.(Kim, Youngkee, Chang, Durk-Hyun and Lee, Yong-Jae. 2015.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al Plans of Local Government Representing Library." Journal of Kore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3): 51-70.) 

  4. 노영희 외. 2017. 충남대표도서관의 장서구성 방안 연구. 사회과학연구, 28(1): 235-264.(Noh, Younghee et al. 2017. "A Study on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Measure for Chungnam Representative Library."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28(1): 235-264.) 

  5. 류웅재 외. 2010. 경기도 도서관의 연계화를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경기개발연구원.(Ryoo, Woong-Jae et al. 2010.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Gyeonggi-Do's Public Library System through Networking. Gyeonggi: Gyeonggi Research Institute.) 

  6. 배순자. 2008. 지역대표도서관의 기능과 지역공공도서관과의 협력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45-59.(Bae, Soon-Ja. 2008. "A Study on the Function of Regional Central Library and Collaborative Role for Community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3): 45-59.) 

  7. 배순자, 김병재. 2006. 도(道) 광역대표도서관 건립계획에 관한 일고(一考):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2): 59-78.(Bae, Soon-Ja and Kim, Byeong-Jae. 2006. "A Study on Planning of Widely Representative Library Building in Jeollabuk-d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2): 59-78.) 

  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부산대표도서관 건립 기본계획 연구. 부산: 부산광역시.(Institute for Research and Industry Cooperation, PNU. 2014. A Study on the Basic Planning of the Busan National Library. Busan: Busan Metropolitan City.) 

  9. 서울도서관. 2012. 서울도서관 건립 백서. 서울: 서울도서관.(Seoul Metropolitan Library. 2012. Seoul Library Building White Paper. Seoul: Seoul Metropolitan Library.) 

  10. 신선주, 강순애. 2016. 서울시 자치구 대표도서관 성인대상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1): 157-185.(Shin, Seon-Ju and Kang, Soon-Ae. 2016. "A Study to Activate Programs for Adults in Representative Libraries in the Seoul District."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1): 157-185.) 

  11. 신지연, 김유승. 2011. 지역대표도서관 중심의 공동보존도서관 설립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129-150.(Shin, Ji-Yeon and Kim, You-Seung. 2011.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Plan for the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ies Based on Regional Centra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3): 129-150.) 

  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경기도 대표도서관 장서개발정책 및 운영방안 연구. 경기: 경기도청.(Yonsei University Office of Research Affairs/university industry foundation. 2014. A Study on the Policy Development and Management Plan of Library Collection for Gyeonggi-do. Gyeonggi: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13. 유재우, 구본진, 장덕현. 2015. 지역대표도서관 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291-309.(Yoo, Jae Woo, Koo, Bon Jin and Chang, Durk Hyun. 2015. "A Research on the Site Selection of a Metropolitan Library: The Case of City of Bu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3): 291-309.) 

  14. 윤희윤, 장기섭. 2007. 지역대표도서관의 아동서비스용 웹사이트 분석. 정보관리연구, 38(4): 22-47.(Yoon, Hee-Yoon and Jang, Ki-Sub. 2007. "Analysis of Regional Representative Public Libraries Web Sites for Children's Information Service."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8(4): 22-47.) 

  15. 장덕현 외. 2014. 지역대표도서관 건립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3): 119-139.(Chang, Durk-Hyun et al. 2014. "New Main Library Project in a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3): 119-139.) 

  16.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7. 지역대표도서관 기반조성 및 운영활성화 방안.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2007.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for Local Representative Library and Revitalization Plan. Seoul: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17. 한복희 외. 2010. 지역대표도서관 중심의 도서관 협력체계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1): 267-295.(Hahn, Bock-Hee et al. 2010. "A Study of the Cooperative System Models for the Regional Central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1): 267-2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