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수 돌산연안 낭장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gape net in Dolsan District of Yeosu 원문보기

한국어업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v.53 no.2, 2017년, pp.142 - 151  

김기택 (전남대학교 수산과학과) ,  한경호 (전남대학교 수산과학과) ,  이성훈 (전남대학교 수산과학과) ,  윤병일 (전남대학교 수산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luctuation in the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 was investigated using gape net in Dolsan District of Yeosu Korea from July 2015 to April 2016. A total of 1,331 fishes were sampled and classified into 30 orders, 42 families, and 53 species. The dominant orders are Perciformes incl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여수 돌산연안의 낭장망에 어획되는 어류의 종조성을 정량적으로 조사하고, 이들 종의 계절적인 양적변동 및 생태적인 지수를 구하여 어류의 군집구조를 분석하여 어족자원을 지속적으로 확보함으로써 자원실태를 파악하고, 예측평가함으로써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자원을 이용하고 관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이 연구는 2015년 7월부터 2016년 7월까지 전라남도 여수반도 남쪽에 위치한 돌산도 연안의 낭장망에 어획된 어류를 대상으로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파악하여, 어구차이에 따른 어종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 기간 중 멸치가 전체 출현량의 43.
  • 이 연구는 여수반도 남쪽에 위치한 돌산연안의 낭장망에 어획된 어류를 대상으로 하였다. 해저지형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고 장기간 같은 방법으로 채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수동어구 (Lee and Seok, 1984) 중낭장망을 이용하여 어획된 어획물을 채집하여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조사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라남도 여수란? 전라남도 여수는 우리나라 남해 중앙부에 위치하여, 남해 연안 해역 중에서도 계절에 따라 대마난류, 중국대륙 연안수, 한국 연안수 등 다양한 수괴의 영향을 받으며, 연안수의 세력에 영향을 받는 곳으로 어족 번식상 최적의 해양환경을 갖추고 있는 천해의 어장이다 (Kim, 1997).
여수 주변해역의 어류군집구조에 관한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여수 주변해역의 어류군집구조에 관한 연구는 돌산도 연안 정치망어장에 출현한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양적 변동 (Sin, 2001), 돌산도연안 이각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Jeong, 2004), 거문도주변해역의 어류 종 조성 및 계절변동 (Chu, 2001), 여수주변해역의 치자어 분포 (Yoo et al., 1999), 여수연안 정치망 어획물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Kim et al., 2003b) 등이 있다.
무엇이 연안의 조간대 생물과 암초의 부착 생물 등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가? 최근 기후 변화와 어장 환경의 변화, 도시화 및 임해 공단의 건설에 의해 하천수, 공업폐수 등 오염물질의 다량유입과 석유화학공단에 출입하는 국내·외 대형유조 선박들의 기름 유출사고로 인해 연안오염으로 해양생물의 산란·서식장의 환경 변화가 우려되고 있다 (Lee,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llen LC. 1982. Seasonal abundance, composition and productive of the littoral fish assemblage in upper Newport Bay, Fish Bull 80, 769-790. 

  2. An YL. 2002.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 off Gadeok-do, Korea 212. 

  3. Chu EG. 2001.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es in the Adjacent Water Geomun Island, Korea 59. 

  4. Clarke KR and Warwick RM. 1944. Changes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 Plymouth Marine Laboratory, Plymouth, UK, 144. 

  5. Jeong HH. 2004.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Both Sides Fyke Net in Dol-san, Yeosu. Yeosu University 36. 

  6. Jeong MK. 1997. The Fishes of Korea. Illjisa, Seoul 727. 

  7. Kang. CB. 2000. Taxonomical studies on the genus Lateolabrax (Pisces, Perciformes) from the korean waters. Ph. D. Thesis, Bukyung National University, 138 (in Korean). 

  8. Kim DS. 1997. Meterological factors and catch flucituation of set net ground in the coastal water of Yeosu National. Fish. Univ. 6, 31-38. 

  9. Kim J. 2007. Seasonal Fluctu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Gape net in Nang-island, Yeosu University 1-19. 

  10. Kim JG, Choi OI, Jang DS and Kim JI. 2002. Fluctuation of Bag-net Catches off Wando, Korea and the Effect of Sea Water Temperature, Fish Bull soc 35, 497-498. 

  11. Kim YH, Kim JB and Jang DS. 2003. Seasonal Variation of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aught by a Set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Yosu, Korea 120. 

  12. Lee DG. 2004. Fluctu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fo Fishes by Small Scale Trawl in Dolsan Yeosu, Yeosu University 38. 

  13. Lee TW and Seok KJ. 1984. Seasonal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Cheonsu Bay using trap net catches. J Oceanol Soc Korea 19, 217-227. 

  14. Margalef D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6-71. 

  15. Masuda H, Amaoka K, Araga C, Uyeno T and Yoshino T. 1984. the Fishes of the Jaanese Archipelago. Tokai University Press, 437. 

  16. Mclntyre AD and Eleftherious A. 1968. The bottom fauna of a flatfish nursery ground. J. Mar. Bio. Ass. U.K., 48, 133-142. 

  17. McNaughton SJ. 1967. Relation 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nia Grassland Nature 216, 114-168. 

  18. Nakbo T, Aizawa M, Anomura Y, Akihito, Ikeda Y, Sakamoto K, Shimada K, Senoum H, Hatookka K, Hayashi M, Hosoya K, Yamada U and Yoshino T, 1993.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a Keys to the Species. Tokai Univ. Press. 1162 (in Japanese). 

  19. Pielou EM.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cal Collection. J. Theoret Bool 13, 131-144. 

  20. Sin SS. 2001. Seasonal Fluctu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Set Net Fishesly in Dolsan, Yeosu. Yeosu University 45. 

  21. Shannon CE and Wiener W.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rbana, Univ. of Illinois Press, 125. 

  22. Yoo JM, Lee UG and Kim S. 1999.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the Adjacent Waters of Yeosu, Fish Bull soc 32, 2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