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산 좀개구리밥속(개구리밥과)의 분류학적 실체에 대한 재고
A Taxonomic Reconsideration of the Genus Lemna L. (Lemnacea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1 no.4, 2017년, pp.349 - 364  

김용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해외생물소재센터) ,  심상인 (경상대학교 농학과) ,  박진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담수생물조사연구실 동식물자원조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좀개구리밥속(Lemna L.)이 속하는 개구리밥과(Lemnaceae Martinov)는 다년생 초본으로, 5속 약 40종이 극 지방을 제외한 전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좀개구리밥속 식물은 피자식물 중 크기가 가장 작고 형태가 단순한 부유성의 단자엽수생식물로 영양번식이 매우 빨라 약 3일마다 배로 증가하는 특성을 보여 수환경 오염 피해 평가나 독성 시험에 이용되는 등 유용성이 큰 식물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좀개구리밥속 종 분포에 대해서는 학자별로 다른 학명을 쓰기도 하였으나 1종이 존재하는 것으로 여러 학자들이 보고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좀개구리밥속 식물에서 관찰된 외부 형태적 변이에 주목하여, 2종 이상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그 실체를 규명하고자 분자계통학적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좀개구리밥속 식물 37개체군의 엽록체 DNA atpF-H 구간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염기서열 길이는 463-483bp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37개체군의 염기서열을 정렬한 길이는 488bp였으며, 47개 뉴클레오티드지점에서 변이가 나타났다. 한국산 좀개구리밥속 식물 37개체군의 엽록체 DNA atpF-H 구간 염기서열은 크게 두 개의 유형으로 나누어졌으며, 계통분석 결과에서도 최대절약계통수에서 두 개의 clade로 나누어졌고, 그 중 한 clade는 두 개의 subclade로 다시 나누어졌다. 이는 현재까지 우리나라에 1종만 분포한다고 알려진 것과는 다른 결과로 최소 2개 이상 분류군(L.aequinoctialis, L.minor)이 국내에 분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ckweed family (Lemnaceae Martinov), including the genus Lemna L., is a typical floating aquatic perennial plant, and about five genera and 40 species in the family are in wide distribution around the world except the polar regions. The genus Lemna is the smallest and the simplest plant among th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한국산 좀개구리밥속 식물은 아원형이며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툼한 엽상체 형태형과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두께가 얇은 엽상체 형태형이 관찰되는 등 형태적으로 변이가 관찰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좀개구리밥속 식물에서 나타나는 형태적 변이에 주목하여, 한국산 좀개구리밥속 식물이 1종 이상일 가능성에 대해 그 실체를 규명하고자 분자계통학적 방법(DNA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실험에서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위해 사용된 반응구성물은? PCR 및 염기서열 결정: 유전자 증폭을 위한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은 최종 volume 50μL로 정량하여 실시하였다. 반응구성물은 5μL의 Takara 10X Ex-Taq buffer (Takara Bio Inc., Japan), 4μL의 2.5mM dNTP, 양방향의 0.5μL의 10 pmol 프라이머, 1μL의 template DNA(10-20ng), 0.5μL의 Taq DNA 중합효소(Takara Bio Inc., Japan)와 나머지는 증류수로 채워 50μL를 정량하였다. Primer로는 Forward 5'-ACTCGCACACACTCCCTTTCC-3', Reverse 5'-GCTTTTATGGAAGCTTTAACAAT-3'를 사용하였다(Wang et al.
좀개구리밥속(Lemna L.) 식물은 무엇인가? 개구리밥과는 피자식물 중 크기가 가장 작고 형태가 단순한 부유성의 단자엽 수생식물로, 본 과에 속하는 좀개구리밥속(Lemna L.) 식물은 영양번식이 매우 빨라 약 3일마다 배로 증가하는 특성을 보여 수환경의 오염 피해 평가나 오염물질 독성시험에 이용되는 대표적인 식물이다(Rejmánková, 1975; Landolt, 1986; Wang, 1990; Kim and Lee, 2001; Park and Shim, 2014). 좀개구리밥속 식물의 빠른 무성번식 특성은 이상적인 실험 모델식물로 이용될 뿐 아니라, 오염물질 제거자, 양분(녹비) 공급자, 바이오연료 공급자 역할을 할 수 있는 유용생물자원으로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Cheng and Stomp, 2009; Leblebici and Aksoy, 2011; Cui et al.
한국산 좀개구리밥속 식물의 특징은? 그러나 한국산 좀개구리밥속 식물은 아원형이며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툼한 엽상체 형태형과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두께가 얇은 엽상체 형태형이 관찰되는 등 형태적으로 변이가 관찰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좀개구리밥속 식물에서 나타나는 형태적 변이에 주목하여, 한국산 좀개구리밥속 식물이 1종 이상일 가능성에 대해 그 실체를 규명하고자 분자계통학적 방법(DNA 분석)을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eng, J.J. and A.M. Stomp(2009) Growing duckweed to recover nutrients from wastewaters and for production of fuel ethanol and animal feed. Clean - Soil, Air, Water 37: 17-26. 

  2. Choi, H.K.(2007) Lemnaceae. In: C.W. Park(ed.),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1096-1097pp. 

  3. Chung, T.H.(1937) Jo-seon-sik-mul-hyang-myeong-jip.(Korean name of plant from Korea). Chosen Natural History Research Society, Seoul, 169pp.(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4. Chung, T.H.(1957) Korean Flora Vol. 2. Herbaceous Plants. Gyoyooksa, Seoul, 1125pp.(in Korean) 

  5. Cui, W. and J. J. Cheng(2015) Growing duckweed for biofuel production: a review. Plant Biology 17:16-23. 

  6. Cui W., J. Xu, J.J. Cheng, and A.M. Stomp(2011) Starch accumulation in duckweed for bioethanol production. Biological Engineering 3: 187-197. 

  7. Felsenstein, J.(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y: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 783-791. 

  8. Kearse, M., Moir, R., Wilson, A., Stones-Havas, S., Cheung, M., Sturrock, S., Buxton, S., Cooper, A., Markowitz, S., Duran, C., Thierer, T., Ashton, B., Mentjies, P., & Drummond, A.(2012). Geneious Basic: an integrated and extendable desktop software platform for the organization and analysis of sequence data. Bioinformatics 28(12): 1647-1649. 

  9. Kim, E.J. and S.K. Lee(2001) Use of Duckweed (Lemna gibba) growth-inhibition test to evaluate the toxicity of chromate in Korea. Kor. J. Environ. Toxicol. 16(4): 205-20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andolt, E.(1986) Biosystematic investigations in the family of duckweeds (Lemnaceae), vol. 2. The family of Lemnaceae-a monographic study, volume 1. : Veroffentlichungen des Geobotanischen Institutes der ETH, Stiftung Rubel, in Zurich (71 Heft). 

  11. Landolt, E.(2005) Lemnaceae. In: Flora of North America Editorial Committee(ed.), Flora of North America. Vol. 22.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43-154pp. 

  12. Leblebici Z. and A. Aksoy(2011) Growth and Lead Accumulation Capacity of Lemna minor and Spirodela polyrhiza (Lemnaceae): Interactions with Nutrient Enrichment. Water Air Soil Pollut. 214(1-4): 175-184. 

  13. Lee, T.B.(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791pp.(in Korean) 

  14.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2. Hyangmunsa, Seoul, 910pp.(in Korean) 

  15. Lee, W.T.(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vol. 1. Academy Publishing Co., Seoul, 1437-1438pp.(in Korean) 

  16. Lee, Y.N.(1996)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1247pp.(in Korean) 

  17. Lee, Y.N.(2006) New Flora of Korea. vol. 2. Kyohak Publishing Co., Seoul, 885pp.(in Korean) 

  18. Les, D.H. and D.J. Crawford(1999) Landoltia (Lemnaceae), a new genus of duckweeds. Novon 9: 530-533. 

  19. Les, D.H., D.J. Crawford, E. Landolt, J. D. Gabel, and R.T. Kimball(2002) Phylogeny and Systematics of Lemnaceae, the Duckweed Family. Syst. Bot. 27: 221-240. 

  20. Les, D.H., E. Landolt, and D.J. Crawford(1997) Systematics of the Lemnaceae (duckweeds): inferences from micromolecular and morphological data. Pl. Syst. Evol. 204: 161-177. 

  21. Li, H. and E. Landolt(2010) Lemnaceae. In: Z.Y. Wu and P.H. Raven(eds.), Flora of China. Vol. 23.,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80-83pp. 

  22. Nakai, T.(1911) Flora Koreana. Pars secunda. J. Coll. Sci. Imp. Univ. Tokyo 31: 1-573. 

  23. Nakai, T.(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The vascular plants indigenous to Korea, arranged in a new natural order. Bull. Natl. Sci. Mus., Tokyo 31: 1-166. 

  24. Ohwi, J.(1965) Flora of Japan.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25. Park, B.-K. and I-H. Oh(1986) A study of distribution of Giant Duckweed (Spirodela polyrrhiza) and Small Duckweed (Lemna aequinoctialis) in Korea. Korean J. Ecol. 9(3): 103-110.(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Park, J.H. and S.I. Shim(2014) Influences of PAHs and Ammonium on Growth of Duckweed (Lemna perpusilla Torr.). Korean J. Environ. Ecol. 28(5): 510-51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Rejmankova, E.(1975) Comparison of Lemna gibba and Lemna minor from the production ecological viewpoint. Aquat. Bot. 1: 423-427. 

  28. Swofford, D. L. 2003. PAUP*.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simony (* and Other Methods). Version 4.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Massachusetts. 

  29. Thompson, J. D., T. J. Gibson, F. Plewniak, F. Jeanmougin and D. G. Higgins(1997) The CLUSTAL_X windows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Nucl. Acids Res. 25: 4876-4882. 

  30. Wang, W.(1990) Literature review on duckweed toxicity testing. Environ. Res. 52: 7-22. 

  31. Wang, W., Y. Wu, Y. Yan, M. Ermakova, R. Kerstetter, and J. Messing (2010) DNA barcoding of the Lemnaceae, a family of aquatic monocots. BMC Plant Biology 10: 205. 

  32. Xu, J., W. Cui, J.J. Cheng, and A.M. Stomp(2011) Production of high-starch duckweed and its conversion to bioethanol. Biosystems Engineering 110: 67-72. 

  33. Xu, J., H. Zhao, A.M. Stomp and J.J. Cheng(2012) The production of duckweed as a source of biofuels. Biofuels 3(5): 589-6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