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남생이와 외래종 붉은귀거북의 서식지 이용 패턴 비교 분석
Comparison Analysis for Using the Habitat Pattern Between the Korean Endangered Species, Mauremys reevesii, and the Exotic Species, Trachemys scripta elegans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1 no.4, 2017년, pp.397 - 408  

조신일 (서울대공원) ,  나수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  안치경 (녹인) ,  김현정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  정유정 (서울대공원) ,  임양묵 (서울대공원) ,  김선두 (국립공원관리공단) ,  송재영 (국립공원관리공단) ,  이훈복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산 남생이와 외래종 붉은귀거북의 행동권 및 서식지 이용 패턴을 확인하고 종간 상호 경쟁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0년 8월 2일부터 2011년 1월 30일까지 경기도 과천시 청계산 계곡 상류지역에 위치한 정수역인 금붕어광장 연못에서 수행되었다. 서울동물원에서 인공증식한 남생이 3개체와 국내의 연못과 저수지에 서식하고 있던 붉은귀거북 3개체를 포획하여 위치추적발신기를 부착한 후 방사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방사된 개체들의 행동권과, 서식지 이용반경을 측정하였고, 금붕어광장 연못의 온 습도 및 수온, 지온 등 환경적인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남생이와 붉은귀거북은 제한된 일광욕 장소, 먹이자원 이용, 동면지 등 여러 측면에서 중복된 생태적 지위를 가지고 있어서 상호 경쟁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교적 몸집이 작은 남생이가 몸집이 큰 붉은귀거북에게 경쟁에서 밀려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생이가 서식하고 있는 원서식지에 붉은귀거북의 이입을 통한 종간, 개체간의 행동권과 먹이경쟁, 서식지 이용 등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남생이 복원사업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home range and habitat using pattern of the native species, Mauremys reevesii, and the exotic species, Trachemys scripta elegans, and to analyze the mutual competition relationship of the two specie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the Goldfish square po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산 남생이와 외래종 붉은귀거북의 행동권 및 서식지 이용 패턴을 확인하고 종간 상호 경쟁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공증식 된 개체를 활용하여 인공적으로 조성된 서식지에서 남생이의 행동권 및 서식지 이용 패턴을 분석하여 남생이의 적응력과 생존율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 인공증식 된 개체를 활용하여 인공적으로 조성된 서식지에서 남생이의 행동권 및 서식지 이용 패턴을 분석하여 남생이의 적응력과 생존율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같은 거북목에 속하는 붉은귀거북의 행동과 서식지 이용 패턴을 함께 분석하여 상호 경쟁관계를 분석하였고 서식지 내에서의 위협요인을 파악하여 두 종간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남생이 개체수의 급감 원인 중 예상되는 원인은 무엇인가? 증식·복원 대상종으로 선정된 남생이(Korean terrapin, Mauremys reevesii)의 경우, 과거 전국적으로 분포하여 서식하였으나 최근 개체수가 급감하여 멸종위기종 및 IUCN 적색목록의 취약종으로 분류되고 있다(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2001;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 Ministryof Environment, 2011; IUCN, 2002; Sin, 2009). 국내의 남생이 개체수의 급감 원인 중, 전국적으로 유입된 외래종붉은귀거북(Red-eared slider, Trachemys scripta elegans)이 민첩한 행동과 먹이 포식활동으로 남생이의 서식지를침입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토종 남생이와 외래종인 붉은귀거북은 서식지 및 생태가 비슷하여 서로 경쟁관계에 있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증식·복원대상 멸종위기종을 선정하기 위한 평가기준은 어떤 기준을 고려하였는가? 생물종의 희소성, 기존 생태계 적합성, 고유 유전자원 가치, 증식·복원 가능성, 소요기간, 깃대종 여부, 지역주민과의 협력모델 개발 가능성 등을 고려한 증식·복원대상 멸종위기종을 선정하기 위한 평가기준이 2005년에 마련되었다(Lee,1998;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Bang and An,2005). 이러한 평가기준에 의거하여 총 53종의 증식·복원대상종이 선정되었다.
남생이의 멸종방지를 위해서 인공증식으로 확보된 개체를 돌려보낼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하지만 남생이의 경우 복원 및 멸종 방지를 위해서 최소존속개체집단(MVP: minimum viable population)의 확보가 시급한 종으로 인공증식을 통한 종 복원이 불가피한 실정이다(Sin, 2009). 결과적으로 주요서식지에 대한 질적 개선 및서식여건 조성도 중요하지만 인공증식으로 확보된 개체를 생태계로 돌려보내기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자연 서식지에 적응이 가능한지 여부가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0; Ministry of Environment,2011; Duellman,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ng, S.W. and S.Y. An(2005) Development of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Endangered Species in Ko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search paper, korea, pp. 1-359. 

  2. Gibbon, J.W., Scott, D.E., Ryan, T.J., Buhlmann, K.A., Tuberville, T.D., Metts, B.S. and C.T. Winne(2000) The Global Decline of Reptiles, Deja Vu Amphibians: Reptile species are declining on a global scale. Six significant threats to reptile populations are habitat loss and degradation, introduced invasive species, environmental pollution, disease, unsustainable use, and global climate change. BioScience 50(8): 653-666. 

  3. Houlahan, J.E., Findlay, C.S., Schmidt, B.R., Meyer, A.H. and S.L. Kuzmin(2000) Quantitative evidence for global amphibian population declines. Nature 404(6779): 752-755. 

  4. Hynes, H.B.N.(1970) The Ecology of Running Water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Canada, 442pp. 

  5. IUCN(2002). Proceedings of the IUCN CBSG/WAZA Workshop on Amphibian Ex Situ Conservation Planning. El Valle, Panama, IUCN. 

  6. Kernohan, B.J.(2001) Analysis of animal space use and movements. Radio tracking and animal populations, pp.125-166. 

  7. Kim, J.B. and J.Y. Song(2010) Amphibian and Reptiles in Korea. World science, korea. 

  8. Koo, K.S., Chang, M.H. and J.Y. Song(2012) A Homerange Study on the Reeve's Pond Turtle (Chinemys reevesii) in the river environment. The Korean Research Society of Herpetologists, korea, pp. 10. 

  9. 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2001) A Study on the Designation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Endangered Wildlife and Protected Wildlife. 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korea, pp. 10. 

  10. Lee, G.C. and U.S. Lee(2001) Study on implementation system of biodiversity management contract.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orea, 179pp. 

  11. Lee, S.D.(1998) Protection of endangered wild animal and plant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 

  12. Mech, L.D.(1980) Handbook of Animal Radio-Tracking. Minnesota University. 

  13. Ministry of Environment(2005) Basic plan for the protection of wild animal and plant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pp. 183. 

  14. Ministry of Environment(2006) Endangered Wild animal $\bullet$ Plant Propagation $\bullet$ Restoration Comprehensive Plan.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pp. 154. 

  15. Ministry of Environment(2010) Master Plan for Biological Resource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16. Ministry of Environment(2011)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management of endangered wild animal and plants and publication of the red list.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pp. 228. 

  17.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2011) Red Data Book of Endangered Amphibian, Reptile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korea. 

  18. Pimm, S. L., Russell, G. J., Gittleman, J. L., and T. M. Brooks(1995) The future of biodiversity. Science 269(5222): 347-350. 

  19. Rosenberg, D.M. and V.H. Resh(1993) Freshwater Biomonitoring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s. Chapman & Hall, New York, pp. 488. 

  20. Sin, H.C.(2009). Conservation Biology of Korea. World science, korea, pp. 267. 

  21. Won, D.H., Kwon S.J., and Y.C. Jeon(2005)Aquatic insects of korea. Korea National Park Servic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Researcher Ecosystem Survey Team, korea, pp. 410. 

  22. Yoon, I.B.(1995) Search for aquatic insects. Junghaengsa. korea, pp. 2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