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분자동역학 전산모사와 미시역학 모델을 이용한 질화붕소 나노튜브/고분자 복합재의 역학적 물성 및 계면특성 예측
Molecular Dynamics and Micromechanics Study on Mechanical Behavior and Interfacial Properties of BNNT/Polymer Nanocomposites 원문보기

Composites research = 복합재료, v.30 no.4, 2017년, pp.247 - 253  

최서연 (School of Energy Systems Engineering, Mechanical Engineering Division, Chung-Ang University) ,  양승화 (School of Energy Systems Engineering, Mechanical Engineering Division, Chung-A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분자동역학 전산모사와 이중 입자 모델을 이용하여 질화붕소 나노튜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나노복합재의 기계적 물성과 계면특성을 규명하였다. 단일 벽 나노튜브가 고분자 기지에 함침된 가로등방성 나노복합재 단위 셀 구조를 모델링한 후, 각 방향으로의 일축인장 및 전단 전산모사를 통해 나노복합재의 강성행렬을 예측하였다. 또한 강성행렬의 방향 평균을 취해 나노튜브가 기지 내에 랜덤 분포하는 경우의 등방성 탄성계수를 도출하였다. 분자동역학 해석 결과를 계면의 완전 결합을 가정한 이중 입자 모델 예측해와 비교한 결과, 질화붕소 나노튜브와 고분자 기지간의 계면이 불완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노튜브 주위에 형성되는 흡착계면의 물성을 예측하기 위해 2단계 영역 분할 기법을 도입하였고 계면의 불완전 결합을 선형 스프링으로 묘사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스프링 컴플라이언스 값에 따른 흡착계면의 물성을 역 해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mechanical behavior and interface properties of boron nitride nanotube-poly(methyl methacrylate) nanocomposites are predicted using the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and the double inclusion model. After modeling nanocomposite unit cell embedding single-walled nanotube and poly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질화붕소 나노튜브 첨가에 따른 나노복 합재의 유효 물성과 나노튜브-기지 간 계면 특성 파악을 위한 미시역학 모델로 이중 입자 모델을 제시한다[12]. 이중입자 모델에서는 강화재와 기지로 구성된 영역 R이 임의의 물성을 가진 무한 영역 B로 둘러싸여 있는 미세 구조를 고려한다(Fig.
  • 2단계 영역 분할 기법을 통해 다양한 계면 컴플라이언스 값에 따른 유효기지와 흡착계면의 영률과 전단계수의 조합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나노튜브의 다양한 체적분율 조건에서 나노복합재의 물성을 쉽게 예 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질화붕소 나노튜브는 탄소 나노튜브와 마찬가지로 결함, 튜브의 응집, 굽힘 현상 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 강화 효과가 저하된다.

가설 설정

  • 6 Å × 46 Å × 46 Å의 크기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질화붕소 나노튜브와 고분자 기지 사이의 결합은 오직 반데르발스 상호작용과 정전기적 힘에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이 방법은 흡착계면과 기지 영역을 포함하는 유효기지(effective matrix)를 정의하는 상위 스케일 해석과, 유효기지의 물성 으로부터 흡착계면의 물성을 역으로 도출하는 하위 스케일 해석으로 구분된다. 먼저 상위 스케일 해석에서는 분자 동역학 전산모사에서 도출된 나노복합재의 강성행렬이 나노튜브-유효기지로 구성된 이중입자 모델에서의 예측해와 동일하다는 가정으로부터 유효기지의 물성을 역으로 도출한다. 이후 하위 스케일 해석에서는 상위 스케일 해석에서도출된 유효기지의 물성이 흡착계면과 순수기지로 구성된 이중입자 모델 예측해와 동일하다는 조건으로부터 흡착계 면의 물성을 역으로 도출한다.
  • 일반적으로 강화재가 낮은 체적분율을 가지는 경우에는 무한 영역의 물성을 기지의 물성에 가깝게 설정하며, 높은 체적분율의 경우에는 강화재의 물성에 가깝게 설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질화붕소 나노튜브의 체적분율이 3.7%이므로, 이에 따라 무한 영역의 강성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강성행렬과 동일한 것으로 설정하였다.
  • 질화붕소 나노튜브의 물성은 기존의 나노튜브 관련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가로등방성을 가정하였으며, 나노튜 브의 등가 연속체 모델은 속이 채워진 실린더 형태로 간주 하였다. 질화붕소 나노튜브의 탄성계수는 변형에너지 밀도-탄성계수 관계식을 이용하였으며, 분자역학(Molecular mechanics, MM) 계산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화붕소 나노튜브의 강화 효과를 낮추게 되는 인자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로부터 나노튜브의 다양한 체적분율 조건에서 나노복합재의 물성을 쉽게 예 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질화붕소 나노튜브는 탄소 나노튜브와 마찬가지로 결함, 튜브의 응집, 굽힘 현상 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 강화 효과가 저하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과 흡착계면 물성을 바탕으로 하여 상기한 인자들이 나노복합재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효율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멀티스케일 해석 모델로 확장할 계획이다.
나노복합재의 길이방향 인장 시 변형률이 증가함에 따라 나노복합재의 응력이 상승한 이유는? 나노복합재의 길이방향 인장의 경우 변형률이증가함에 따라 나노복합재의 응력이 급격히 상승한다. 이는 길이방향 인장 시 높은 강성을 지니는 나노튜브가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나노복합재를 가로등방성 구조로 모델링하고 주기경계조건을 부여한 기존의 연구 결과들에서도 나타나는 경향이다[11,16].
질화붕소 나노튜브가 탄소 나노튜브보다 좋은 점은? 1995년 실험적으로 처음 발견된 질화붕소 나노튜브[1]는원자 배열 구조적으로는 탄소 나노튜브와 매우 유사하지만 탄소 대신 육방정 구조를 가진 질소와 붕소 원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탄소 나노튜브와는 달리 반도체적인 특성만을 가지고 있으며, 영률은 탄소 나노튜브에 근접한 수준이고 열전도도 또한 매우 높다[2]. 뿐만 아니라 질화붕소 나노튜브는 약 1000 K의 온도까지 안정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3], 약 700 K까지 안정성이 유지되는 탄소 나노튜브에 비해 우수한 열적 안정성을 지닌다. 또한, 중성자 차폐기능[4]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원자력 및 항공 우주 산업에서 고온 경량 구조재로 활용될 잠재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질화붕소 나노튜브의 생산 단가가 매우 높기 때문에, 대량 생산을 위한 합성 방법의 확보와 고순도의 품질을 얻기 위한 핵심 기술의 개발은 여전히 난제로 남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pra, N.G., Luyken, R.J., Cherrey, K., Crespi, V.H., Cohen, M.L., Louie, S.G., and Zettle, A., "Boron Nitride Nanotubes," Science, Vol. 269, No. 5226, 1995, pp. 966-967. 

  2. Chang, C.W., Fennimore, A.M., Afanasiev, A., Okawa, D., Ikuno, T., Garcia, H., Li, D., Majumdar, A., and Zettle, A., "Isotope Effect o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Boron Nitride Nanotubes," Physical Review Letters, Vol. 97, 2006, 085901. 

  3. Simard, B., "Industrialization of Boron Nitride Nanotubes: From Synthesis to Applications," Proceeding of TechConnect World Innovation, Washington DC, US, Jun. 2014. 

  4. Cohen, M.L., and Zettle, A., "The Physics of Boron Nitride Nanotubes," Physics Today, Vol. 63, No. 11, 2010, pp. 34-38. 

  5. Yuan, J., and Liew, K.M., "Effects of Boron Nitride Impurities on the Elastic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Nanotechnology, Vol. 19, 2008, 445703. 

  6. Verma, V., Jindal, V.K., and Dharamvir, K., "Elastic Moduli of a Boron Nitride Nanotube," Nanotechnology, Vol. 18, 2007, 435711. 

  7. Jin, J., and Yang, S., "Molecular Dynamics Study on Mechanical Behavior and Load Transfer of CNT/PET Nanocomposites : the Effects of Covalent Grafting," Composites Research, Under Review, 2017. 

  8. Rappe, A.K., and GoddardIII, W.A., "Charge Equilibration for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Vol. 95, No. 8, 1991, pp. 3358-3363. 

  9. Hoover, W.G., "Canonical Dynamics: Equilibrium Phase-space Distributions," Physical Review A, Vol. 31, 1985, pp. 1695-1697. 

  10. Hoover, W.G., "Constant-pressure Equations of Motion," Physical Review A, Vol. 34, 1986, pp. 2499-2500. 

  11. Yang, S., Yu, S., Kyoung, W., Hahn, D.S., and Cho, M., "Multiscale Modeling of Size-dependent Elastic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polymer Nanocomposites with Interfacial Imperfections," Polymer, Vol. 5, No. 2, 2012, pp. 623-633. 

  12. Hori, M., and Nemat-Nasser, S., "Double-Inclusion Model and Overall Moduli of Multi-Phase Composites," Mechanical of Materials, Vol. 14, 1993, pp. 189-206. 

  13. Li, J.Y., "Thermoelastic Behavior of Composites With Functionally Graded Interphase: a Multi-Inclusion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Solids and Structures, Vol. 37, 2000, pp. 5579-5597. 

  14. Qu, J., "Eshelby Tensor for an Elastic Inclusion with Slightly Weakened Interface," Journal of Applied Mechanics, Vol. 60, No. 4, 1993, pp. 1048-1050. 

  15. Hu, G.K., and Weng, G.J., "The Connections Between the Double-Iinclusion Model and the Ponte Castaneda-Wills, Mori- Tanaka, and Kuster-Toksoz Models," Mechanics of Materials, Vol. 32, 2000, pp. 495-503. 

  16. Yang, S., Yu, S., Ryu, J., Cho, J.M., Kyoung, W., Han, D.S., and Cho, M., "Nonlinear Multiscale Modeling Approach to Characterize Elastoplastic Behavior of CNT/Polymer Nanocomposites Considering the Interphase and Interfacial Imperfe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lasticity, Vol. 41, 2013, pp. 124-146. 

  17. Yang, S., and Cho, M., "Scale Bridging Method to Characterize Mechanical Properties of Nanoparticle/Polymer Nanocomposites," Applied Physics Letters, Vol. 93, No. 4, 2008, 043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