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터 복합재의 역학적 거동과 하중전달에 관한 분자 동역학 전산모사 : 그래프팅 가공의 영향
Molecular Dynamics Study on Mechanical Behavior and Load Transfer of CNT/PET Nanocomposites : the Effects of Covalent Grafting 원문보기

Composites research = 복합재료, v.30 no.3, 2017년, pp.193 - 201  

진주호 (School of Energy Systems Engineering, Chung-Ang University) ,  양승화 (School of Energy Systems Engineering, Chung-A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탄소나노튜브와 폴리에스터 계면 간 그래프팅이 나노복합재의 역학적 거동과 하중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분자동역학 전산모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Mori-Tanaka 모델 예측해와 비교하였다. 각 방향으로의 인장과 전단 전산모사를 통해 응력-변형률 선도를 도출한 후, 가교 유무에 따른 탄성거동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가로등방성 강성행렬을 방향 평균하여 나노튜브가 랜덤분포하는 경우의 등방성 영률과 전단계수를 구하였다. 그 결과 가로방향 영률과 전단계수는 그래프팅 가공에 의해 향상되었으나, 길이방향 영률의 경우 나노튜브의 물성감소로 인해 오히려 물성이 저하되었다. 나노튜브의 랜덤분포를 고려한 예측 결과에서는 그래프팅 가공에 의해 물성이 약간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and the Mori-Tanaka micromechanics study a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valent grafting between CNT and polyester on the mechanical behavior and load transfer of nanocomposites. The transversely isotropic stress-strain curves are determined through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그래프팅 가공이 도입되는 경우 나노튜브와 수지 간의 계면 결합력 변화, 그래프팅 가공으로 인한 탄소나노튜브의 물성 저하 정도가 그래프팅 결합의 수에 비례하여 달라지기 때문에 연속체 미시역학 모델 예측해를 참고값으로 하여 상기한 인자의 효과를 정성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ori-Tanaka 모델[16]을 이용하여 분자동역학 전산모사에서 고려한 나노복합재의 물성을 예측하고 이를 분자동역학 전산모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와 폴리에스터 간 계면에서의 공유 그래프팅 가공에 따른 나노복합재의 물성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분자동역학 전산모사를 수행하였다. 가로등방성 단위셀 구조에 대하여 인장 및 전단 응력-변형률 선도를 도출하고 그래프팅 가공 유무에 따른 탄성계수 변화를 Mori-Tanaka (M-T) 모델[16] 예측해와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Mori-Tanaka 모델은 복합재를 구성하는 기지와 강화재그리고 강화재와 강화재 간 상호작용 효과가 기지의 변형률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기지영역의 변형률 장을 강화재가 존재하는 복합재 내 기지의 평균적 변형률 장과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약 30%의 체적분율 이하의 조건에서는 비교적 정확하게 복합재의 물성을 예측할 수 있다.
  •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그래프팅 가공은 오히려 복합재의 물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공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고려한 나노복합재 단위셀 구조는 나노튜브가 잘 분산되어 있는 상황을 가정하고 구성한 분자 모델이다. 따라서 그 래프팅 가공에 의해서 분산성이 향상 되는 점에 대해서는 별도로 고려하지 않았다.
  • 탄소나노튜브는 내부가 비어 있지만, 나노복합재 내부에 첨가되면 빈 공간 역시 나노튜브가 점유하는 체적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노튜브를 속이 꽉 찬 실린더라고 가정하고 이를 변형에너지밀도 계산과 복합재 내에서 나노튜브가 차지하는 체적분율 계산에 적용하였다.
  • 먼저, 탄소나노튜브와 폴리에스터 간 그래프팅은 나노튜브의 표면에 기능기화 된 에틸기의 최 외각 탄소와 폴리에스터 내의 탄소 중 벤젠 링에 포함되지 않는 탄소간의 공유 결합만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Fig. 2). 이후, 근접원자탐색방법을 이용하여 공유결합 형성이 가능한 원자들 간의 거리를 측정한 후 이 거리가 사전에 정의된 절단 반경(cutoff radius)보다 작게 되는 경우 인위적으로 공유결합을 형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노복합재의 물성 향상에 있어 가장 도전적이고 중요한 극복대상은? 상기한 여러 인자들 중에서도 나노복합재의 물성 향상에 있어 가장 도전적이고 중요한 극복대상은 고른 분산과 계면 특성 향상이다. 따라서 고분자 수지와 나노튜브를 직접 가교 하는 공유 그래프팅(covalent grafting) 가공 또는 나노튜브에 효과적으로 흡착될 수 있는 보조적 고분자를 도입하는 비공유 그래프팅(non-covalent grafting) 등 다양한 표면 기능기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6].
신소재 분야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연구는? 탄소나노튜브를 강화재로 첨가한 고분자 복합재가 최초로 발명된 지도 어느덧 20여년이 지났으며[1], 탄소나노튜브가 가진 물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다기능성 나노복합재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신소재 분야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탄소나노튜브가 가진 뛰어난 영률, 강도, 열전도계수, 전기전도도에도 불구하고, 초창기에 대학 연구실 수준에서 합성 및 제조되었던 나노복합재의 물성은 실망스러운 수준에 머물렀다.
최적의 강화효과를 낼 수 있는 그래프팅 비율 및 이에 따른 복합재의 거시적 물성 변화에 관한 이론적 근간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상반된 효과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한 이유는? 따라서 고분자 수지와 나노튜브를 직접 가교 하는 공유 그래프팅(covalent grafting) 가공 또는 나노튜브에 효과적으로 흡착될 수 있는 보조적 고분자를 도입하는 비공유 그래프팅(non-covalent grafting) 등 다양한 표면 기능기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6]. 비공유 그래프팅의 경우, sp2 구조를 와해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탄소나노튜브-보조적 고분자-기지로 이어지는 계면 하중전달이 반데르발스 힘에 의해 이뤄지기 때문에 뛰어난 물성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7]. 반면, 공유 그래프팅은 탄소나노튜브-기지 간 하중전달이 1차 결합인 탄소 간 공유결합에 의해 이뤄지기 때문에 비공유 그래프팅에 비해 훨씬 효과적인 계면 특성 향상이 가능하다. 그러나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탄소나노튜브의 sp2 구조를 와해시켜야 하기 때문에 탄소나노튜브의 물성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7]. 따라서 최적의 강화효과를 낼 수 있는 그래프팅 비율 및 이에 따른 복합재의 거시적 물성 변화에 관한 이론적 근간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상반된 효과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jayan, P.M., Stephan, O., Colliex, C., and Trauth, D., "Aligned Carbon Nanotube Arrays Formed by Cutting a Polymer Resinnanotube Composite," Science, Vol. 265, 1994, pp. 1212-1214. 

  2. Gojny, F.H., Wichmann, M.H.G., Kopke, U., Fiedler, B., and Shulte, K., "Carbon Nanotube-reinforced Epoxy-composites: Enhanced Stiffness and Fracture Toughness at Low Nanotube Content,"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Vol. 64, No. 15, 2004, pp. 2363-2371. 

  3. Yang, S., Yu, S., Kyoung, W., Hah, D.S., and Cho, M., "Multiscale Modeling of Size-dependent Elastic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polymer Nanocomposites with Interfacial Imperfections," Polymer, Vol. 5, No. 2, 2012, pp. 623-633. 

  4. Yang, S., Yu, S., and Cho, M., "Influence of Thrower-Sone- Wales Defects on the Interface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es by Molecular Dynamics Approach," Carbon, Vol. 5, 2013, pp. 133-143. 

  5. Qian, D., Dickey, E.C., Andrews, R., and Rantell, T., "Load Transfer and Deformation Mechanisms in Carbonnanotubepolystyrene Composites," Applied Physics Letters, Vol. 76, No. 20, 2000, pp. 2868-2970. 

  6. Spitalsky, Z., Tasisb, D., Papagelisb, K., and Galiotis, C., "Carbon Nanotube-polymer Composites: Chemistry, Processing,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Progress in Polymer Science, Vol. 35, 2010, pp. 357-401. 

  7. Liu, L., Etika, K.C., Liao K.S., Hess, L.A., Bergbreiter, D.E., and Grunlan J.C., "Comparison of Covalently and Noncovalently Fuctionalised Carbon Nanotubes in Epoxy," Macromolecular Rapid Communications, Vol 30, 2009, pp. 627-632. 

  8. Odegard, G.M., Gates, T.S., Wise, K.E., Park, C., and Siochi, E.J., "Constitutive Modeling of Nanotube-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Vol. 63, 2003, pp. 1617-1687. 

  9. Yang, S., Yu, S., Ryu, J.M., Cho, J., Kyoung, W., Han, D.S., and Cho, M., "Nonlinear Multiscale Modeling Approach to Characterize Elastoplastic Behavior of CNT/polymer Nanocomposites Considering the Interphase and Interfacial Imperfe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lasticity, Vol. 41, 2013, pp. 124-146. 

  10. Seidel, G.D., and Lagoudas, D.C., "Micromechanical Analysis of the Effective Elastic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 Reinforced Composites," Mechanics of Materials, Vol. 38, No. 8-10, 2006, pp. 884-907. 

  11. Bendsoe, M.P., and Kikuchi, N., "Generating Optimal Topologies in Structural Design Using a Homogenization Method," Computer Methods in Applied Mechanics and Engineering, Vol. 71, 1988, pp. 197-224. 

  12. Han, Y., and Elliott, J.,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of the Elastic Properties of Polymer/carbon Nanotube Composite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Vol. 39, 2007, pp. 315-323. 

  13. Wei, C.Y., Srivastava, D., and Cho, K.J., "Structural Ordering in Nanotube Polymer Composites," Nano Letters, Vol. 4, No. 10, 2004, pp. 1494-1952. 

  14. Choi, H., Jung, H., Yu, J., and Shin, E.S., "Prediction of Thermos- mechanical Behavior for CNT/epoxy Composites Using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Composites Research, Vol. 28, No. 5, 2015, pp. 260-264. 

  15. Yang, S., and Cho, M., "Scale Bridging Method to Characterize Mechanical Properties of Nanoparticle/polymer Nanocomposites," Applied Physics Letters, Vol. 93, No. 4, 2008, pp. 043111. 

  16. Qiu, Y.P., and Weng, G.J., "On the Application of Mori-Tanaka Theory Involving Transversely Isotropic Spheroidal Inclus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Science, Vol. 28, No. 11, 1990, pp. 1121-1137. 

  17. Accelrys Inc. San Francisco. 

  18. Sun, H., Mumby, S.J., Maple, J.R., and Hgler, A.T., "An abi initio CFF90 All-atom Force Field for Polycarbonates," Journal of American Chemical Society, Vol. 116, 1994, pp. 2978-2987. 

  19. Plimpton, S., "Fast Parallel Algorithms for Short-range Molecular Dynamics," Journal of Computational Physics, Vol. 117, 1995, pp.1-19. 

  20. Varshney, V., Patnaik, S.S., Roy, A.K., and Farmer, B.L., "Molecular Dynamics Study of Epoxy-Based Networks: Cross-Linking Procedure and Prediction of Molecular and Material Properties," Macromolecules, Vol. 41, No. 18, 2008, pp. 6837-6842. 

  21. Hoover, W.G., "Canonical Dynamics: Equilibrium Phase-space Distributuions," Physical Review A, Vol. 31, 1985, pp. 1695-1697. 

  22. Hoover, W.G., "Constant-pressure Equations of Motion," Physical Review A, Vol. 34, 1986, pp. 2499-2500. 

  23. Eshelby, J.D., "The Determination of the Elastic Field of and Ellipsoidal Inclusion, and Related Problems," Proceedings of Royal Society of London A, 1957, pp. 376-396. 

  24. Bhattacharya, B., and Lu, Q., "Effect of and Stone-Wales Defects on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Using Atomistic Simulation," Nanotechnology, Vol. 16, No. 4, 2005, pp. 555-566. 

  25. http://www.engineeringtoolbox.com/youn-modulus-d_417.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