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경시공과목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Students' Perception of Landscape Construction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4, 2017년, pp.92 - 103  

박재영 (오사카부립대학교 녹지보전 창성학영역) ,  권진욱 (영남대학교 산림자원 및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경은 전문 직업 분야로서 전문 인력 양성에 교육의 초점을 맞추는데, 그 중 조경시공은 조경업계의 큰 축을 담당하는 한 분야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조경시공관련 수업 개선에 대한 기초 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조경학과 학생들의 관점에서 교육현황 및 교수법 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총 348명을 대상으로 '조경시공관련 수업의 인식'의 범주 하에 14개의 문항에 대한 설문을 시행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조사결과, 학생들은 조경시공관련 수업이 학문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지하며, 학점 이수의 필요성을 가지나, 수업환경 및 과목 강의법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의 내용을 실무에 바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인식과 '조경기사 자격증 시험'에 대비한 수업의 일환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강의에 대한 요구로는 현장실습 중심의 강의와 현장실습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데, 이는 계획 설계 시공 관리로 이루어지는 인재관리형 수업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현장실습과 관련하여 '다양한 기회의 제공', '실습환경의 처우 개선' 등과 같은 환경제공의 과제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조경시공분야 교육에 관한 연구나 논의가 미진한 현실에서 학생들의 입장을 분석하고, 향후 개선방향에 대하여 논의했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한편, 4년제 대학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것에 대한 한계를 가지며, 향후 전문대학 및 대학원 교육과정의 조사를 포함한 총체적 연구와 외국 시공학 교육과정에 대한 사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professional occupation, landscape education focuses on foster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is one of the major axes of the landscape industry. In this study, a survey of landscape students on their learning and pedagogics was conducted with the aim to present basic information for th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조경시공관련 과목의 교육현황 및 교수법 등에 대한 사항을 조경학과 학생들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향후 조경시공관련 수업 개선에 대한 기초 자료 제시에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는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우선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조경시공관련 수업의 인식’이라는 범주를 설정하여 학생들이 전반적으로 조경시공관련 수업에 가지고 있는 생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그렇다면 학생들은 어떠한 강의법을 원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태 파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학생들에게 조경시공관련 수업이 어떠한 강의법이 되었으면 하는지에 대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에서 제시한 문항은 기존문헌에서 언급된 강의법을 현재의 실태에 맞추어 작성하였다.
  •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조경시공관련 과목의 교육현황 및 교수법 등에 대한 사항을 조경학과 학생들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향후 조경시공관련 수업 개선에 대한 기초 자료 제시에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 현장실습에 대해 학생들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질문하였다. 우선 ‘현장실습 프로그램이 학교에서 배우지 못한 실무적인 부분을 보완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문항은 평균값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으로 조경이란 무엇입니까? 조경시공은 문자 그대로 ‘조경(造景)’이라는 단어와 ‘시공(施工)’이라는 단어의 복합어로서 각각의 의미가 합쳐져 그 뜻을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경이라 함은 태동(胎動)에서부터 지금까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자연 경관 창출’, ‘녹지체계 구축’, ‘도시경관 연출 및 자연의 도입’, ‘환경ㆍ생태계획’, ‘생물서식환경 조성’ 등의 학문적 실천적 행동을 말하며,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이며 진화해왔다. 그러나 조경은 총체적으로 인간 삶의 정주공간으로서의 국토ㆍ도시경관 및 생태환경을 보존하고, 계획, 설계, 시공 및 감리를 연구하는 학문이며, 동시에 실천하는 종합 전문분야라 할 수 있다(Environment and L.
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교수설계를 반영한 교수이론 방법론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습니까? 이러한 환경 속에서 수업은 단순히 학습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이기보다는, 학습자들이 자신의 지식을 구축하는 과정이며, 교수는 ‘지혜로운 사람’이기보다‘학습자의 안내자 및 조정자’ 역할을 맡아야지만 원활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Chung, 1991). 이러한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을 반영한 교수이론 방법론으로서 활용가치가 높은 것은 문제기반학습(Problem Based Learning), 프로젝트 기반학습(Project Based Learning), 목표기반 시나리오(Goal Based Scenario) 등을 들 수 있다(Park et al., 1991).
측량에서 다루는 물체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측량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떤 물체에 대한 위치와 특성을 알기 위하여 해석하는 것이다. 측량에서 다루는 물체는 지표면, 지하, 수중 및 해양 등 인간 활동이 미칠 수 있는 모든 영역에 이르며, 형상, 크기, 위치 결정 등의 정량적 해석뿐 아니라, 정성적 특성까지 해석이 가능하다(Jung, 2006). 측량은 지도 제작뿐 아니라, 수학, 전자공학, 천문학, 지리학, 지질학 등 일반과학과 함께 발전해 왔으며, 특히 측지학 및 군사학의 발달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hn, C. E.(2003) The Study for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Efficiency that can be Found in Architectural Forms.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gbuk-do. Korea. 

  2. Astrid, Z.(2008) Constructing Landscape; Materials, Techniques, Structural Components. Basel, Switzerland: Brikhauser. 

  3. Bednar, A., D. Cunningham, T. Duffy and J. Perry(1992) Theory into Practice: How do we Link? In T. Duffy & D. Jonassen (Eds.), Constructivism and the Technology of Instruction.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4. Byeon, J. S., S. R. Ahn and S. H. Shin(2015) A methodology to develop a curriculum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1): 40-53. 

  5. Byeon, J. S., S. H. Shin and S. R. Ahn(2017) A methodology to develop a curriculum of landscape architecture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2): 23-29. 

  6. Catherine, T. F.(1996) Constructivism: Theory, Perspectives, and Practice. 

  7. Cho, B. G., H. N. Kim, S. H. Baek and J. J. Kim(2001) Constructivism: Theory, Perspectives, and Practice, Paju: Yangseowon. 

  8. Cho, S. H., Y. S. Kim and J. T. Rho(2012)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emergence of Korean landscape that is seen from perspective of industrialization.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No. 10: 70-84. 

  9. Choi, K. S. and S. S. Lee(2002) Landscape Structural Design Construction. Seoul: Ilchokak. 

  10. Chung, J.(1991)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ies: The design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for the emerging new school. Educational Technology 32(10): 15-22. 

  11. Cunningham, D.(1991) In defense of extremism. Educational Technology 31(9): 26-27. 

  12. Dewey, J.(1900) Psychology and social practice. The Psychological Review 7(2): 105-124. 

  13. Drucker, P.(2011) Post-Capitalist Society. New York: Routledge. 

  14. Duffy, T. and A. Bednar(1991) Attempting to come to grips with alternative perspectives. Educational Technology 31(9): 12-45. 

  15. Duffy, T. and D. Jonassen(1992) Constructivism and the Technology of Instruction: A Conversation.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16.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Foundation(2008) The Introduction, the Promotion and the Vis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E.L.A.F. 

  17. Hong, Y. S.(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curriculum for pract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1): 81-91. 

  18. Joo, S. H.(2014) Practitioner's perception of landscape education in universitie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3): 13-24. 

  19. Jung, U. S.(2012) A Comparative Study of Cost Estimate System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Korea. 

  20. Jung, Y. B.(2006) Easy-to-Understand Construction Surveying. Seoul: Kimoondang. 

  21. Kang, T. H. and W. S. Jung(2014) Landscape Materials and Cost estimate. Seoul: Kimoondang. 

  22. Kim, A. H.(2010) Students' perception of landscape design studio education.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2): 9-24. 

  23. Kim, A. H.(2015) Issues of learner-centered studio classes in landscape architectural education.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1): 139-156. 

  24. Kim, S. C.(2003) A new direction of landscape education 21C. Proceeding of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3 Autumn: 8-17. 

  25. Koo, T. S.(2012) Integrating Design Disciplines: Understanding the Potential for and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for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Ph.D. Dissertation,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Raleigh. USA. 

  26.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2016) The New Landscape Construction, Seoul: Munundang. 

  27. Kwon, S. H.(2004)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Paju: Free-Academy. 

  28. Lee, S. S.(2013) Materials for Landscape Design & Construction. Seoul: Ilchokak. 

  29. Merrill, M. D. and ID2 Research Group (1996) Instructional transaction theory: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knowledge object. Educational Technology 36(3): 30-37. 

  30. OECD(2000) Knowledge Management in the Learning Society. Paris: OECD. 

  31. Oh, C. H.(2003) A new direction of landscape education 21C. Proceeding of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3 Autumn: 19-20. 

  32. Park, J. Y.(2015) Analysis of the Factors of Design Changes and It's Conformance in Landscape Planting Construction. Ph.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33. Park, S. I., C. I. Lim, J. G. Lee and J. I. Choi(1991) Educational Technological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Methodology. Paju: Educational Science Press. 

  34. Park, W. K.(2014) Landscape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Seoul: Munundang. 

  35. Reigeluth, C.(1983)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36. Ryle, G.(2000) The Concept of Min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7. Schwab, K.(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Geneva: World Economic Forum. 

  38. Seo, U. C.(2003) A new direction of landscape education 21C. Proceeding of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3 Autumn: 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