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철 승강장 화재시 연기의 전파속도에 따른 승강장 형태별 피난시간 비교·분석 연구
A study of comparative of evacuation time by platform type according to the propagation speed of smoke in subway platform fir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19 no.4, 2017년, pp.577 - 588  

김진수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  이동호 (인천대학교 소방방재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재와 같은 상황에서 인간의 피난 행동을 실험하는 것은 경제적으로나 윤리적으로 많은 제약이 따른다. 때문에 인간의 피난행동은 기존에 보고 연구된 피난 행동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컴퓨터 성능의 발전으로 현실에 가까운 모델들이 연구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시 인간의 행동특성과 연기 전파를 모델링하여 지하철 승강장 내에서의 피난시간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하철 역사 승강장의 형태를 계단 위치에 따라 구분하여 각 승강장별 피난시간을 비교함으로써 피난효율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상대식 승강장은 섬식 승강장에 비해 평균 36.82%의 피난시간이 더 소요되며, 승강장 내의 계단 위치에 따라서는 승강장 중앙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대식 승강장이 210초, 섬식 승강장이 186초로 승강장 2/5지점과 4/5지점에 계단이 위치하는 형태가 피난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many constraints, both economically and ethically that experimenting human evacuation behavior in situations such as fire. Therefore, the evacuation behavior is simulated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In recent years, the foundation has been established as computer performance advances,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D : 밀도(person/m2) 이다.
  • 가시거리의 계산에서 화재 강도는 앞선 절의 화재 곡선을 통해 계산하였으며, 지하철 차량의 경우 단일 물질이 아닌 복합체이며 차량 화재에 대한 정량적인 데이터가 보고된 바 없으므로 유효열은 External plywood로 가정하였다(Rasbash, 1978).
  • 일반적으로 도로터널의 경우에는 20~30 MW 화재강도에서 연기발생량(80 m3/s)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나 본연구에서는 화재강도를 10 MW로 가정하였으므로 연기의 발생량은 40 m3/s 으로 하여 계산하였다(Yoo, 2006).
  • 철도차량의 화재 방출열량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으나 5-16 MW/car 범위에 있으며(Chiam, 2005) 국내 철도시설안전세부기준(Ministry of Land, 2006)에서는 철도차량에 대하여 최소 10MW 이상의 화재규모를 가정하도록 제한하고 있으므로 10 MW 화재로 가정하였다. 이에 대한 화재성장곡선을 나타내면 Fig.
  • 67 m/s 범위로 나타났다. 화재연기의 전파속도는 시간에 따라 달라지나, 본 연구에서는 화재연기의 전파속도를 0.2, 0.4, 0.6 m/s의 일정한 속도로 확산됨을 가정하여 조건으로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AS란 무엇인가? MAS는 각 에이전트에 특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전체 에이전트 안에서 서로 간섭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간의 실제 상호 작용을 재현하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도구이다(Almeida, 2013). 각 에이전트의 행동 자율성은 에이전트의 사용자가 정의한 속성 및 행동 규칙에 기반한다.
각 에이전트의 행동 자율성은 무엇에 기반하는가? MAS는 각 에이전트에 특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전체 에이전트 안에서 서로 간섭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간의 실제 상호 작용을 재현하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도구이다(Almeida, 2013). 각 에이전트의 행동 자율성은 에이전트의 사용자가 정의한 속성 및 행동 규칙에 기반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구조연구소에서 개발되어 피난 시뮬레이션으로써의 활용이 연구되었던 Artisoc v3.
재실자의 밀도는 피난자의 속도와 방향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된 바에 따르면 밀도 0.45 이하에서는 자유로운 보행이 가능하며 추월은 재실자 밀도 0.7 이상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충돌의 가능성이 생기지 않는 정도는 군중밀도가 0.33 이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日本建築??. "建築物の火災安全設計指針." (2002), pp. 145-147. 

  2. Almeida, J.E., Rosseti, R.J., Coelho, A.L. (2013), "Crowd simulation modeling applied to emergency and evacuation simulations using multi-agent systems", arXiv preprint arXiv:1303.4692. 

  3. Ando, K., Ota, H., Oki, T. (1988), "Forecasting the flow of people", Railway Research Review, Vol. 45, No. 8, pp. 8-14. 

  4. Chiam, B.H., Spearpoint, M., Fleischmann, C. (2005), "Numerical simulation of a metro train fire.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Canterbury. 

  5. Fruin, J.J. (1971), Pedestrian planning and design (No. 206 pp). 

  6. Hankin, B.D., Wright, R.A. (1958), Passenger flow in subways. OR, Vol. 9, No. 2, pp. 81-88. 

  7. Helbing, D., Molnar, P. (1995), Social force model for pedestrian dynamics. Physical review E, Vol. 51, No. 5, pp. 4282. 

  8. Hinkley, P.L. (1989), "The effect of smoke venting on the operation of sprinklers subsequent to the first", Fire safety journal, Vol. 14, No. 4, pp. 221-240. 

  9. Hong, W.H. (2004), The progress and controlling situation of Daegu Subway fire disaster. Fire Safety Science, 6, s-5. 

  10. Jang, J.S., Rie, D.H. (2012), "A Study for dispersion evacuation by behavioral characteristics based on human cognitive 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Vol. 14, No. 3, pp. 159-166. 

  11. Jin, T., Yamada, T. (1989), "Experimental study of human behavior in smoke filled corridors", Fire Safety Science, Vol. 2, pp. 511-519. 

  12. Kady, R.A. (2012), "The development of a movement-density relationship for people going on four in evacuation", Safety science, Vol. 50, No. 2, pp. 253-258. 

  13. Kawagoe, K., Saito, H. (1967), "Measures to deal with smoke problems caused by fire", J. of Japan Society for Safety Engineering, Vol. 6, No. 7, pp. 108-114. 

  14. Kim, J.S., Rie, D.H. (2016), "A comparative study on evacuation time according to guidance lighting for walkway when visibility level is dow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6, No. 3, pp. 17-22. 

  15. Kim, M., Han, Y., Yoon, M.O. (1988), "Convective smoke spread in a corridor", Fire Safety Science, Vol. 3, pp. 439-450. 

  16. Kingman, F.E.T., Coleman, E.H., Rasbash, D.J. (1953), "The products of combustion in burning buildings", Journal of Chemical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Vol. 3, No. 10, pp. 463-468. 

  17. Kong, D., Gray, D., Tao, H. (2006, August), "A viewpoint invariant approach for crowd counting", In Pattern Recognition, 2006. ICPR 2006. 1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 Vol. 3, pp. 1187-1190. 

  18.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2014),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anual draft", South Korea. 

  19. Lei, W., Li, A., Gao, R., Hao, X., Deng, B. (2012), "Simulation of pedestrian crowds' evacuation in a huge transit terminal subway station", Physica A: Statistical Mechanics and its Applications, Vol. 391, No. 22, pp. 5355-5365. 

  20. Ministry of Land. (2006), "Detailed criteria for railway facility safety", Korea. 

  21. Ministry of Land. (2013), "Guidelines for the design of urban railway stations and transit and convenience facilities", Korea. 

  22.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1998), "Study of fire safety diagnosis and evaluation in public buildings", Korea. 

  23. Nelson, H.E., Mowrer, F.W. (2002), Emergency Movement, The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ed. DiNenno P., Walton DW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24. Older, S.J. (1968), Movement of pedestrians on footways in shopping streets. Traffic engineering & control. 

  25. Park, B.J., Lee, K.H. (2012), "A study on evacuation performance for various subway station categories during acts of terror or fir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8. 

  26. Park, B.J., Park, I.G., Yoo, Y.H. (2015), "Evacuation safety analysis depending on the type of subway platform and ticket barrier",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7, No. 3, pp. 237-242. 

  27. Pauls, J. (1995), "Movement of people",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2, 3. 

  28. Rahmalan, H., Nixon, M.S., Carter, J.N. (2006), On crowd density estimation for surveillance. 

  29. Rasbash, D.J., Phillips, R.P. (1978), "Quantification of smoke produced at fires. Test methods for smoke and methods of expressing smoke evolution", Fire and Materials, Vol. 2, No. 3, pp. 102-109. 

  30. Roy, J.R. (1992), "Queuing in spatially dispersed public facilities", CSIRO. Division of Building, Construction and Engineering. 

  31. Sato, S. (1996), "Numerical simulation of 1993 southwest Hokkaido earthquake tsunami around Okushiri Island", Journal of waterway, port,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Vol. 122, No. 5, pp. 209-215. 

  32. Seo, D.G., Hwong, E.K., Kwon, Y.J. (2010), "An investigation study on the walking speed of crowd egress safety of PBD",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6, No. 12, pp. 99-106. 

  3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statistics 2016. 

  34. Togawa, K. (1955), "Study on fire escapes basing on the observation of multitude currents", Building Research Institute, Ministry of Construction. 

  35. Yoo, J.O., Kim, J.S., Rie, D.H., Shin, H.J. (2015), "The study on interval calculation of cross passage in undersea tunnel by quantitative risk assesment method",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7, No. 3, pp. 249-256. 

  36. Yoo, J.O., Nam, C.H., Jo, H.J., Kim, J.W. (2010), "A study on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for railway Tunnel fire",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2, No. 4, pp. 307-319. 

  37. Yoo, J.O., Yoon, S.W., Rie, D.H. (2006), "A study of smoke exhaust rate for the transverse ventilation with oversized exhaust ports in road tunn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1, No. 4, pp. 7-12. 

  38. Youn, H.J., Hwang, E. (2013), "A study of on the occupant movement speed during emergency evacuations for the evacuation safety assessment of domestic building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9, No. 3, pp. 332-338. 

  39. Yuhaski, S.J., Smith, J.M. (1989), "Modeling circulation systems in buildings using state dependent queueing models", Queueing Systems, Vol. 4, No. 4, pp. 319-3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