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량적 위험도 평가를 통한 열차 승강장 화재시 최적 제연모드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optimal smoke control mode in train platform through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24 no.6, 2022년, pp.539 - 552  

이보훈 ((주)주성지앤비) ,  홍서희 ((주)주성지앤비) ,  백두산 ((주)주성지앤비) ,  이호형 ((주)주성지앤비)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열차 정거장의 경우 연기배출이 제한된 지하공간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적절한 제연 설비가 갖추어지지 않는다면 화재 발생시 화재연기로 인한 피해가 확대될 우려가 있다. 이에 지하 정거장의 대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의 필요성이 부각되었으며, 화재시 승강장 이용객의 안전한 대피를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열차 승강장에는 제연 경계벽과 PSD (Platform Screen Door)등에 의해 제연구역을 구획하여 제연설비를 설치하고 있으나, 화재시 제연구역별 제연방법(급기 또는 배기) 즉, 제연모드에 관한 기준은 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열차 정거장 화재시 제연모드에 따른 화재위험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화재해석 및 대피해석을 수행하여 사망자수를 추정하고 F/N선도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최적 제연모드를 검토한 결과, 화재 구역 배기 및 인접구역 급기인 경우에 총 위험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ase of train stations, due to the specificity of underground spaces with limited smoke emissions, if appropriate removal equipment is not equipped, the damage caused by fire smoke may increase in the event of a fire. As a result, the need for measures to ensure the safety of evacuation of un...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11)

  1. Bartlett, N. (2012), Optimization of smoke control systems in underground subway stations, Master thesis submitted in the Erasmus Mundus Study Programme, Ghent University, pp. 60-62. 

  2. Both, K., Haack, A. (2004), "Present-day design fire scenarios and comparison with test results and real fires: structures & equipment",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Symposium, Safe & Reliable Tunnels, Innovative European Achievements, Praque, Czech Republic, p. 73-86. 

  3. BSI (2003), Application of fire safety engineering principles to the design of buildings - Part 7: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PD 7974-7. 

  4. Kim, H.G., Yoo, J.O., Kim, D.Y. (2018), "A study on the optimal ventilation and smoke exhaust systems in case of fire in subway stations installed with PSD",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20, No. 2, pp. 527-539. 

  5. KTA (2015), Metropolitan high-speed rai (Suseo-Pyeongtaek) roadbed construction design - Research report for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criteria, Korea Rail Network Authority, Dejeon, Korea. 

  6. McKeen, P. (2016), Computational modeling of fire safety in metro-stations, Bachelor of Architectural Science, Ryerson University, Toronto, Ontario, Canada, pp. 10-12. 

  7. Molag, M., van Mierlo, R., Wiersma, T. (2001), "Realistic fire scenarios for safety assessments of train fires in tunnels",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afety in Road and Rail Tunnels, Madrid, Spain, pp. 171-180. 

  8. NFA (2017), Performance-oriented design methods and standards for fire fighting facilities, etc, National Fire Agency. 

  9. Railway Safety Research Group (2011), Guideline for fire safety evaluation of railway tunnel, pp. 4-21. 

  10. Rie, D., Ryu, J. (2020), "Sustainable urban planning technique of fire disaster prevention for subway", Sustainability, Vol. 12, No. 1, p. 372. 

  11. Rie, D.H. (2003), "A study on safety evaluation by changing smoke ventilation mode in subway tunnels",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5, No. 4, pp. 389-4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