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전보건관리자가 인식하는 효과적인 사업장 안전보건교육 내용과 방법에 관한 다차원적 분석
Multidimensional Analyses on Effective Contents and Methods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erceived by Safety and Health Managers at Workplace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2 no.4, 2017년, pp.89 - 99  

박경옥 (이화여자대학교 융합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afety and health managers' perceptual maps on the effective educational contents and its methods of workplace safety and health education. Self-administered survey was successfully conducted to 582 workers who were 339 in manufacturing, 68 in construction,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결과와 그와 관련된 논의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교육을 수행하는 안전보건관리자의 응답자료를 기초로 하였기 때문에 제공자 입장의 결과이다. 물론 현장 교육은 학습자인 근로자의 요구와 의견을 많이 반영하며 안전보건관리자의 근로자에 대한 이해가 높지만 제한적이므로 근로자 입장의 조사가 함께 수행될 때 결과에 대한 보다 높은 신뢰도를 확보할 수있다.
  • 본 연구는 사업장에서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안전보건교육의 내용 및 방법 요구도를 조사하고 실제적 요구도의 인식 특성을 구조적, 종합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시도된 단면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결과와 그와 관련된 논의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교육을 수행하는 안전보건관리자의 응답자료를 기초로 하였기 때문에 제공자 입장의 결과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사업장내 안전보건관리자가 인식하는 효과적인 안전보건교육의 특성을 교육내용과 교육 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특성들을 보편적인 속성으로 정리, 해석하므로써 사업장 안전보건교육에 효과 적인 교육내용과 방법의 실제적인 활용 근거를 보완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조사에 앞서 설문응답의 자발성과 응답자료에 대한 개인정보보호에 대해 설명하고 응답자료가 연구를 위한 목적으로 집합적인 형태로만 활용될 것을 부연하였다. 또한 조사의 목적과 내용, 그리고 응답 방법에 대해 안내한 후 자발적인 참여 협조를 구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의 효과는 무엇인가? 교육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전략 중에서 근로자 측면의 인적 위험 요인을 감소시키는 가장 근본적인 중재방법으로서, 환경과 여건에 따라 계획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1) . 사업장 안전보건교육은 주로 재해 발생과 관련된 근로자의 인식과 행동을 개선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실천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다루는데 2) , 최근 국내외 사업장 안전보건사업들이 건강증진 및 생산성 향상과 같은 조직 효율과도 긍정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그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3) .
안전보건관리자의 한계는 무엇인가? 그런데 실제 안전보건관리자들의 대다수는 전반적인 사내 안전보건관리를 위해 고용되었거나 사업장내 다른 업무에 배치되었다가 고용주에 의해 임명되어 안전보건관리업무를 겸직하고 있어서 현장 경험은 풍부하지만 이 경험들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대한 실제적, 이론적 조망이 필요하다. 특히 방법과 매체에 대해 지속적인 현장의 요청에 따라 안전보건공단과 위탁교육기관이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여왔지만 사업장 단위에서는 여전히 안전보건관리자의 재량에 맡겨져 있어서 개선된 이해와 지원이 요구된다.
사업장 안전보건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사례는 무엇이 있는가? 사업장 안전보건교육은 주로 재해 발생과 관련된 근로자의 인식과 행동을 개선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실천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다루는데 2) , 최근 국내외 사업장 안전보건사업들이 건강증진 및 생산성 향상과 같은 조직 효율과도 긍정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그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3) . 정책적으로도 1987년 2.66%이던 산재율이 1998년 외환위기 직전까지 0.68% 수준으로 감소하였지만 외환위기 극복을 위한 기업활동 규제완화 조치의 일환으로 사업장 안전보건관리자 교육 의무가 삭제되면서 산재율이 다시 증가했던 바 있다 4) . 이는 사업장 내 안전보건관리 및 교육에 대한 규제 변화와 산업재해 발생 간의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여준 것으로 산재예방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고 있다 5)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L. W. Green and M. W. Kreuter, "Health Program Planning: An Educational and Ecological Approach (4th ed)", New York, NY: McGraw Hill. pp. 1-7, 2005. 

  2. M. S. Lee and K. Park, "Workplace Safety Education and Manageme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in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 32, No. 1, pp. 75-83, 2006. 

  3. Y. Yi, H. Jung, D. Cho and B. Lee, "Impact of Subsidies for Labor and Management-directed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n Industrial Accidents Preven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2, No. 3, pp. 249-256, 2013. 

  4. 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4 Occupational Injury Statistics", Government Complex Seojong. pp. 1-20, 2015. 

  5. J. C. Kang and S. R. Chang, "Promoting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0, pp. 143-147, 2005. 

  6.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Cited 2017 May 5] Available from:http://www.law.go.kr/lsSc.do?menuId0&subMenu1&query%EC%82%B0%EC%97%85%EC%95%88%EC%A0%84%EB%B3%B4%EA%B1%B4%EB%B2%95#undefined 

  7. K. Park, "Organizat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Safety and Health Managers' Educational Needs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42, pp. 41-52, 2016. 

  8. J. H. Yoon, "Advanced Evaluation of Government Programs for Occupational Accident Prevention (V)", Woolsan: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pp. 18-38, 2015. 

  9. Q. Williams, M. Ochsner, E. Marshall, L. Kimmel and C. Martino, "The Impact of a Peer-led Participatory Health and Safety Training Program for Latino Day Laborers in Construction", Journal of Safety Research, Vol. 41, pp. 253-261, 2010. 

  10. E. S. Wallen and K. B. Mulloy, "Computer Based Safety Training: An Investigation of Methods",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Vol. 62, pp. 257-262, 2005. 

  11. Korea Ministry of Labor, "2007 Occupational Injury Statistics", Gwacheon, 2008. 

  12. Y. Y. Kim,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its Improvement Direction for Small and Medium Sized Industry (OSHRI 2004-101-596)", Incheon: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04. 

  13.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2006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end Survey", Incheon: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07. 

  14. Y. K. Baek, S. R. Han, J. S. Park, J. K. Kim, M. S. Choi, H. S. Byun and et al, "Educational Method and Technology (4th ed.)", Seoul: Hakjisa, 2015. 

  15. G. G. Gilbert, "Health Education: Creating Strategies for School and Community Health (2nd ed)", Burlington, MA: Jones & Bartlett Learning, 2000. 

  16. S. E. Smaldino, D. L. Lowther and J. D. Russell,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Media for Learning (8th)", NJ: Pearson Education, 2005. 

  17. Korea Association of University Public Health Education, Health education methods (2nd ed.), Seoul: Hanmi Medical Publishing Co. pp. 60-62, 2012. 

  18. Y. K. Song, "Educational Method and Technology for Continuing Education Society", Seoul: Educational Academy Publishing Co, 2011. 

  19. G. B. Park, "Multidimensional Scaling", Seoul: Kyoyook Book, pp. 13-81, 2000. 

  20. H. S. Lee and J. H. Lim, "SPSS 12.0 Manuals: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and Interpretations", Paju: Bobmunsa, pp. 444-464, 2006. 

  21. S. S. Schiffman, M. L. Reynolds and F. W. Young, "Introduction to Multidimensional Scaling: Theory, Methods, and Applications", Orlando, FL: Academic Press, 1981. 

  22. B. S. Everitt and G. Dunn, "Advanced Methods of Data Exploration and Modelling", London: Heinemann Educational Books, 1983. 

  23. L. Borg and P. Groenen, "Modern Numtidimensional Scaling: Theory and Applications", New York, NY: Springe, 1997. 

  24. J. B. Kruskal, "Multidimensional Scaling by Optimizing Goodness-of-fit to a Nonmetric Hypothesis", Psychometrika, Vol. 29, pp. 1-27, 1964. 

  25. S. H. Kim and M. S. Bang,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Special Safety Health Training System and Countermeasures in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 16, No. 10, pp 29-35, 2014. 

  26. K. Park,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Workplace and its Quality Improvement Strategies (OSHRI 2007-77-983)", Incheon: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07. 

  27. S. Yoo, J. JeKarl, and H. Kim, "Trends of Workplace Health Promotion Models and Strategies", Health and Social Science, Vol. 39, pp. 25-47, 2015. 

  28.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The 4th National Health Plans (2016-2020)",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29. C. Woo and T. K. Oh,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Basic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9, No. 3, pp. 46-55, 2014. 

  30. J. Y. Jung and H. J. Yu, "A Study for Construction Workers'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Education Activation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8, No. 1, pp. 47-51, 2013. 

  31. S. H. Lee, D. Y. Jung and Y. M. Lee,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Industrial Disaster Prev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3, pp. 1069-1076, 2012. 

  32. J. Lee, J. Park, K. Park and H. Kim, "Health Education", Seoul: Koonja Publishing Co. pp. 178-186, 2012. 

  33. M. J. Burke, S. A. Sarpy, K. Smith-Crowe, S. Chan-Serafin, R. O. Salvador and G. Islam, "Relative Effectiveness of Worker Safety and Health Training Method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96, No. 2, pp. 315-324, 2006. 

  34. C. S. Kim and C. K. Song, "Improvement on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through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ol. 6, No. 3, pp. 15-21, 2003. 

  35. I, Yu, W. Yu and Z. Li,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ory Training on Reduction of Occupational Injuri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Vol. 68, pp. A24-A25, 2011. 

  36. S. Yi, J. Yi, Y. Koo and K. Yi, "Instruc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 Communication, Instructional Design and Utilization of Technologies (3rd ed.)", Seoul: Kyoyook Book, pp. 80-83,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