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 참여도와 관련된 교육·생태학적 요인 - PRECEDE 모델을 기반으로 -
Educational and Ec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Workers' Participation to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t Work - Based on the PRECEDE Model -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1 no.6, 2016년, pp.74 - 83  

박경옥 (이화여자대학교 융합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and ecological factors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associated with workers' participation to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t work (SHEW) based on the PRECEDE constructs. A total of 590 workers (484 in manufacturing and 106 in construc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련하여 본 연구의 표본상의 제한점을 추가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 대상자 분포 상의 제한점과 함께, 건설업의 대상자 수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해서 업종별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지 못하고 전체 표본으로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참여도와 관련된 특성을 산출 하는데 그쳤다.
  • 따라서 본 연구는 PRECEDE 모델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일부 제조업과 건설업 근로자들의 사업장 안전보건교육 참여도와 관련된 교육 및 생태학적 특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는 PRECEDE 모델의 진단요인들을 기초로 근로자의 사내 안전보건교육 참여도와 관련된 교육 · 생태학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RECEDE 모델이란? PRECEDE 모델은 잘 알려진 지역사회 기반의 건강 증진 기획 모델로서, 건강행동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교육 및 생태학적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포함하 고 있어서 지역사회 건강 및 안전중재 프로그램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10). PRECEDE 모델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진단(assessments) 단계는 최적의 안녕상태를 의미하는 삶의 질(quality of life) 진단이 1단계이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2단계 역학적(epidemiological) 진단과 3단계 교육․생태학적 진단 요소들이 중재 프 로그램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된다.
역학적 진단의 2개부분은? PRECEDE 모델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진단(assessments) 단계는 최적의 안녕상태를 의미하는 삶의 질(quality of life) 진단이 1단계이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2단계 역학적(epidemiological) 진단과 3단계 교육․생태학적 진단 요소들이 중재 프 로그램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된다. 역학적 진단은 다시 두 단계로 나뉘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상태 요소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역학적 요소로서 유전, 행동, 환경적 특성진단이 포함된다. PRECEDE 모델을 기반으로 본 연구가 산업안전을 궁극적인 지향점으로 둘 때 사업장 안전 또는 무재해 상태를 PRECEDE의 2단계인 건강상태 요소에 적용하고 사업장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다음 단계의 역학적 요소 중 행동요소에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 참여행동을 설정하면 모델에 근거하여 나머지 역학적 진단 특성을 고려한 상태에서 참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 및 생태학적 특성들을 진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규명된 유의미한 특성들 은 실제적으로 사내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참여 증진을 위한 내용(contents)과 방법(methods)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안전과 건강관련 역 학적 수준에 업종간 차이가 없었던 것은 일부 응답 편향(response bias) 측면에서 생각해보면? 안전과 건강관련 역 학적 수준에 업종간 차이가 없었던 것은 일부 응답 편향(response bias) 측면에서 고찰해볼 수 있다. 응답자의 소속사업장을 비롯한 개인정보가 모두 보안된다고 하 여도 보수를 받는 근로자는 일반적으로 건강상 문제가 적은 점(healthy worker effect)과 사업장내 안전보건 문제나 개인의 사고와 질병관련 이력에 대해 가능한 긍 정적으로 응답하려는 심리적 경향이 작업환경이나 근무여건 차이에 따른 사고와 질병관련 응답 편차를 희석하였을 수 있다. 본 연구의 초점이 역학적 특성보다 는 교육․생태학적 특성에 맞추어져 있기는 하지만 이 면에서 조사방법상의 제한점이 검토되며, 향후 연구목적과 그 중요성에 따라서 질적 조사의 병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OSHA. "Small Business Handbook: Small Business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eries",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Labor (OSHA 2209-02R 2005), pp. 8-12, 2005. 

  2. 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4 Occupational Injury Analysis", 2015. 

  3. J. G. Lee, S. W. Ryu and S. K. Seo, "A Study on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for Improving the Worker's Safety Awaren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6, No. 6, pp. 90-96, 2011. 

  4. M. S. Lee and K. O. Park, "Workplace Safety Education and Manageme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in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 32, No. 1, pp. 75-83, 2006. 

  5. W. Bridges and R. Tew, "Human Factors Elements Missing from Process Safety Management (PSM)", Process Improvement Institute Inc, 2010. 

  6. J. B. Baek, M. Uhm and J. S.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Safety Behaviors and Safety Climate in Chemical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0, No. 5, pp. 100-107, 2015. 

  7. K. O. Park,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Workplace and Its Quality Improvement Strategies", Puche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OSHRI),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2007-77-983), pp. 3-5, 2007. 

  8. A. Neal and M. A. Griffin, "A Study of the Lagged Relationships Among Safety Climate, Safety Motivation, Safety Behavior, and Accidents at the Individual and Group Level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91, No. 4, pp. 946-953, 2006. 

  9. K. O. Park, "Organizat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Safety and Health Managers' Educational Needs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Vol. 42, No. 1, pp. 41-52, 2016. 

  10. L. W. Green and M. W. Kreuter, "Health Promotion Planning: An Educational and Ecological Approach (4thed)", New York, NY: McGraw-Hill. pp. 9-17, 146-189, 2005. 

  11. OSHRI, "2006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tus Survey", Incheon: KOSHA, 2007. 

  12. G. D. Gilmore, L. K. Olsen, A. Taub and D. Connell, "Overview of the National Health Educator Competencies Update Project, 1998-2004", Health Education & Behavior, Vol. 32, No. 6, pp. 725-732, 2005. 

  13. M. Kim, "Preliminary Study on the National Examination and Question Management of the Health Education Specialist Credentialing", Seoul: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2009. 

  14.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Cited 2016 April 19]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Sc.do?menuId0&subMenu1&query%EC%82%B0%EC%97%85%EC%95%88%EC%A0%84%EB%B3%B4%EA%B1%B4%EB%B2%95#undefined 

  15. H. S. Lee and J. H. Yim. "SPSS 12.0 manual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Paju, Kyunggi: Bobmunsa, pp. 338-362, 2006. 

  16. R. C. MacCallum, K. F. Widaman, K. J. Preacher and S. Hong. "Sample size in factor analysis: The role of model error".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 36, No. 4, pp. 611-637, 2001. 

  17. D. C. Howell, "Fundamental Statistic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8thed)", Belmont, CA: Cengage Learning, pp. 198-211, 2014. 

  18. J. Cohen and P. Cohen, "Applied Multiple R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p. 60-61, 116-125, 1983. 

  19. L. A. Linnan, G. Sorensen, G. Colditz, N. Klar and K. M. Emmons, "Using Theory to Understand the Multiple Determinants of Low Participation in Worksite Health Promotion Programs". Health Education & Behavior, Vol. 28, No. 5, pp. 591-607, 2001. 

  20. C. Woo and T. K. Oh,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Basic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9, No. 3, pp. 46-55, 2014. 

  21. J. F. Sallis and N. Owen, Ecological models of health behaviorpproach. In (Eds) Glanz K., Rimer B. K. and Viswanath K. "Health Behavior: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5th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p. 43-64, 2015. 

  22. A. Neal, M. A. Griffin and P. M. Hart,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limate on Safety Climate and Individual Behavior", Safety Science, Vol. 34, pp. 99-119, 2000. 

  23. S. Clarke and K. Ward, "The Role of Leader Influence Tactics and Safety Climate in Engaging Employees' Safety Participation", Risk Analysis, Vol. 26, No. 5, pp. 1175-1185, 2006. 

  24. O. J. Kwon,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afeness of Work Environment in Manufacturing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4, No. 5, pp. 79-83, 2009. 

  25. K. Moon, J. Lee and S. Oah, "The Effects of Safety Leadership of Manager and Safety Climate in the Organization on the Workers' Safety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8, No. 2, pp. 66-72, 2013. 

  26. S. Cohen, L. G. Underwood and B. H. Gottlieb, "Social Support Measurement and Intervention",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pp. 70-93, 2000. 

  27. M. S. Lee, K. O. Park and K. H. Yi. "Management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and Safety Education in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3, No. 3, pp. 121-140,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