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집중치료실에서 지속적 뇌파검사의 뇌파 패턴 분석
Analysis of the Continuous Monitored Electroencephalogram Patterns in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49 no.3, 2017년, pp.294 - 299  

김천식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중첩성 뇌전증을 발견하고, 처음 기록된 30분 뇌파 패턴을 통하여 경련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국제표준 10~20법을 통하여 전극을 부착하였다. 2014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중환자실에 입원한 경련 의심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뇌파의 패턴은 주기적 방전파, 전반적 주기적 방전파, 버스트 억제파, 초점 뇌전증파, 비대칭 배경파, 전반적 서파, 삼상성 형태의 일반화 된 주기적 방전파 등 7 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원인별 분류는 5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다. 전체 128명 중 평균 나이는 $56.9{\pm}17.5$였고, 남:여 비율은 74:54명이였다. 평균 뇌파검사 기간은 $5.5{\pm}5.1$일 이었고 최장 33일 이였다. 주기적 방전파(N=7), 전반적 주기적 방전파(N=10), 버스트 억제파(N=6), 초점 뇌전증파(N=19), 비대칭 배경파(N=24), 전반적 서파(N=51), 3상 형태의 일반화 된 주기적 방전파(N=11)이었다. 중첩성 뇌전증 환자의 원인은 원발성 증상성(N=4), 급성원발성 증상성(N=9), 급성 증상성(N=6), 진행성 뇌병증(N=2), 열성경련(N=1)이었다. 지속적 뇌파모니터링 검사는 중첩성 뇌전증을 발견하는데 유용한 검사이고, 뇌파 패턴을 통하여 경련 발생 유무를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ct the status of epilepticus and seizure based on the initial patterns observed in the first 30 minutes of continuous electroencephalogram (cEEG) monitoring. An cEEG was recorded digitally using electrodes appli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10~20 System. The EE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집중치료실에서 경련이 의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경련발생 유무와 사망률 및 경련 유발 원인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제한된 이동식 뇌파 장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초기 30분 이내의 뇌파 패턴을 분석하여 뇌파검사 기간을 단축하거나 지속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집중치료실에서 경련이 의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경련발생 유무와 사망률 및 경련 유발 원인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제한된 이동식 뇌파 장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초기 30분 이내의 뇌파 패턴을 분석하여 뇌파검사 기간을 단축하거나 지속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집중치료실에서 지속적 비디오뇌파검사를 시행하는 목적은 뇌기능의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여 중첩성 뇌전증 또는 비발작성 중첩성 뇌전증 환자들에게 적절한 약물선택과 농도 조절로 최대한 빠른 시간에 경련을 종료시키는데 있다. 지속적 비디오 뇌파검사의 경우 최소 4시간에서 수일간 검사가 지속되는 검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속적 비디오뇌파검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지속적 비디오뇌파검사는 환자의 상태를 비디오로 기록하면서 뇌파를 동시에 기록할 수 있어서 중첩성 또는 비발작성 중첩성 뇌전증 환자[2], 경련이나 비정상적인 이상행동, 진정 중 뇌파의 변화, 뇌졸중, 뇌압 상승으로 인한 코마상태 유지 약물조절, 발작의 빈도측정, 의식의 변화 등을 진단하는데 매우 유용한 검사이다[3]. 집중치료실에서 최초로 경련이 발생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지속적비디오 뇌파검사를 24시간 기록시 88%, 48시간 기록시 93%의 환자에서 경련파를 찾을 수 있었다는 보고가 있다[4].
중첩성 뇌전증은 어떤 상태를 말하는가? 집중치료실에서 최초로 경련이 발생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지속적비디오 뇌파검사를 24시간 기록시 88%, 48시간 기록시 93%의 환자에서 경련파를 찾을 수 있었다는 보고가 있다[4]. 지속적으로 30분 동안 경련이 발생하거나 그 이상 계속되는 발작 상태를 중첩성 뇌전증이라고 하며, 이는 응급질환이고 신경학적으로 심한 장애 발생과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다. 중첩성 뇌전증 환자의 사망률은 22%, 비발작성 중첩성 뇌전증 환자는 48%로 사망률이 매우 높은 질환으로 보고되고 있다[5-7].
집중치료실에서 지속적 비디오뇌파검사를 통해 경련파를 찾을 수 있는 확률은 얼마인가? 지속적 비디오뇌파검사는 환자의 상태를 비디오로 기록하면서 뇌파를 동시에 기록할 수 있어서 중첩성 또는 비발작성 중첩성 뇌전증 환자[2], 경련이나 비정상적인 이상행동, 진정 중 뇌파의 변화, 뇌졸중, 뇌압 상승으로 인한 코마상태 유지 약물조절, 발작의 빈도측정, 의식의 변화 등을 진단하는데 매우 유용한 검사이다[3]. 집중치료실에서 최초로 경련이 발생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지속적비디오 뇌파검사를 24시간 기록시 88%, 48시간 기록시 93%의 환자에서 경련파를 찾을 수 있었다는 보고가 있다[4]. 지속적으로 30분 동안 경련이 발생하거나 그 이상 계속되는 발작 상태를 중첩성 뇌전증이라고 하며, 이는 응급질환이고 신경학적으로 심한 장애 발생과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Pandian JD, Cascino GD, So EL, Manno E, Fulgham JR. Digital video-electroencephal-ographic monitoring in the neurological- 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 clinical features and outcome. Arch Neurol. 2004;61(7):1090-1094. 

  2. Amantini A, Carrai R, Lori S, Peris A, Amadori A, Pinto F. et al.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in adult and pediatric intensive care. Minerva Anestesiol. 2012;78(9):1067-1075. 

  3. Herman ST, Abend NS, Bleck TP, Chapman KE, Drislane FW, Emerson RG. et al. Consensus statement on continuous EEG in critically ill adults and children, part I: Indications. J Clin Neurophysiol. 2015;32(2):87-95. 

  4. Claassen J, Mayer SA, Kowalski RG, Emerson RG, Hirsch LJ. Detection of electrographic seizures with continuous EEG monitoring in critically ill patients. Neurology. 2004;62(10): 1743-1748. 

  5. Treiman DM, Meyers PD, Walton NY, Colling C, Rowan AJ, Handforth A. et al. A comparison of four treatments for generalized 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Veterans Affairs Status Epilepticus Cooperative Study Group. N Engl J Med. 1998; 339(12):792-798. 

  6. DeLorenzo RJ, Waterhouse EJ, Towne AR, Boggs JG, Ko D, DeLorenzo GA. et al. Persistent non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after the control of 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Epilepsia. 1998;39(8):833-840. 

  7. Brophy GM, Bell R, Claassen J, Alldredge B, Bleck TP, Glauser T. et al.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status epilepticus. Neurocrit Care. 2012;17(1):3-23. 

  8. Claassen J, Jette N, Chum F, Green R, Schmidt M, Choi H,Jirsch J. et al. Electrographic seizures and periodic discharges after intracerebral hemorrhage. Neurology. 2007;69(13):1356-1365. 

  9. Vespa PM, Nuwer MR, Nenov V, Ronne-Englstrom E, Hovda DA, Bergsneider M. et al. Increased incidence and impact of nonconvulsive and convulsive seizure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as detected by continuous electroencephalographic monitoring. J Neurosurg. 1999;91(5):750-760. 

  10. Claassen J, Mayer SA, Kowalski RG, Emerson RG, Hirsch LJ. Detection of electrographic seizures with continuous EEG monitoring in critically ill patients. Neurology. 2004;62(10): 1743-1748. 

  11. Maytal J, Shinnar S, Moshe S, Alvarez LA. Low morbidity and mortality of status epilepticus in children. Pediatrics. 1989; 83(3):323-331. 

  12. Bernard SA, Jones BM, Horne MK. Clinical trial of induced hypothermia in comatose survivor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nn Emerg Med. 1997;30(2):146-153. 

  13. Badjatia N, Kowalski RG, Schmidt JM, Voorhees ME, Claassen J, Ostapkovich ND. et al. Predictors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shivering during therapeutic normothermia. Neurocrit Care. 2007;6(3):186-191. 

  14. Plestis KA, Loubser P, Mizrahi EM, Kantis G, Jiang ZD, Howell JF. Continuous elec -troencephalographic monitoring and selective shunting reduces neurologic morbidity rates in carotid endarterectomy. J Vasc Surg. 1997;25(4):620-628. 

  15. Jordan KG. Neurophysiologic monitoring in the neuroscience intensive care unit. Neurol Clin. 1995;13(3):579-626. 

  16. Towne AR, Waterhouse EJ, Boqqs JG, Garnett LK, Brown AJ, Smith JR. et al. Prevalence of non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in comatose patients. Neurology. 2000;54(2):340-345. 

  17. Shafi MM, Westover MB, Cole AJ, Kilbride RD, Hoch DB, Cash SS. Absence of early epileptiform abnormalities predicts lack of seizures on continuous EEG. Neurology. 2012;79(17):1796-1801. 

  18. Trinka E, Hofler J, Zerbs A. Causes of status epilepticus. Epilepsia. 2012;53(4):127-138. 

  19. Osorio I, Reed RC. Treatment of refractory generalized tonic- clonic status epilepticus with pentobarbital anesthesia after high-dose phenytoin. Epilepsia. 1989;30(4):464-471. 

  20. Sahin M, Menache CC, Holmes GL, Riviello JJ. Outcome of severe refractory status epilepticus in children. Epilepsia. 2001;42(11):1461-14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