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수동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패션디자인 개발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Development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 of Seongsu-dong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9 no.4, 2017년, pp.373 - 384  

이서도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염미선 (성신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on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fashion industry ecosystem of Seongsu area based on the creativity which is the driving force of economic growth in the 21st century. This study reviewed the major activities and processes of Seongsu-dong's reg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수동의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경제의 입지 선정을 분석하기 위해 마케팅적으로 외부환경을 분석하는 거시환경에 근거하여 정치·경제적, 기술적, 사회·문화적 요인의 3가지 분류 기준에 따라 성수동의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였다(Yoo, 2017).
  •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패션디자인과는 달리 성수지역의 생산 환경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종사자들의 가치를 담은 소셜패션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성수동의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패턴 및 디자인에 반영함으로써 지역의 대표 브랜드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성수 소셜 패션 프로젝트에 기여하였다. 또한 서울시는 2018년까지 성수동에 패션잡화 협업 제작 및 판매공간인 성수 사회적 경제 패션 클러스터를 조성예정이며, 성수 소셜 패션 프로젝트의 참가자 및 수상자로서 입점의 기회가 주어짐에 따라 성수동의 지역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또한 연구자가 실제 성수 사회적 경제 특구 육성 사업인 2016 성수 소셜 패션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하여 사회적 경제 패션 관련 교육을 수료함으로써 성수동 산업현장의 모습이나 사회문제를 소재로 성수동 장인이라는 디자인 콘셉트를 도출하여 성수동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모티프로 텍스타일 패턴을 만들어 패션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따라서 성수동의 지역적 특성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패션디자인 작품 총 8착장을 제작함으로써 성수 지역의 지속가능한 패션산업 생태계 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 컬러는 준공업 지역이라는 성수동의 낙후되고 빈티지한 이미지를 내추럴하면서도 세련되게 표현하고자 미국의 색채연구소 팬톤이 선정한 2017 S/S 시즌 트렌드 컬러 중 하나인 #4-1315 헤이즐넛(Hazelnut)을 메인 컬러로 사용하였다. 또한 성수동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총 8벌의 패션디자인은 오늘날 성수동에 유입되고 있는 창조성을 갖춘 젊은 세대들의 현대적인 감성에 초점을 맞춰 성수동 준공업 지역의 낙후된 환경을 빈티지함으로 탈바꿈하여 현대적인 감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콘셉트에서는 성수동의 변화해가는 사회·문화적 현상을 표현하고자 오래되고 투박한 남성적인 느낌을 주는 성수동의 전통적인 2차 산업과 오늘날 젊고 창조적인 감성의 유연한 느낌을 주는 3차 산업을 여성적인 느낌으로 작품에 반영하였다.
  • kr)를 활용하였다. 또한 연구자가 실제 성수 사회적 경제 특구 육성 사업인 2016 성수 소셜 패션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하여 사회적 경제 패션 관련 교육을 수료함으로써 성수동 산업현장의 모습이나 사회문제를 소재로 성수동 장인이라는 디자인 콘셉트를 도출하여 성수동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모티프로 텍스타일 패턴을 만들어 패션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따라서 성수동의 지역적 특성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패션디자인 작품 총 8착장을 제작함으로써 성수 지역의 지속가능한 패션산업 생태계 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패션디자인과는 달리 성수지역의 생산 환경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종사자들의 가치를 담은 소셜패션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성수동의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패턴 및 디자인에 반영함으로써 지역의 대표 브랜드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성수 소셜 패션 프로젝트에 기여하였다.
  • 이에 따라 서울시는 사회적 경제 패션의 중심지이자 상생협력의 지역 발전 모델, 성수라는 비전으로 지속 가능한 패션산업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설정하여 사회적 경제 패션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사회적 경제 패션의 중심지를 조성하고자 한다. 성수 사회적 경제 패션 클러스터 조성 사업은 Fig. 3의 2016 성수소셜 패션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세부적으로는 Fig. 4의 사회적경제 패션 기술창업학교를 설립하고 Fig. 5의 사회혁신 디자인경진대회 및 패션쇼를 개최하여 지속 가능한 패션산업을 추구하는 대안적 관점을 가진 인재와 기업을 양성, 발굴하는데 목적이 있다.
  • 8의 14-1315 헤이즐넛(Hazelnut)을 메인 컬러로 사용하였다. 이는 준공업 지역이라는 성수동의 낙후되고 빈티지한 이미지를 내추럴하면서도 세련되게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이외에도 17-3914 TPG 샤크스킨(Sharkskin)과 19-3918 TPG 페리스코프(Peris cope)와 같이 푸른빛이 도는 그레이컬러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전통적인 지역 경제에서 창조적인 경제로 탈바꿈하고 있는 성수동의 트렌디한 변화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 서울시가 정의한 사회적 경제 패션산업이란 의류, 패션잡화, 생활소품 등 디자인 및 제작 분야의 사회적 경제 기업과 그 외 패션을 통한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패션디자이너 및 봉제 노동자의 노동환경 개선 및 신진 인재의 육성과 등용 기회 확대, 친환경, 재활용, 공정무역 원자재 사용 및 제작, 유통, 소비의 과정에서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산업을 말한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사회적 경제 패션의 중심지이자 상생협력의 지역 발전 모델, 성수라는 비전으로 지속 가능한 패션산업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설정하여 사회적 경제 패션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사회적 경제 패션의 중심지를 조성하고자 한다. 성수 사회적 경제 패션 클러스터 조성 사업은 Fig.
  • , 2015). 이에 따라 서울시는 제조업 비중이 높은 4개 구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성장률이 높은 우세산업과 성장산업을 분석하여 정책적으로 지원하고자 한다(Choi et al., 2015). 서울시의 분석에 따르면, 성동구 제조업 사업체는 성수동이 가장 높은 분포를 보이며 수제화 및 패션잡화 등의 제조산업을 우세·성장산업으로 성수동의 발전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Choi et al.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수동의 지역 특화 산업과 성수 사회적 경제조직의 패션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주요 활동을 살펴보고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며, 이를 토대로 성수동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패션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성수 지역의 지속 가능한 패션산업 생태계 마련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에 정부는 지역 산업 육성정책을 통해 산업클러스터를 구축하여 단순한 균형 발전 정책이 아닌 지역의 자생적 혁신 능력을 제고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한다(Yoon & Lee, 2004).
  • 이와 같이 사회적 경제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공동체 구축을 통한 고용 창출 효과를 나타내고자 정부의 경제 위기 극복에 대한 해결책으로 등장하였으며, 더 나아가 창조적 공동체 형성이 경제적 성장을 촉진시키는 현상에 주목하여 지역 내 사회적 기업과 문화예술 집단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티를 조성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경제는 어떻게 규정되는가?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는 사회를 뜻하는 Social과 경제를 뜻하는 Economy가 합쳐진 용어로 지역사회경제와 관련하여 사용된다(Karl Polanyi Institute Asia [KPIA], 2015). 사회적 경제는 조직의 성격이나 운영원칙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며, 각 나라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에 따라서도 조금씩 다르게 규정되고 있다.
사회적 경제는 무엇인가?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는 사회를 뜻하는 Social과 경제를 뜻하는 Economy가 합쳐진 용어로 지역사회경제와 관련하여 사용된다(Karl Polanyi Institute Asia [KPIA], 2015). 사회적 경제는 조직의 성격이나 운영원칙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며, 각 나라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에 따라서도 조금씩 다르게 규정되고 있다.
성수동의 지역적 특성은 어떻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는가? 성수동의 지역적 특성은 정치·경제적, 기술적, 사회·문화적 요인에 따라 네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자동차 정비업, 인쇄, 섬유, 피혁, 수제화 산업이 밀집되어 있는 대표적인 준공업 지역이라는 지역성이 나타났다. 두 번째는 개발 제약으로 인한 저렴한 임대료 형성이라는 입지성이 나타났으며, 세 번째는 수제화 산업의 내부 완결적 산업 생태계 집적이라는 밀집성이 나타났다. 네 번째로는 문화·예술인에 의해 복합문화유통 공간이 조성되는 복합성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정치·경제적, 기술적, 사회·문화적 요인에 따라 성수동의 지역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성수동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모티프로 텍스타일 패턴을 만들었으며, 성수동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총 8벌의 패션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2017 S/S Pantone Trend Color I'. (n.d.). Pantone. Retrieved May 4, 2017, from http://pantone.kr/ColoroftheYear2017.html 

  2. '2017 S/S Pantone Trend Color II'. (n.d.). Live-design. Retrieved May 4, 2017, from http://www.live-design.ru/pantone2017/ 

  3. 'A large-scale complex will be built in Janganpyeong after the residence of a sales agent and an auto repair shop scattered in the city'. (1978, April 29). The Kyunghyang Sinmun. Retrieved March 13, 2017, from http://newslibrary.n 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8042900329206001&editNo2&printCount 1&publishDate1978-04-29&officeId00032&pageNo6&printNo10025&publishType00020 

  4. Bok, D. K., Koh, Y. S., Ko, J. M., Kwon, O. H., Kim, D. G., Park, Y. K., & Sim, S. M. (2003). Survival strategy of Korean industry and regional strategy, Cluster. Seoul: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5. Chae, J. H., & Choi, J. K. (2012). A study on the role of social economy for activation of local community: Focused on the case of Italian social cooperativ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14(3), 195-225. 

  6. Choi, B., Kim, M. H., & Kim, J. H. (2015). Status and prospect of small scale manufacturing area in Seoul. Seoul: Seoul Research Institute. 

  7. Conseil Wallon de l'Economie Sociale. (1990). Rapport a l'xecutif regional wallon sur le secteur de l'economie sociale. France: Namur. 

  8. 'Diagnosis of the Citizens' Economy in Seoul in the fourth quarter of 2016'. (2017, February 6). Seoul special city. Retrieved March 13, 2017, from http://eco nomy.seoul.go.kr/officialeconomy/policynationaleconomy 

  9. Do, U. S. (2005). Challenges for local cultural industry development for local development-From the perspective of the cluster of cultural industries-. Journal of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9-46. 

  10. 'Five-million thousand pyeong industrial park'. (1939, March 8). Dong-A Ilbo. Retrieved March 13, 2017, from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9030800209102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39-03-08&officeId00020&pageNo2&printNo6301&publishType00010 

  11. 'Handmade craftsman's hand I'. (2013, December 11). Pressian. Retrieved May 4, 2017, from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0 9966 

  12. 'Handmade craftsman's hand II'. (2015, June 20). Retrieved May 4, 2017, from http://m.naeil.com/m_news_view.php?id_art155085 

  13. 'Jacques Defourny's Social economy concept map'. (2010, January 1).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Retrieved April 4, 2017, from http://www.socialenterprise.or.kr/notice/docu_books.do?board_codeBO04&category_idCA 06&seq_no1812&modeview 

  14. Jane, J. (2004). Cities and the wealth of nations (E. K. Suh, Trans.). Seoul: Nanam Publishing House. (Original work published 1985) 

  15. Jang, M. J. (2016a). A social network analysis on cooperation network typology of the Changshindong fashion cluster in Seou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6. Jang, W. B. (2007).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social economy: Issues and tasks. Journal of Civil Society & NGO, 5(2), 11-43. 

  17. Jang, Y. S. (2016b). A study on recycling and activation of semiindustrial district in Seoul metropolit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8. Jeong, G. Y. (2013). It is now a social economy. Gyeonggi: Knowledge Community. 

  19. Joung, J. Y. (2017, May 17). Seongdong is getting younger. Sports Hankooki. Retrieved March 13, 2017, from http://sports.hankooki.com/lpage/economy/20170 5/sp20170517150014137010.htm 

  20. Jung, J. W. (2016). Research on employment in Korean designer fashion industry.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8(3), 282-288. doi:10.5805/SFTI.2016.18.3.282 

  21. Kang, H. J., & Kim, J. Y. (2014). Promotion of regional activation using Seongsu-dong shoe street. Journal of Global Cultural Contents Association, 11, 50-55. 

  22. Karl, P. (2009). The Great Transformation (G. V. Hong, Trans.). Seoul: Book publication Gil. (Original work published 2001) 

  23. Karl Polanyi Institute Asia. (2015). A study on social economic thought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 Seoul: Social Economic Support Center. 

  24. Kim, E. Y., Koo, Y. M., Kwon, H. I., Ahn, T. K., Ahn, S. H., Yi, O. Y., Lee, J. U., Choe, I. C., & Han, S. K. (2016). Hybridity and diversity of social economy. Seoul: Purungil. 

  25. Kim, H. S. (2014a). Conside ration on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Seongsoo industrial complex in Seoul - Focusing on handmade shoes and auto maintenance & repair. Journal of Seoul Studies, 57, 1-29. 

  26. Kim, J. B. (2008). Studi sul caso delle politiche di rinnovo e sviluppo territoriale: "La Terza Italia" e ERVET. Journal of Associazione Coreana Di Letteratura e Linguistica Italiana, 23, 43-86. 

  27. Kim, J. B. (2014b). Cultural-political analysis of the fashion in Korea. Seoul: Hakmin Publishers. 

  28. Kim, J. M. (2016c, May 2). Seongsu-dong, Yeonnam-dong, and Iksun-dong are new cultural districts in Seoul. Maeil Business Newspaper. Retrieved March 13, 2017, from http://news.mk.co.kr/newsRead.php?no318025&year2016 

  29. Kim, K. H. (2016a, September 22). Early execution budget of 7.2 trillion won and invest 1941 billion won in all of our efforts to save the economy. Moneytoday. Retrieved March 13, 2017, from http://news.mt.co.kr/mtview.php?no201612221124463102&outlink1&ref%3A%2F%2F 

  30. Kim, S. H. (2015).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pontaneous urban revitalization of Ttukseom area: Focus on uses and urban fabric.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1. Kim, S. H. (2016b). The Seoul social economy: A study of performance measurement and policy evaluation. Seoul: Seoul Research Institute. 

  32. Kim, U. R. (2017, January 3). Shoe manufacturing in Sungsu-dong area. Future Heritage Seoul. Retrieved March 13, 2017, from https://futureheritage.seoul.go.kr/web/archive/base PdfList.do?sc&sv%EC%84%B1%EC%88%98%EB%8F%99 

  33. Ko, D. H., Lee, J. Y., Moon, M. S., & Han, S. (2016). Social economy and social value the old future of capitalism. Gyeonggi: Hanul Publishing Group. 

  34. Lee, J. Y. (2015). A case study of design governance in cultural industry clus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6(6), 457-470. 

  35. Lee, U. R. (2016). The analysis of network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s and its impact on local community: Focusing on social venture valley in Seongsu-dong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36. Lee, H. N. (2014). Changes in cultural activities in urban manufacturing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7. Nahm, K. B., & Jang, W. H. (2016). Small is beautiful: Elements of the regional industrial ecosystems of Seongsu hand-made shoe industries, Seoul, Korea. Journal of The Geographical, 50(2), 197-210. 

  38. Park, J. G. (2003). Study of young CEO. Seoul: Nexusbook. 

  39. Park, J. H. (2015).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local industry by industrial cluster policy: Focused on the shoe industry specialized district at Seongsu-do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40. Park, J. I. (2011a, June 26). Seongsu-dong 2 turns into a futuristic complex space. The Asia Economy Daily. Retrieved March 13, 2017, from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62609545729435 

  41. Park, R. H. (2005). An analysis of the agglomeration characteristics and innovative milieu of the shoemaking industry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0(6), 653-670. 

  42. Park, W. S. (2011b). Real property location theory. Seoul: Yang Hyunsa. 

  43. 'Principle of local problem solving through social economy'. (2017, January 4). Seoul Information Communication Plaza. Retrieved April 29, 2017, from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0806482?tr_codeopen 

  44. Richard, F. (2002). CREATIVE CLASS (G. T. Lee, Trans.). Seoul: The Electronic Times. (Original work published 2002) 

  45. 'Selection of semi-industrial districts five areas including Siheung and Kimpo'. (1970, September 12). Maeil Business Newspaper. Retrieved March 13, 2017, from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0101200099203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0-10-12&officeId00009&pageNo3&printNo1412&publishType00020 

  46. 'Seoul City fosters 4,000 social economy companies in 2017'. (2017, March 9). Seoul Special City. Retrieved March 13, 2017, from http://spp.seoul.go.kr/main/n ews/news_report.jsp#view/30636?tr_codesnews 

  47. 'Seoung-su Social Fashion Competition'. (2016). SSFP. Retrieved April 29, 2017, from https://www.social-fashion.org/notice/?pageid1&uid100&moddocument 

  48. 'Seoung-su Social Fashion Project'. (2016, November 3). SSFP. Retrieved January 10, 2014, from https://www.social-fashion.org 

  49. Sim, S. D., Kang, M. J., Rha, J. Y., Yang, D. J., Yang, Y. H., & Lee, W. J. (2015). Social economic outlook and possibility. Seoul: Edit-the-world. 

  50. 'Social Economy'. (n.d.) OECD. Retrieved April 28, 2017, from http://www.oecd.org/cfe/leed/social-economy.htm 

  51. 'Social Economy'. (n.d.) Seoul social economy portal. Retrieved March 13, 2017, from http://sehub.net/policy 

  52. 'Social Economy Fashion Technology Entrepreneurship School'. (2016, September 12). SSFP. Retrieved April 29, 2017, from https://www.social-fashion.org/notice/?pageid3&uid47&mod_document&moddocument 

  53. Son, D. W. (2004). Venture regional innovation cluster. Insheon: Inha University Press. 

  54. 'The printing shop that ordered to relocation to redevelopment allow to be installed in the downtown'. (1984, May 23). Maeil Business Newspaper. Retrieved March 13, 2017, from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5230009921101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4-05-23&officeId00009&pageNo11&printNo5605&publishType00020 

  55. 'The Social and Solodarity Economy'. (2014, November 3). ILO. Retrieved April 28, 2017, from http://www.ilo.org/empent/Publications/WCMS_175515/lang-en/index.htm 

  56. Yoo, S. K. (2017). Start up on off marketing. Seoul: Park Young-sa. 

  57. Yoon, Y. D. (2014). Future enterprise success keywords AQ artistic quotient. Seoul: Iasobook. 

  58. Yoon, Y. G., & Lee, J. H. (2004). A study on local industry development and regional innovation system. Seoul: Korea Development Institut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