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외선 센서와 압력센서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보행보조신발
Walking Assistive Shoes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Infrared Sensor and Pressure Sensor 원문보기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11 no.2, 2017년, pp.147 - 156  

양창민 (전북대학교 헬스케어공학과) ,  정지용 (전북대학교 바이오메디컬공학부) ,  김정자 (전북대학교 바이오메디컬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각장애인의 보행보조도구인 흰 지팡이는 보행에 필요한 정보인 장애물의 유무를 직접 접촉해야만 인식할 수 있으며 지면의 낮은 장애물을 탐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보행보조도구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개발된 도구들의 외형과 높은 가격으로 인해 많이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센서와 압력 센서, 진동 모터를 사용하여 두 가지 유형의 보행보조신발을 제작하였다. 두 가지 유형의 보행보조신발은 장착된 적외선 센서의 개수에 따라 단일 센서 (SS)와 이중 센서 유형(DS)으로 분류하였다. 유효성 평가를 위해 장애물이 배치된 공간에서 보행 보조 신발과 흰 지팡이를 가지고 보행할 때 나타나는 보행 소요 시간과 충돌 횟수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개발된 보행보조신발 사용 시 지팡이에 비해 소요시간이 증가하였으나 충돌 횟수는 감소하였다. 또한, 보행보조신발 사용 시 흰 지팡이에 비해 이동시간과 충돌횟수가 더욱 크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개발된 보행보조신발이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 환경을 제공하고 새로운 형태의 보행보조도구에 적응하는 시간을 감소시키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hite cane, walking assistive device of visually impaired person, has disadvantages for acquiring the information by contacting obstacles directly and detecting low obstacle on the ground. Recently, new devices have been developing to solve these problems, but these were not widely used due to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ETA 형태의 시각장애인용 보행보조신발을 개발하였다. 기존에 개발된 시각장애인용 보행보조 도구들은 시각장애인들이 타인의 시선에 의한 열등감을 가질 수 있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지 못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시각장애인의 일상적인 보행을 보조할 수 있는 새로운 ETA 형태의 시각장애인용 보행 보조신발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보행 보조신발은 보행에 제약을 주지 않기 위해 최소한의 부품과 작은 부품만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추후 신발 외부에 장착된 적외선 센서를 신발 내부로 삽입하여 일반신발과의 외형차이를 제거할 수 있다.
  • 개발된 시각장애인용 보행 보조도구는 시각장애인이 사용에 있어 어려움을 겪지 않고 타인의 시선에 대한 열등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착용하는 신발에 적용하였다. 시각장애인의 보행보조신발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보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주변의 지면 장애물을 감지하여 시각장애인의 보행보조기기로써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보행보조신발과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선 흰 지팡이와 같이 사용자 전방의 지면탐지 기능을 할 수 있으며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갑피에 한 개의 적외선 센서를 전방을 향하도록 장착한 신발(Single sensor, SS)과, SS에 비해 필요한 모듈이 더 많고 전원의 소모가 더 크지만 보행의 안정성을 보완하고 장애물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도록 신발 갑피에 두 개의 적외선 센서를 전방과 측방을 향하도록 장착한 신발(Double sensor, DS)을 제작하였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흰 지팡이를 대신하여 사용자 주변의 지면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ETA 형태의 시각장애인용 보행보조신발을 개발하였다. ETA 형태는 RTA 형태에 비해 사용자의 외형 변화를 적게 발생시킬 수 있고 저가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의 접근성이 더 높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선택하였다.
  • 또한 제작된 보행 보조신발은 신발에 장착된 센서가 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이 직접 접촉하여 장애물의 유무를 판단해야 하는 흰 지팡이에 비해 보행 중 양 손을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향후 실제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실험하여 실생활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와 본 논문의 실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에 본 논문에서는 흰 지팡이를 대신하여 사용자 주변의 지면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ETA 형태의 시각장애인용 보행보조신발을 개발하였다. ETA 형태는 RTA 형태에 비해 사용자의 외형 변화를 적게 발생시킬 수 있고 저가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의 접근성이 더 높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선택하였다. 개발된 시각장애인용 보행 보조도구는 시각장애인이 사용에 있어 어려움을 겪지 않고 타인의 시선에 대한 열등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착용하는 신발에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각장애인의 보행보조도구인 흰 지팡이의 단점은 무엇인가? 시각장애인의 보행보조도구인 흰 지팡이는 보행에 필요한 정보인 장애물의 유무를 직접 접촉해야만 인식할 수 있으며 지면의 낮은 장애물을 탐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보행보조도구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개발된 도구들의 외형과 높은 가격으로 인해 많이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ETA 형태의 특징은 무엇인가? 그러나 ETA 형태보다 이동성이 떨어진 다는 단점이 있다. ETA 형태는 RTA 형태와 달리 스스로 이동하여 진행경로를 파악하고 안내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여 장애물을 파악해야 하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인 ETA 형태로는 흰 지팡이에 거리감지 센서를 장착한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오늘날 개발된 첨단 보행 보조도구의 형태 중 하나인 RTA형태란 무엇인가? 개발된 장비들은 RTA(Robotic Travel Aids) 형태와 ETA(Electronic Travel Aids) 형태로 나눌 수 있다. RTA 형태는 혼자 이동할 수 있으며, 주로 시각장애인의 전방에 위치하여 안전한 보행을 위해 스스로 장애물을 감지하여 길 안내를 하는 시각장애인용 보행보조 로봇이다. 로봇은 지면을 따라 바닥에 붙어 이동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로봇의 무게를 부담하지 않아도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Ji-Young Jung and Mee-Ae Lee, "Current Status of Digital Braille Music and Policy Proposa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8, pp . 51-57, 2015. 

  2. Shurug Al-Khalifa and Muna Al-Razgan, "Ebsar: Indoor guidance for the visually impaired", Computers and Electrical Engineering, vol. 54, pp. 26-39, 2016. 

  3. C. G. Kim, M. N. Choi and B. S. Song, "Development of a Voice Compass Device to Guide the Person who are Blind",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ol. 1, no. 1, pp. 7-11, 2007. 

  4. D. H. Jeon, J. U. Jeon, H. H. Beak and M. K. Moon, "Situation-awareness White Cane Using a Mobile Devic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19, no. 11, pp. 167-173, 2014. 

  5. S. M. Han, "Development of Tactile Display for the Blind in Japan",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ol. 4, no. 1, pp. 63-70, 2010. 

  6. Alexander Fiannaca, Ilias Apostolopoulous, and Eelke Folmer E, "Headlock: A wearable navigation aid that helps blind cane users traverse large open spaces", Proceedings of the 16th International ACM SIGACCESS Conference on Computers & Accessibility, NY, USA, pp. 19-26, October, 2014. 

  7. Jong-Hwa Lee, "A study on the determinants that affect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 pp. 503-514, 2015. 

  8. Taehee Kim, Cheulwoo Ro and Jangwon Yoon, "Development of smart stick using motion sensing and GPS elderly users' safe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4, pp. 45-50, 2016. 

  9. J. H. Lee, E. S. Lee and B. S. Shin, "A System with Efficient Managing and Monitoring for Guidance Device",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vol. 5, no. 4, pp. 187-194, 2016. 

  10. I. P. Oh, A. R. Baek, J. A. Kwon, H. J. Park, S. O. Sohn and H. J, Choi, "A Study on Improvement of Assistive Device for Low Vision: Focused on the Use of Smart Assistive Device and Mobile Application", PROCEEDINGS OF HCI KOREA 2016, pp. 198-205, Jeongsun-gun, South Korea, 2016. 

  11. Woo-Ho Kim, Bo-Jun Seo and Jae-Moon Lee, "A study on the parents' recognition of school enterise convergence by type of disabil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4, pp. 89-97, 2015. 

  12. Cheng-Lung Lee, Chih-Yung Chen, Peng-Cheng Sung and Shih-Yi Lu, "Assessment of a simple obstacle detection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pplied Ergonomics, vol. 45, no. 4, pp. 817-824, 2014. 

  13. G. M. Rhee, J. H. Lee and D. O. Kim, "Case Study on Service Delivery from Rental, Modification and Customized the Applications of Assistive De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ol. 5, no. 1, pp. 125-132, 2011. 

  14. C. G. Kim and J. M. Seo, "A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Navigat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Based on Smart Mobile Device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5, no. 1, pp. 24-30, 2015. 

  15. Jae-Hoon Yi, "Kinetic analysis of the lower limb in visual handicap children",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9, pp. 3952-3958,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