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에 관한 종단적 연구 - 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 보호의 비교 -
Longitudinal Study on Care Satisfaction of Children in Out-of-Home - Comparison among Residential Care Centers, Group Homes, and Foster Homes -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9 no.3, 2017년, pp.97 - 119  

이상정 (이화여자대학교) ,  강현아 (숙명여자대학교) ,  노충래 (이화여자대학교) ,  우석진 (명지대학교) ,  전종설 (이화여자대학교) ,  정익중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정외보호 서비스는 그 유형에 따라 서비스의 질과 만족도에 많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의 대표적 가정외보호 유형인, 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 서비스를 비교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으로부터 보호 서비스를 받고 있는 49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5년간 보호 만족도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더 나아가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 변화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층모형 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룹홈 아동의 보호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가정위탁, 아동양육시설 순이었다. 둘째,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그리고 가정외보호 서비스 유형이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 변화 궤적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가정외보호 적응을 돕고 보호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s been no studies that compare services of residential care centers, group homes, and foster homes although out-of-home care services differ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types of out-of-home care. This study compared care satisfaction of 481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centers, group h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이란 무엇인가? 가정은 아동이 태어나서 가장 처음으로 속하게 되는 사회체계로서, 아동에게 적절한 보호를 제공하여 아동이 건강한 하나의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환경이다(김경희ᆞ반정호, 2005). 그러나 부모의 사망, 이혼, 학대, 빈곤 등의 이유로 부모나 가족이 아동을 양육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혹은 아동의 신체적ᆞ정신적 문제, 사회적 일탈행위, 정서적 혼란 등의 이유로 부모로부터 분리가 필요한 경우, 부모와 가정을 대체할 사회적 보호 서비스가 요구된다.
가정외보호 서비스 유형 중 하나인 아동육아시설에대한 아동복지법 규정은 무엇인가? 아동복지법 제52조는 아동양육시설을 아동을 입소시켜, 보호, 양육 및 자립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본적인 의식주 기능을 위한 생활서비스, 건강 교육과 훈련, 상담의 기능을 하기 위해 상담ᆞ훈련서비스, 지역사회나 주민들과의 관계 속에서 아동의 욕구가 충족될 수 있도록 지역연계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9).
가정위탁이란 무엇인가? 가정위탁은 아동복지법 제3조에 성범죄, 가정폭력, 아동학대, 정신질환 등의 전력이 없으며, 아동복지법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가정에 보호대상아동을 일정기간 위탁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16b). 보호 및 양육을 희망하는 가정에서 교육을 받고 요보호아동을 위탁 양육하여 가정적인 분위기에서 건전한 사회인으로의 성장을 돕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특히 2세 미만의 요보호 아동의 경우, 가정위탁으로 우선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강기정.정은미, 2003, "그룹홈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자기성장 집단성장 프로그램 효과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11): 171-187. 

  2. 강희정.공마리아.최은영. 2016, "집단미술치료가 가정위탁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12(2): 127-160. 

  3. 권세은.이순형, 2002, "시설보호 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 정서조망 능력의 비교", 한국아동학회지, 2: 107-120. 

  4. 김경희.반정호, 2005, "대체가정 서비스 유형에 따른 아동의 발달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시설보호 아동과 위탁가정보호 아동의 입양 전 신체적 발달을 증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19: 107-139. 

  5. 김숙경, 2007, "그룹홈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성장훈련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아동복지연구, 5(2): 1-21. 

  6. 김지영.서영숙, 2002, "가정위탁모의 가정위탁보호에 관한 인식 및 만족도 연구", 아동연구, 15(2): 1-23. 

  7. 노혜련.장정순, 1998, "육아시설아동의 심리사회적 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4: 45-67. 

  8. 노충래.박근혜.서지원., 2009, "위탁아동의 가정위탁만족도에 관한 연구: 가정위탁 유형의 개인, 위탁 부모 및 서비스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2: 155-185. 

  9. 보건복지부, 2009, 아동청소년복지시설의 개선방안. 

  10. 보건복지부, 2016a, 아동복지시설 현황. 

  11. 보건복지부, 2016b, 아동분야 사업안내. 

  12. 석주영.안옥희.박인전, 2003, "시설보호 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의 특성 및 상호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6): 15-26. 

  13. 석주영.안옥희.박인전, 2004, "시설보호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지능 및 유머감 각이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3(2): 237-250. 

  14. 양심영, 2003, "가정위탁서비스의 보호형태별 특성과 위탁아동의 적응에 관한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1(5): 131-148. 

  15. 윤진아, 2010, "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와의 애착이 청소년기 또래애착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이배근, 1989, "가정위탁보호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 대만의 가정위탁보호제도를 중심으로" 동광, 86: 69-88. 

  17. 이송이, 1999, "가정위탁보호 양육 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4(2): 43-62. 

  18. 정선욱, 2002, "시설보호 청소년의 원가족 관계 경험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14: 145-168. 

  19. 정원철.이화명, 2013,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가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20(4): 175-197. 

  20. 정원철.이화명, 2014,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시설 적응 영향 요인", 청소년학연구, 21(3): 243-265. 

  21. 정익중.전종설.우석진.강현아.이정애, 2012, "그룹홈과 아동양육시설의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Blinder-Oaxaca 분해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3(4): 107-127. 

  22. 중앙가정위탁지원센터, 2016, "연도별 요보호아동 발생 및 조차현황", http://www.fostercare.or.kr/data/data_02.php?BoardModeview&UID628&CurrentPage1&searchKey&SEL_FIRST_WORD 

  23. 하승민.임동호, 2006, "아동복지생활시설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아동복지연구, 4(1), 145-171. 

  24.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 협의회, 2016, "2016년 아동공동생황가정 현황(2015년 12월 31일 기준) 자료", http://www.grouphome.kr/pages/page_28.php?act_moduleboard_board_2&act_typeread&sn9130&page1 

  25. Brooks, D. and Barth, R. P., 1998,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drug-exposed and nondrug-exposed children in kinship and non-relative foster car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16(2): 85-106. 

  26. Bickel, R., 2007, Multilevel Analysis for Applied Research: It's just Regression!, New York: Guilford Press. 

  27. Buckner, J. C., Mezzacappa, E., and Beardslee, W. R., 2003, "Characteristics of resilient youths living in poverty: The role of self-regulatory processe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5(1): 139-162. 

  28. Chapman, M. V., Wall, A., and Barth, R. P., 2004, "Children's voices: the perceptions of children in foster care",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4(3): 293. 

  29. Collins, M. E., Spencer, R., and Ward, R., 2010, "Supporting youth in the transition from foster care: Formal and informal connections", Child Welfare, 89(1): 125-43. 

  30. Courtney, M. E., Terao, S., and Bost, N., 2004, Midwest Evaluation of the Adult Functioning of Former Foster Youth: Conditions of Youth Preparing to Leave State Care, Chapin Hall Center for Children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31. Courtney, M. E. and Zinn, A.(2009, "Predictors of running away from out-of-home care", Children & Youth Services Review, 31(12): 1298-1306. 

  32. Courtney, M. E., Piliavin, I., Grogan-Kaylor, A., and Nesmith, A., 2001, "Foster youth transition to adulthood: a longitudinal view of youth leaving care", Child Welfare, 80(6): 685-717. 

  33. Daining, C. and DePanfilis, D., 2007, "Resilience of youth in transition from out-of-home care to adulthood",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9: 1158-1178. 

  34. Delfabbro, P. H., Barber, J. G., and Bentham, Y., 2002, "Children's satisfaction with out-of-home care in South Australia", Journal of Adolescence, 25(5): 523-533. 

  35. Dunn, D. M., Culhane, S. E., and Taussig, H. N., 2010, "Children's appraisals of their experiences in out-of-home car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2(10), 1324-1330. 

  36. Enders, C. K., 2001, "A primer on maximum likelihood algorithms available for use with missing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8, 128-141. 

  37. Edmond, T., Auslander, W., Elze, D., and Bowland, S., 2006, "Signs of resilience in sexually abused adolescent girls in the foster care system", Journal of Child Sexual Abuse, 15(1): 1-28. 

  38. Fanshel, D., Finch, S. J., and Grundy, J. F., 1990, Foster Children in a Life Course Perspective,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39. Festinger, T., 1983, No One ever Asked us-A Postscript to Foster Care,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40. Fox, A., Berrick, J. D., and Frasch, K., 2008, "Safety, family, permanency, and child well-being: What we can learn from children", Child Welfare, 87(1): 63-90. 

  41. Gunnar, B. and Grotevant, A., 2000, "International adoption of institutionally reared children: Research and polic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2: 677-693. 

  42. Graham, J. W., 2009, "Missing data analysis: Making it work in the real world".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0, 549-576. 

  43. Heck, R. H., Thomas, S. L., and Tabata, L. N., 2011, Multilevel and longitudinal modeling with IBM SPSS. Taylor & Francis Group, New York. 

  44. James, S., 2011, "What works in group care?: A structured interview of treatment models for group homes and residential car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3: 308-321. 

  45. Johnson, P. R., Yoken, C., and Voss, R., 1995, "Family foster care placement: The child's perspective", Child Welfare, 74(5): 959-974. 

  46. Jones, L., 2013, "The family and social networks of recently discharged foster youth".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16(3): 225-242. 

  47. Kang, H., Chung, I. J., Chun, J., Nho, C. R., and Woo, S., 2014, "The outcomes of foster care in South Korea ten years after its foundation: A comparison with institutional car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9: 135-143. 

  48. Lee, R., Chun, J., Chung, I., Kang, H., Nho, C. R., and Woo, S., 2017, "Kinship foster care and school adjustment: Evidence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children in out-of-home care in South Korea", Child Youth Care Forum, 46(3): 335-356. 

  49. Lee, S. J., 2016, "Independent Living Programs and Changes in Resilience of Transition-age Foster Care Youth",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Doctoral Dissertation. 

  50. Lee, T. S., Hahm, C. H., and Lee, Y. K., 1997, Small-scale Child Welfare Centers. Seoul: Human and Welfare Books. 

  51. Leve, L. D., Harold, G. T., Chamberlain, P., Landsverk, J. A., Fisher, P. A., and Vostain, P., 2012, "Practitioner review: Children in foster car-vulnerabilities and evidence-based interventions than promote resilience processe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53(12): 1197-1211. 

  52. Minty, B., 1999, "Annotation: Outcomes in long­term foster family car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0(7): 991-999. 

  53.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2, "Administration on children, youth and families", Child maltreatment 2000: Reports from the States to the National Child Abuse and Neglect Data Systems. 

  54. West, S. G., Finch, J. F., and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56-75,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edited by Hoyle, R. 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55. Wilson, L., and Conroy, J., 1999, Satisfaction of Children in Out-of-Home Care. In Family Foster Care in the Next Century, New Brunswick, USA and London, UK: Transaction Publishers. 

  56. Yates, T. M., and Grey, I. K., 2012, "Adapting to aging out: Profiles of risk and resilience among emancipated foster youth",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4(02): 475-4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