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삼농축액 함유 유화액의 유화특성에 관한연구
Emulsifying Properties of Concentrated Red Ginseng Extract: Influence of Concentration, pH, NaCl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4 no.3, 2017년, pp.504 - 514  

류관모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장현호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이의석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이기택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홍순택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홍삼농축액의 유화특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홍삼농축액의 표면활성능을 조사하였으며, 이어서 홍삼농축액 유화액을 제조하고 이의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홍삼농축액의 물/기름 계면에서 계면장력은 홍삼농축액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였다. 홍삼농축액을 이용하여 유화액을 제조한 결과, 첨가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유화 지방구 크기는 감소하였으며, 홍삼농축액 농도가 3.5 wt% 이상일 경우 일정한 지방구 크기($d_{43}$$0.39{\mu}m$)의 안정한 유화액을 형성하였고, separation analyzer($LUMiFuge^{(R)}$)를 이용한 유화안정도 평가 결과에서도 이와 유사한 안정도 변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홍삼농축액 유화액 중 지방구 크기는 pH 및 NaCl 농도변화에 의존하였는데, pH가 감소함에 따라 지방구 크기는 증가하고 음의 제타전위 값[-67.0 mV (pH 9.0) ${\rightarrow$ + 2.1 mV (pH 2.0)]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NaCl 농도(0.1 M ${\rightarrow$ 0.5 M)가 높을수록 지방구 크기는 증가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홍삼농축액의 유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mulsifying properties of concentrated red ginseng extract (CRGE). First, we determined the interfacial tension of CRGE at the oil-water interface. Second, oil-in-water emulsions were prepared with CRGE and then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홍삼농축액의 표면활성 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홍삼농축액으로 안정화된 수중유적형 유화액을 제조하며, pH 변화 및 NaCl 첨가 등의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홍삼 유화액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인삼 및 홍삼의 생리 기능적 특성 외에 천연물 유화제로서의 사용가능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삼농축액의 농도가 증가하면 계면장력은 낮아지다가 0.1 wt% 이상의 농도에서는 일정한 값을 가지는 원인은 무엇인가? 1 wt% 이상의 농도에서는 일정한 값(≒ 14 mN/m)을 나타났다. 이는 소수성과 친수성 부분을 모두 가지고 있는 홍삼농축액의 진세노사이드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홍삼농축액을 이용하여 유화액을 제조한 결과, 첨가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지방구 크기는 감소하였으며, 유화액 중 홍삼농축액 농도가 3.
홍삼은 무엇인가? Meyer)의 뿌리를 말린 것을 말하며 수천 년 동안 약재로 사용되어왔다[7]. 홍삼은 수삼을 수증기 또는 기타방법으로 증숙한 다음 건조한 것을 말하며, 가공과정 중 유용 성분들인 진세노사이드, panaxytiols,anaxadiols, 산성다당체 등이 증가하여 암 예방작용, 암세포성장 억제작용[8,9], 혈압강화 작용[10], 면역기능조절작용[11], 항산화능[12] 등 유용한 생리기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인삼 및 홍삼의 대표적인 화학성분은 사포닌(saponin)으로 진세노사이드라고 부르며, 1971년 일본의 Nagai 등[13]이 진세노사이드-Rg1의 화학구조를 최초로 구명한 이래 지금까지 백삼과 홍삼으로부터 30여 종의 진세노사이드가 보고되고 있다.
유화 제품에서 지방구의 특성은 무엇을 결정하는가? 수중유적형(oil-in-water) 유화액 제조공정은 각종 가공식품, 영양보충식, 의약품 및 화장품 등의 제조에 널리 이용되는 공정 중 하나이다[1]. 이러한 유화 제품에서 지방구의 특성은 제품의 외형, 조직감(texture), 입속느낌(mouthfeel) 및 맛과 같은 물리화학적, 관능적 성질을 부여한다[2]. 일반적으로 유화액은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시스템으로 지방구 표면에 흡착된 유화제는 물/기름 사이의 계면막을 형성하고 계면(표면)장력을 낮추어 일정기간 동안 유화 안정성을 부여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D. J. McClements, "Emulsion design to improve the delivery of functional lipophilic components", Annu. Rev. Food Sci. Technol. 1(1), 241-269, (2010). 

  2. D. J. McClements. Food emulsion: principles, practices, and technique, 3nd ed., p.100-105, Boca Raton, FL, USA, (2016). 

  3. E. Dickinson. An introduction to food colloid, eds., p.1-29,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1992). 

  4. M. Shields, R. Eills, BR. Saunders, "A creaming study of weakly flocculated and depletion flocculated oil-in-water emulsions". Colloid Surf. A, 178(1), 265-276, (2001). 

  5. L. Kralova, J. Sjoblom. "Surfactants used in food industry: a review". J. Dispers. Sci. Technol., 30(9), 1363-1383, (2009). 

  6. O. Guclu-Ustundag, G. Mazza. "Saponins: properties, applications and processing". Crit. Rev. Food Sci. Nutr., 47(3), 231-258, (2007). 

  7. D. Kiefer, T. Pantuso. "Panax ginseng". Am. Fam. Physician, 68(8), 1539-1542, (2003). 

  8. Y. S. Keum, K. K. Park, J. M. Lee, K. S. Chun, J. H. Park, S. K. Lee, H. Kwon, Y. J. Surh. "Antioxidant and anti-tumor promoting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 of heat-processed ginseng". Cancer Lett., 150(1), 41-48, (2000). 

  9. S. E. Kim, M. J. Kim, S. B. Han, S. K. Lee. "Ginsenoside-Rs3, a new diol-type ginseng saponin, selectively elevates protein levels of p53 and p21WAF1 leading to induction of apoptosis in SK-HEP-1 cells". Anticancer Res., 19(1), 487-491, (1999). 

  10. W. Y. Kim, J. M Kim, S. B. Han, S. K. Lee, N. D. Kim, M. K. Park, C. K. Kim, J. H. Park. "Steaming of ginseng at high temperature enhances biological activity". J. Nat. Prod. 63(12), 1702-1704, (2000). 

  11. S. K. Jang, Y. S. Chung, D. C. Ahn, M. J. Kang, D. G. Lee, S. H. Kim.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immunopotential and the anticancer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Korean J. Ginseng Sci., 18(3), 151-159, (1994). 

  12. J. H. Choi, Y. S. Kim, K. M. Lee, H. J. Kim. "The effect of red ginseng intaking on free radical produced during aerobic exercise in the elderly". J. Ginseng Res. 28(1), 27-32, (2004). 

  13. Y. Nagai, O. Tanaka, S. Shibata. "Chemical studies on the oriental plant drugs-XXIV: Structure of ginsenoside-Rg1, a neutral saponin of ginseng root". Tetrahedron, 27(5), 881-892, (1971). 

  14. Y. Yang, M. E. Leser, A. A. Sher, D. J. McClements. "Formation and stability of emulsions using a natural small molecule surfactant: Quillaja saponin ( $Q-Naturale^{(R)}$ )". Food Hydrocoll., 30(2), 589-596, (2013). 

  15. AOAC Official Methods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p.31-37, Washington DC, USA, (1995). 

  16. K. S. LEE, B. J. Seong, S. I. Kim, S. H. Han, H. H, Kim, J. Y. Won, G. H. Kim. "Changes of Fatty Acids, Minerals and Ginsenosides on Ginseng Seeds during Stratifying Treatmen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3(5), 406-413, (2015). 

  17. E. Dickinson and K. Pawlowsky, "Influence of ${\kappa}$ -carrageenan on the properties of a protein-stabilized emulsion". Food Hydrocoll., 12(4), 417-423, (1998). 

  18. H. H. Zuidema, G. Waters. "Ring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interfacial tension". Ind. Eng. Chem. Res., 13(5), 312-313, (1941). 

  19. S. E. Yun, S. T. Hong. "Isolation and investigation of emulsifying properties of surface-active substances from rice bran". Food Hydrocoll., 21(5), 838-843, (2008) 

  20. R. A, Chanamai, D. J. McClements. "Comparison of gum arabic, modified starch, and whey protein isolate as emulsifiers: influence of pH, CaCl2 and temperature.", J. Food Sci., 67(1), 120-125, (2002). 

  21. B. P. Binks, R. Murakami, S. P. Armes, S. Fujii. "Effects of pH and salt concentration on oil-in-water emulsions stabilized solely by nanocomposite microgel particles". Langmuir, 22(5), 2050-2057, (2006) 

  22. T. Sobisch, D. Lerche. "Application of a new separation analyzer for the characterization of dispersions stabilized with clay derivatives.", Colloid Polym. Sci., 278(4), 369-374, (2000). 

  23. M. Kuentz, D. Rothlisberger. "Rapid assessment of sedimentation stability in dispersions using near infrared transmission measurements during centrifugation and oscillatory rheology.", Eur. J. Pharm. Biopham., 56(3), 355-361, (2003). 

  24. S. Mitra, S. R. Dungan. "Micellar properties of Quillaja saponin. 1. Effects of temperature, salt, and pH on solution properties.", J. Agric. Food Chem., 45(5), 1587-1595, (1997) 

  25. T. S. C. Li, G. Mazza, A. C. Cottrell, L. Gao. "Ginsenosides in roots and leaves of American ginseng.", J. Agric. Food Chem., 44(3), 717-720, (1996). 

  26. D. J. McClements, L. Bai, C. Chung. "Recent advances in the utilization of natural emulsifiers to form and stabilize emulsions.", Annu. Rev. Food Sci. Technol., 8(1), 205-236, (2017) 

  27. P. Walstra, In encyclopedia of emulsion technology, basic theory, eds., p.57-59, Becher, Marcel Dekker, New York, (1983). 

  28. R. Jimenez-Flores, A. Ye, H. Singh. "Interactions of whey proteins during heat treatment of oil-in-water emulsions formed with whey protein isolate and hydroxylated lecithin.", J. Agric. Food Chem., 53(10), 4213-4219, (2005). 

  29. H. Salminen, S. Aulbach, B. H. Leuenberger, C. Tedeschi, J. Weiss. "Influence of surfactant composition on physical and oxidative stability of Quillaja saponin-stabilized lipid particles with encapsulated ${\omega}$ -3 fish oil.", Colloids Surf. B Biointerfaces, 122(1), 46-55, (2014). 

  30. A. E. Wi?cek. "Electrokinetic properties of n-tetradecane/lecithin solution emulsions", Colloids Surf. A Physicochem. Eng. Asp., 293(1), 20-27, (2007). 

  31. P. J. Wilde. "Interfaces: their role in foam and emulsion behaviour", Curr. Opin. Colloid Interface Sci., 5(3) 176-181, (2000). 

  32. S. T. Hong. "Changes in the stability properties of methylcellulose emulsions as affected by competitive adsorption between methylcellulose and Tween 20",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0), 1278-1286, (2008). 

  33. N. A. McCarthy, A. L. Kelly, J. A. O'Mahony, D. K. Hickey, V. Hickey, M. A. Fenelon. "Effect of protein content on emulsion stability of a model infant formula." Int. Dairy J., 25(2), 80-86,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