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k-ε 난류모형을 이용한 중층 밀도류의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of dense interflow using the k-ε turbulence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0 no.9, 2017년, pp.637 - 646  

최성욱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최성욱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중층 밀도류를 모의할 수 있는 $k-{\varepsilon}$ 난류모형의 지배방정식을 제시하고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깊은 수체에 모형을 적용하여 중층 밀도류를 모의하고 게산된 유속과 초과밀도 분포를 분석하였다. 밀도류의 주 흐름방향을 따라 물 연행으로 인해 유속이 감소되는 것과 Richardson 수의 증가로 인해 유속 변화율이 감소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유속과 초과밀도의 유사성을 확인하였으나, 난류운동에너지와 소산율의 유사성에서는 보이지 않았다. $k-{\varepsilon}$ 모형의 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중층 밀도류의 층적분 모형에서 사용될 수 있는 형상계수를 계산하였다. 또한, 층적분 모형을 이용하여 $k-{\varepsilon}$ 모형에서 사용되는 부력관련 모형상수 ($c_{3{\varepsilon}}$)와 부피팽창계수 (${\beta}_0$)를 계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esents a numerical model for simulating dense interflows. The governing equations are provided and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is used with the $k-{\varepsilon}$ turbulence model. The model is used to simulate a dense interflow established in a deep ambient water, result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k-ε 모형을 이용하여 중층 밀도류의 수직구조에 대해 수치모의를 수행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1과 같이 정지된 주변 수체에서 특정 구간에 밀도류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흐름을 모의하였다. 중층 밀도류가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된 형태를 보인다고 가정하고 상층만을 계산구역으로 설정하였다. 유입부의 경계조건은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층 밀도류가 발생하는 원인은? 1과 같이 대부분 하층 밀도류로 시작해 중층 밀도류로 천이되어 전파된다. 중층 밀도류가 발생하는 원인은 저수지의 수체가 온도로 성층화(thermally stratified)되어있기 때문이다. 성층화된 저수지의 하층은 수온이 낮아 수체의 밀도가 높으며, 반대로 상층은 수온이 높아 수체의 밀도가 낮다.
중층 밀도류의 배출 제한에 의한 수질악화를 막기위해 어떤 조치를 취하는가? , 2016). 따라서 취수구의 위치를 적절한 위치에 설치해서 상수원에 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선택적 취수 시설(selective withdrawal structure)을 설치해 취수구의 위치를 취수 목적에 따라 조절하기도 한다. 이러한 시설의 설계 및 운영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밀도류의 발달과 전파속도 등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밀도류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우리나라의 대형 저수지에서는 홍수기에 큰 유량이 발생하여 다량의 부유사가 유입되며, 유입된 부유사는 곧 밀도류의 형태로 전파된다. 밀도류는 주변 수체와의 밀도차에 따라 상층 밀도류(overflow), 중층 밀도류(interflow), 그리고 하층밀도류(underflow)로 구분된다. 대형 댐의 저수지에서는 유입된 부유사가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tinakar, S., Graf, W. H., and Hopfinger, E. J. (1990). "Weakly depositing turbidity current on a small slope."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28, No. 1, pp. 55-80. 

  2. An, S., and Julien, P. Y. (2014). "Three-dimensional modeling of turbid density currents in Imha reservoir, South Korea."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40, No. 5, p. 05014004. 

  3. Britter, R. E., and Linden, P. F. (1980). "The motion of the front of gravity current travelling down an incline." Journal of Fluid Mechanics, Vol. 99, pp. 531-543. 

  4. Cao, Z., Li, J., Pender, G., and Liu, Q. (2015). "Whole-process modeling of reservoir turbidity currents by a double layer-averaged model."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41, No. 2, p. 04014069. 

  5. Choi, S., and Choi, S.-U. (2017). "A numerical simulation of propagating turbidity currents using the ULTIMATE schem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9, No. 1, pp. 55-64. 

  6. Choi, S.-U., and Garcia, M. H. (1995). "Modeling of one-dimensional turbidity currents with a dissipative-Galerkin finite element method."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33, No. 5, pp. 623-648. 

  7. Choi, S.-U., and Garcia, M. H. (2002). "Turbulence modeling of density currents developing two-dimensionally on a slope."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28, No. 1, pp. 55-63. 

  8. Chong, S.-A., Yi, H.-S., Lee, S.-Y., Lee, Y.-S., and Kim, D.-S. (2016). "Selecting the optimal location of debris containment booms in a reservoir using a ELCOM model." Conferenc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016, p. 23. 

  9. Chung, S. W., Hipsey, M. R., and Imberger, J. (2009). "Modelling the propagation of turbid density inflows into a stratified lake: Daecheong reservoir, Korea." Environmental Modelling and Software, Vol. 24, No. 12, pp. 1467-1482. 

  10. Ferziger, J. H., and Peric, M. (1996). Computational methods for fluid dynamics. Springer Verlag, Berlin, Germany. 

  11. Fukushima, Y., and Hayakawa, N. (1990). "Analysis of inclined wall plume by the k- ${\varepsilon}$ turbulence model." Journal of Applied Mechanics, Vol. 57, pp. 455-465. 

  12. Garcia, M. H. (1990). Depositing and eroding sediment-driven flows: turbidity currents.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Minnesota, USA. 

  13. Gibson, M., and Launder, B. (1976). "Ground effects on pressure fluctuations in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Journal of Fluid Mechanics, Vol. 86, No. 3, pp. 491-511. 

  14. Hossain, M. S., and Rodi, W. (1982). "Turbulence model for buoyant flows and its application to vertical buoyant jets." Turbulent buoyant jets and plumes, Edited by W. Rodi, Pergamon Press, Oxford, pp. 121-178. 

  15. Kostic, S., and Parker, G. (2003). "Progradational sand-mud deltas in lakes and reservoirs. part 1. theory and numerical modeling."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41, No. 2, pp. 127-140. 

  16. Lai, Y. G., Huang, J., and Wu, K. (2015). "Reservoir turbidity current modeling with a two-dimensional layer-averaged model."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41, No. 12, p. 04015029. 

  17. Launder, B. E. (1975). "On the effects of a gravitational field on the turbulent transport of heat and momentum." Journal of Fluid Mechanics, Vol. 67, pp. 569-581. 

  18. Ohey, C. D., and Schleiss, A. J. (2007). "Control of turbidity currents in reservoirs by solid and permeable obstacle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33, No. 6, pp. 637-648. 

  19. Paik, J., Eghbalzadeh, A., and Sotiropoulos, F. (2009). "Three-dimensional unsteady RANS modeling of discontinuous gravity currents in rectangular domain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35, No. 6, pp. 505-521. 

  20. Parker, G., Garcia, M., Fukushima, Y., and Yu, W. (1987). "Experiments on turbidity currents over an erodible bed."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25, No. 1, pp. 123-147. 

  21. Rodi, W. (1984). Turbulence models and their applications in hydraulics.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Hydraulic Research, Delft, The Netherlands, Monograph. 

  22. Ryu, I. G., Chung, S. W., and Yoon, S. W. (2011). "Modelling a turbidity current in Soyang reservoir (Korea) and its control using a selective withdrawal facilit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63, No. 9, pp. 1864-1872. 

  23. Stacey, M. W., and Bowen, A. J. (1988). "The vertical structure of density and turbidity currents: theory and observatio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Vol. 93, No. C4, pp. 3528-3542. 

  24. Svensson, U. (1980). On the numerical prediction of vertical turbulent exchange in stratified flows. Proceeding of 2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Stratified Flows, Trodheim, Norwa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