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은 '수업'에서 무엇을 보는가? -예비교사들의 수업 경험과 비평을 통해서-
What Do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See in Class? -Through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and Criticism of Clas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0 no.2, 2017년, pp.199 - 213  

임성만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수업 시연을 평가하며 좋은 과학 수업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는 우리나라 중부지방에 위치한 교사 양성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교 2학년 학생 32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32명의 예비교사들은 2인 1조로 수업을 시연하여 총 16회의 수업이 시연되었다. 또 자신의 수업을 제외한 15회의 수업에 참여하면서 수업을 평가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평가지는 모두 480장이었다. 이 평가지를 분석하여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과학수업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의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한 관점은 3개 범주 9개의 주제 묶음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3개의 범주는 '참여도가 높은 수업', '잘 구성된 수업 설계', '양질의 수업자료'이었다. 즉 예비교사들은 잘 짜여진 수업 설계, 활발한 상호작용이 좋은 과학 수업의 요건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수업 시연 및 수업 평가의 경험을 통해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한 이미지를 그려갈 수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pre-service teachers' views of as a good science class in evaluating class demonstra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on 32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college who are attending teacher training schools located in central region, Korea. 32 pre-servic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불어 예비교사들의 수업 시연 및 실행에서의 교과교육학적 지식의 중요성(Ball & Forzani, 2009; Gallimore et al., 2009; Windschitl et al., 2008)과 이와 관련하여 실제적 교수에서의 많은 어려움(김경순 등, 2011; Niess & Scholz, 1999)을 생각하여 이번 연구에서는 사범대학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업 시연 및 수업 관찰 과정에서 예비교사의 수업을 보는 관점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 김찬종 등(2005)은 피드백 제공자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차이 및 피드백에 대한 반응 연구에서 교사는 물론 동료의 피드백을 받은 집단의 학생들이 학업 성취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아울러 학업 성취 수준에 따른 적절한 피드백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 연구는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생각, 즉 관점을 알아보기 위해 실제 동료들의 수업시연을 보면서 평가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생각을 구체화하도록 계획하였다. 연구를 위해 교사 양성 기관을 선택하고 교육과정을 검토하여 연구 대상을 선정하였다.
  •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에게 모의수업을 실시하도록 하고 이 수업에 학생으로 참여한 다른 예비교사들이 수업에 대해 분석하고 비평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수업에 참여하면서 수업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점을 보고 있으며, 잘된 점과 아쉬운 점으로 어떤 점을 지적하고 있는가를 조사 분석하여 예비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실제적 관점을 이 연구에서는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갖고 있는 ‘잘한 수업’,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한 이미지, 즉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 이번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의 수업 분석 관점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의미와 교과교육학적 지식은 물론 교육학적 지식도 분석해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번 연구는 미래에 과학교사가 될 예비교사의 수업 역량을 이해할 수 있는 연구로 과학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예비교사의 수업 관점을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필요한 연구라고 하겠다. 또한 연구결과는 교사 양성 대학에서의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및 교과교육학과 관련된 수업 진행 방향에 대한 여러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 1994; Matthew, 2014), 모의수업시연 및 수업관찰을 통한 간접 경험이 예비교사의 수업에 대한 안목을 길러주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에게 모의수업을 실시하도록 하고 이 수업에 학생으로 참여한 다른 예비교사들이 수업에 대해 분석하고 비평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수업에 참여하면서 수업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점을 보고 있으며, 잘된 점과 아쉬운 점으로 어떤 점을 지적하고 있는가를 조사 분석하여 예비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실제적 관점을 이 연구에서는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업의 방향이란 무엇인가? 수업의 방향이란, 교사가 1차시 또는 단원 전체의 내용을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지, 또 교수학습 내용 중 중요한 부분이 무엇으로 보고 있는지에 대한 관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근거하여 교사는 수업의 방향 설정 및 설계를 하게 된다.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은 참여도가 높은 좋은 과학 수업을 위해서 무엇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가? 연구참여자인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은 참여도가 높은 좋은 과학 수업을 위해서는 교사의 자연스러운 수업 진행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1조의 ‘기권의 구조와 특징(5E 순환학습 모형)’이라는 수업을 들은 예비교사들은 ‘수업 진행 능력이 돋보임’, ‘능숙한 수업 진행’, ‘안정적이고 자연스러운 수업 진행’, ‘수업 통제력이 뛰어남’과 같은 내용을 언급하며 자연스러운 수업 진행이 중요함을 지적하였다.
좋은 수업에 대해 교사가 어떤 인식을 갖고있는지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더불어 교사가 될 예비교사의 경우에도 이러한 점은 간과할 수 없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즉 예비교사의 수업에 대한 인식은 자신의 교수역량을 키우기 위한 노력의 방향을 좌우하기 때문이다(강숙희,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강숙희 (2012). 모의수업 활동에 기반한 예비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연구. 교육방법연구, 24(1), 209-228. 

  2. 곽영순, 김찬종, 이양략, 정득실 (2006). 초.중등 학생들의 과학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7(3), 260-268.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4. 김경순, 윤지현, 박지애, 노태희 (2011).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나타난 교과교육학지식의 요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99-114. 

  5. 김민형, 최지연, 정성봉 (2009). 실과 수업의 평가를 보는 초등학교 현직 교사와 예비 교사의 관점. 실과교육연구, 15(2), 27-46. 

  6. 김순희 (2009). 초등 사회 수업에 대한 관점 연구: 수업에 대한 수용자의 반응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48(3), 75-91. 

  7. 김재춘, 변효종 (2005). '좋은 수업'의 의미에 대한 비판적 검토. 수산해양교육연구, 17(3), 373-382. 

  8. 김찬종, 오필석, 전진구 (2005). 피드백 제공자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도 차이 및 피드백에 대한 반응. 초등과학교육. 24(2). 111-122. 

  9. 나귀수 (2008).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 관점에 대한 연구 : 예비교사들의 수업 논평 비교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10(2), 279-296. 

  10. 박기용, 배영직, 강이철 (2009). 교육실습에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169-197. 

  11. 소경희, 김종훈 (2010).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교육학연구, 48(1), 133-155. 

  12. 소경희, 이화진 (2001). 지식기반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I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5p. 

  13. 손정우, 조선옥 (2008). 학습 흥미 진작을 위한 과학 관련 TV프로그램의 특성과 학습자 생산 미디어 학습자료(UCC)에 관한 중학생들의 인식 조사. 교과교육학연구, 12(2), 537-553. 

  14. 신나민, 이정훈 (2009). 교사의 목소리 매체에 대한 학생의 감정적 반응 및 선호하는 교사 목소리의 특질. 교육광학연구, 25(4), 29-52. 

  15. 심규철, 김해미 (2010). 생물 예비 교사의 선수 학습확인 및 학습 동기 유발 활동에서 수업 행동의 특성. 생물교육, 38(2), 309-318. 

  16. 엄미리, 김명랑, 장선영, 박인우 (2009). '좋은 수업' 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와 관련하여. 한국교육학연구, 15(1), 107-132. 

  17. 양찬호, 이지현, 노태희 (2014).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의 수업 계획에서 나타나는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92), 187-195. 

  18. 윤혜경 (2013). 과학 모의 수업에 대한 반성 저널 쓰기와 토론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생산적 반성 증진. 초등과학교육, 32(2), 113-126. 

  19. 이봉우 (2016). 좋은 과학수업에 대한 중등 과학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1), 103-112. 

  20. 이명제, 이제용 (1999). 학습 과제의 맥락과 탐구의 수준을 고려한 자연과 학습지 모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448-460. 

  21. 이재천, 김범기 (1999). 과학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환경이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315-328. 

  22. 정남미 (2016). 좋은 수업의 관점과 특징에 대한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비교. 유아교육학논집, 20(5), 201-222. 

  23. 정민수, 전미란, 채희권 (2007). 과학영재 수업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본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사례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81-892. 

  24. 정한호 (2013). 중등 예비교사의 수업 분석 관점 탐색: 수업비평문을 바탕으로. 교사교육연구, 52(2), 267-295. 

  25. 최승현, 황혜정 (2009). 내용교수지식(PCK)에 기초한 수업컨설팅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1), 27-45. 

  26. 최은아 (2012). 초등 예비교사의 음악 수업 비평관점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9(3). 173-194. 

  27. 한재영 (2013). 예비 과학 교사의 수업 능력 발달에 대한 종단적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7(2), 310-322. 

  28. 허영주 (2009). 교사유머의 교육적 효과와 성공적 활용의 조건 및 전략 탐색. 교육방법연구, 21(1), 115-139. 

  29. Ball, D. L., & Forzani, F. M. (2009). The work of teaching and the challenge for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0(5), 497-511. 

  30. Berry, A., Mulhall, P., Loughran, J. J., & Gunstone, R. F. (1999). Helping students learn from laboratory work. Australian Science Teachers' Journal, 45(1), 27-31. 

  31. Brophy, J. E. (1998).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McGrawHill, New York, 418 p. 

  32. Brophy, J. E. (1999). Perspectives of classroom management: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In H. Freiberg (Ed.), Beyond behaviorism: changing the classroom management paradigm, Boston: Allyn. and Bacon. 43-56. 

  33. and Bacon. Brunye, T. T., Taylor, H. A., Rapp, D. N., & Spiro, A. B. (2006). Learning Procedures: The role of working memory in multimedia learning experiences.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20, 917-940. 

  34. Colaizzi, P. E.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existential phenomen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5. Freed, A. F. (1994). The Form and Function of Question Informal Dyadic Conversation. Journal of Pragmatics, 21(1), 621-644. 

  36. Gallimore, R., Ermeling, B. A., Saunders, W. M., & Goldenberg, C. (2009). Moving the learning of teaching closer to practice: Teacher education implications of school-based inquiry teams. Elementary School Journal, 109(5), 537-553. 

  37. Huberman, A. M., & Miles,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38. Lederman, N. G., Gess-Newsome, J., & Latz, M. S. (1994).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subject matter and pedagog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2), 129-146. 

  39. Matthew, K. (2014). Identifying a Core Set of Science Teaching Practices: A Delphi Expert Panel Approach. Journal of Researching in Science Teaching, 51(9), 1185-1217. 

  40.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41. Niess, M. L., & Scholz, J. M. (1999). Incorporating subject matter specific teaching strategies into secondary science teacher preparation.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257-276).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42. Oliver, H. M., Anderson, M., & Allen, D. D. (2004). Inquiry-Guided Instruction: Practical Issues of Implementation.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3(6), 20-25. 

  43. Ryan, R. M., & Deci, E. L. (2000a).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 54-67. 

  44. Ryan, R. M., & Deci, E. L. (2000b). Self-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evelopment, and well-being. The American Psychologist, 55(1), 68-78. 

  45. Taber, K. S. (2004). Discovering students' interests opens doors to their learning. Physics Education, 39(5), 378-379. 

  46. Trowbridge, L. W., Bybee, R. W., & Powell, J. C. (2004). Teaching secondary school science. NJ: Pearson Prentice Hall. 

  47. Windschitl, M., Thompson, J., & Braaten, M. (2008). Beyond the scientific method: Model-based inquiry as a new paradigm of preference for school science investigations. Science Education, 92(5), 941-9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