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접착층을 통한 자이오머(Beautifil Injectable)와 컴포머($Dyract^{(R)}$ XP)의 불소 유리를 직접적으로 평가하고 비교하였다. 자이오머와 컴포머 그리고 불소를 함유하지 않은 복합레진의 원통형 시편을 각각 20개씩 제작하였다. 20개 중 10개의 시편은 접착제(Scotchbond Multi-Purpose)를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각 시편은 2 mL 탈이온수에 넣어 $37^{\circ}C$에서 보관하였으며 1, 3, 7, 14, 21, 28일째 유리된 불소를 측정하였다. 접착제를 적용한 추가적인 시편을 제작하여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접착제가 균일하게 도포되었는지 확인하였다. 자이오머와 컴포머에 접착제를 도포한 군은 3일째까지 불소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7일째부터는 불소가 검출되었다. 접착제는 불소의 유리를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였으며, 접착제를 투과하는 자이오머와 컴포머의 불소 유리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불소의 유리량 감소는 컴포머보다 자이오머에서 더 현저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fluoride release of giomer (Beautifil Injectable), compomer ($Dyract^{(R)}$ XP), and composite resin ($Filtek^{TM}$ Z350XT) through adhesive (Scotchbond Multi-Purpose) layer. A total of 20 cylindrical specimens (7 mm in dia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자이오머와 컴포머의 접착층을 통한 불소의 유리를 평가하고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자이어머와 컴포머의 접착층을 통한 불소의 유리를 평가하고 비교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XP는 polyacid와 methacrylate가 한 분자에 결합되어 있으며, 초기 광중합 반응 후 수분에 노출되면 glass 입자와 산-염기 반응이 발생하여 불소가 유리된다[16]. 자이오머인 Beautifil Injectable은 fluoroaluminosilicate glass (FASG)와 polyalkenoic acid 사이의 부분적인 반응(Surface reaction type)에 의해 생성된 실리카겔을 동결 처리한 S-PRG 필러에 의해 불소가 유리된다. 한달 동안 총200 - 300 µg/cm2 정도의 불소 유리는 이차 우식을 완전히 예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1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소의 효과는? 불소는 탈회된 치아 경조직의 재광화를 촉진하고 치아의 내산성을 증가시키며, 미생물의 대사와 성장을 방해하고 세균막의 발육을 저하하는 등 다양한 기전으로 항우식 효과를 나타낸다[1,2]. 이러한 불소의 효과를 치아 수복물을 통해 얻고자 불소를 방출하는 여러 수복재가 개발되었다.
컴포머는 어떤 제한이 있었는가?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는 경화 초기의 수분 민감성을 극복하였고 치질과의 결합능력 및 높은 불소 유리능을 유지하였으나 표면활택도와 물리적성질이 여전히 불량하였다[4].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보다 복합레진과 더 유사한 컴포머는 저농도의 불소를 지속적으로 유리하지만 기대와는 달리 부족한 파절 강도와 전단 강도를 보이는 등 임상적 활용에 제한이 있었다[5,6]. 최근에는 불소 유리 및재충전능을 가지는 pre-reacted glass ionomer (PRG) 필러를 함유한 광중합 레진 제제인 자이오머(Giomer)가 개발되었고 복합레진과 견줄 만한 물성을 가진다고 보고되었다[7,8].
가장 초기에 개발된 글라스아이오노머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어떤 것들이 개발되었는가? 가장 초기에 개발된 글라스아이오노머는 느린 경화 반응, 경화 초기의 수분 민감성, 낮은 물성 및 높은 용해도 등의 단점을 보였다[3].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복합레진의 특성을 결합한 레진강화형글라스아이오노머, 컴포머 등의 재료가 개발되었다.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는 경화 초기의 수분 민감성을 극복하였고 치질과의 결합능력 및 높은 불소 유리능을 유지하였으나 표면활택도와 물리적성질이 여전히 불량하였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Han L, Okamoto A, Fukushima M, Okiji T : Evaluation of a new fluoride-releasing one-step adhesive. Dent Mater J, 25:509-515, 2006. 

  2. Wiegand A, Buchalla W, Attin T : Review on fluoridereleasing restorative materials--fluoride release and uptake characteristics, antibacterial activity and influence on caries formation. Dent Mater, 23:343-362, 2007. 

  3. McLean JW, Nicholson JW, Wilson AD : Proposed nomenclature for glass-ionomer dental cements and related materials. Quintessence Int, 25:587-589, 1994. 

  4. Fritz UB, Finger WJ, Uno S :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s: bonding to enamel and dentin. Dent Mater, 12:161-166, 1996. 

  5. Yap AU, Chung SM, Chow WS, et al. : Fracture resistance of compomer and composite restoratives. Oper Dent, 29:29-34, 2004. 

  6. Nujella BP, Choudary MT, Reddy SP, et al. : Comparison of shear bond strength of a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Contemp Clin Dent, 3:22-26, 2012. 

  7. Melody FM, YA UJ, Natalie TW, et al. : Effects of thermal fatigue on shear punch strength of tooth-colored restoratives. J Conserv Dent, 19:338-342, 2016. 

  8. Yap AU, Wang X, Wu X, Chung SM : Comparative hardness and modulus of tooth-colored restoratives: a depthsensing microindentation study. Biomaterials, 25:2179-2185, 2004. 

  9. Hatibovic-Kofman S, Koch G : Fluoride release from glass ionomer cement in vivo and in vitro. Swed Dent J, 15:253-258, 1991. 

  10. Haznedaroglu E, Guner S, Duman C, Mentes A : A 48-month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caries prevention effect of a one-time application of glass ionomer sealant versus resin sealant. Dent Mater J, 35:532-538, 2016. 

  11. Itota T, Nakabo S, Iwai Y, et al. : Inhibition of artificial secondary caries by fluoride-releasing adhesives on root dentin. J Oral Rehabil, 29:523-527, 2002. 

  12. ten Cate JM, van Duinen RN : Hypermineralization of dentinal lesions adjacent to glass-ionomer cement restorations. J Dent Res, 74:1266-1271, 1995. 

  13. Kim SY, Choi SC, Kim KC, et al. : In Vitro Study of Demineralization Inhibition Effect And Fluoride Uptake into Adjacent Teeth of Light-Cured Fluoride-Releasing Restoratives. J Korean Acad Pediatr Dent, 37:288-297, 2010. 

  14. Hashimoto M, Tay FR, Ito S, et al. : Permeability of adhesive resin films. J Biomed Mater Res B Appl Biomater, 74:699- 705, 2005. 

  15. King NM, Hiraishi N, Yiu CK, et al. : Effect of resin hydrophilicity on water-vapour permeability of dental adhesive films. Eur J Oral Sci, 113:436-442, 2005. 

  16. Mousavinasab SM, Meyers I : Fluoride release by glass ionomer cements, compomer and giomer. Dent Res J (Isfahan), 6:75-81, 2009. 

  17. Xu X, Burgess JO : Compressive strength, fluoride release and recharge of fluoride-releasing materials. Biomaterials, 24:2451-2461, 2003. 

  18. Borsboom P, Mei H, Arends J : Enamel lesion formation with and without 0.12 ppm F in solution. Caries Res, 19:396-402, 1985. 

  19. Clarkson BH, Wefel JS, Feagin FF : Fluoride distribution in enamel after in vitro caries-like lesion formation. J Dent Res, 65:963-966, 1986. 

  20. Lodovici E, Reis A, Geraldeli S, et al. : Does adhesive thickness affect resin-dentin bond strength after thermal/load cycling? Oper Dent, 34:58-64, 2009. 

  21. Tay FR, King NM, Chan KM, Pashley DH : How can nanoleakage occur in self-etching adhesive systems that demineralize and infiltrate simultaneously? J Adhes Dent, 4:255-269, 2002. 

  22. Tay FR, Pashley DH : Water treeing--a potential mechanism for degradation of dentin adhesives. Am J Dent, 16:6-12, 2003. 

  23. Tay FR, Pashley DH, Yoshiyama M : Two modes of nanoleakage expression in single-step adhesives. J Dent Res, 81:472-476, 2002. 

  24. Mazzaoui SA, Burrow MF, Tyas MJ : Fluoride release from glass ionomer cements and resin composites coated with a dentin adhesive. Dent Mater, 16:166-171, 2000. 

  25. Hattab FN, Amin WM : Fluoride release from glass ionomer restorative materials and the effects of surface coating. Biomaterials, 22:1449-1458, 2001. 

  26. Vercruysse CW, De Maeyer EA, Verbeeck RM : Fluoride release of polyacid-modified composite resins with and without bonding agents. Dent Mater, 17:354-358, 2001. 

  27. Yoon YS, Kim JS, Kwon SW, Kim YK : A study on the effect of dentin adhesive to fluoride release of compomer. J Korean Acad Pediatr Dent, 28:228-237, 2001. 

  28. Castro G, Gray S, Buikema D, Reagan S : The effect of various surface coatings on fluoride release from glassionomer cement. Oper Dent, 19:194-198, 1994. 

  29. Kamatham R, Reddy SJ : Surface coatings on glass ionomer restorations in Pediatric dentistry-Worthy or not? J Indian Soc Pedod Prev Dent, 31:229-233, 2013. 

  30. Vermeersch G, Leloup G, Vreven J : Fluoride release from glass-ionomer cements, compomers and resin composites. J Oral Rehabil, 28:26-32, 2001. 

  31. Kang JE, Kim JB, Kim JS : Fluoride Releas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Several Giomers. J Korean Acad Pediatr Dent, 43:292-298, 2016. 

  32. Kim SM, Park HW, Lee JH, Seo HW : Fluoride release and microhardness of giomer according to time. J Korean Acad Pediatr Dent, 37:429-437, 2010. 

  33. Dionysopoulos D, Koliniotou-Koumpia E, Helvatzoglou-Antoniades M, Kotsanos N : Fluoride release and recharge abilities of contemporary fluoride-containing restorative materials and dental adhesives. Dent Mater J, 32:296-304, 2013. 

  34. Kamijo K, Mukai Y, Tominaga T, et al. : Fluoride release and recharge characteristics of denture base resins containing surface pre-reacted glass-ionomer filler. Dent Mater J, 28:227-233, 2009. 

  35. Paul S, Welter D, Ghazi M, Pashley D : Nanoleakage at the dentin adhesive interface vs ${\mu}$ -tensile bond strength. Oper Dent, 24:181-188, 1999. 

  36. Cadenaro M, Antoniolli F, Sauro S, et al. : Degree of conversion and permeability of dental adhesives. Eur J Oral Sci, 113:525-530,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